QS랭킹은 의미없고 랩들이 교수진이 어떤지 실적이 어떤지가 더 중요하. 그리고 과를 모르면 정확한 조언이 불가능할꺼같네요.. 과마다 너무 케바케여서요.
2025.05.04
이런 글은 답변할 가치가 없는 글임. 적어도 학교 이름이랑 분야는 알려줘야지.
2025.05.04
허허.. 지나가려다 남겨봅니다. 개인적으로 현실인식을 잘못했다고 보입니다. 여러가지 이유를 붙이셨는데 결국 숨기는 속내가 있으니 지금 합격한 주립대는 마음에 안들고 서부권 주립대 ucla정도 일명 "뽀대가 나길" 바란다는거 아니겠습니까. 취업이니 가족이니 하는 건 부차적인거죠.
하지만 제 눈에는 내년에 재지원하는 선택을 정당화할 수 있는 근거는 딱 한가지, 현재 서부권 학교의 한 PI가 컨택됐고 내년에 당장 들어오라고 확정에 가깝게 언질을 준 경우 뿐입니다.
글쓴이는 서부권 학교가 마음에 들어보이는데 나는 14위 합격했으니 내년에 어떻게든 되겠다 느끼고 있습니다. 하지만 올해 20개를 쓰고 하나라도 붙은 걸 천운으로 생각하는 관점도 필요합니다. 확률적으로 1개가 아니라 0개였을 수도 있고, 또 2개까지였을 수는 있어도, 10개 붙을 지원서는 아니었다는 뜻입니다. 그 정도 경쟁력에서 내년에 지도교수님이 추천서를 써준다면 갑자기 5개 10개 붙을까요? 그만치 학교 골라가는 역량이 되기 전에 서부권 좋은 학교에 딱 원하는대로 합격한다는 건 현실성이 없습니다. 심지어 지도교수님이 올해는 추천서를 안써주려고 했다매요. 이유를 막론하고 말이죠.
2025.05.04
위에 이어 경쟁의 관점에 대해서도 공유하겠습니다. 사실은 14위 9위 그런 지표보다 경쟁이 더 차이가 더 날겁니다. 14위 합격한 글쓴이도 1년을 더해서라도 서부권 학교를 가고 싶은 것 아닙니까. 그처럼 학교의 랭킹과 박사과정 학생들의 선호도는 별개입니다. 문제는 다들 똑같이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대학원의 경우 ucb는 말할 것도 없고 ucla/ucsd도 아이비리그를 버리고 오는 경우가 아주 많은데, 기후, 인프라, 취업은 물론 글쓴이와 같은 이유로 선호할 요소가 많기 때문입니다. 말씀하신 ucla의 경우에도 주립대 한계로 인해 사립대들처럼 대가들을 쇼핑하지못해 랭킹이 밀릴 뿐, 교육 인프라를 매우 잘 성장시켜 박사를 키우는 관점에서는 아이비리그와 동급 이상의 기회들을 줍니다. 그걸 글쓴이도 둘러보며 간접적으로 느꼈을 것이고 다른 지원자도 똑같이 느낍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글쓴이 학교가 박사해도 손해볼 만큼 수준이 낮느냐? 그것은 또 전혀 아닙니다. 연구에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차원의 요소가 있어서, 글쓴이에게는 현재 합격한 랩이 서부권이나 아이비리그의 그 어떤 랩보다 더 맞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니 본연의 연구자의 마음으로 들어가 곰곰이 생각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글쓴이가 가고싶은 학교에서 박사과정중이지만, 만약 여기 떨어지고 그 14위 주립대 합격했었으면 그거대로 매우 행복하게 공부를 시작했을 것입니다.
대댓글 3개
2025.05.04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ㅠㅠ 뽀대가 나서 라기보단 가족이 붙은게 컸구요.. 취업측면에서도 실리콘밸리쪽으로 가고 싶은데 캘리쪽 학교들이 더 유리하다는 걸 봐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캘리쪽 다시 도전하는거 지금 붙은 학교보단 더 높이 가야 의미가 있는 도전이지 않을까 싶은 관점에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2025.05.04
진정으로 그렇게 생각하신거라면야 말릴 수 없지만, 현재 주립대도 분명히 충분히 좋은 학교일거라 성실히 한다면 캘리 취업 하고도 남을거에요.. 그리고 캘리도 한국인 관점에서 취업하고싶은거지 막상 동부에도 취업해서 잘먹고 잘살기 너무 좋은 곳도 많고, 아무튼 저라면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절하고 박사과정할 것 같습니다..
2025.05.05
논문성과가 중요하지 Mit 칼텍 박사할애비라도 논문 업적좋은 주립대출신이 100배 인정받음
2025.05.04
2025.05.04
2025.05.04
2025.05.04
대댓글 3개
2025.05.04
2025.05.04
2025.05.05
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