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교수님이 대학원생을 데리고있으면 좋은 이유가 있나요?

2025.04.25

15

7485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5.04.25

BEST 대부분의 실험과학과 공학 연구는 교수 혼자 하는 연구가 불가능함. 대학원생은 그 노동력을 제공하고 인건비를 받고 최종적으로는 학위를 받는 거고.
다만 혼자 혹은 소수가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인문/사회학이나 이론과학(수학 포함)의 경우 대학원생이 연구에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을 수 있음. 하지만 여전히 학생 지도하며 공부가 되거나 책임감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되는 정도의 장점은 있음.
그리고 분야를 떠나 대학원생 키우는건 후속 세대를 키운다는 점에서 중요함. 대학원생이 없으면 다음 세대 교수도 없음.
건강한 피터 힉스*

2025.04.25

과제가 있으면 부려먹을 수 있음

2025.04.25

대부분의 실험과학과 공학 연구는 교수 혼자 하는 연구가 불가능함. 대학원생은 그 노동력을 제공하고 인건비를 받고 최종적으로는 학위를 받는 거고.
다만 혼자 혹은 소수가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인문/사회학이나 이론과학(수학 포함)의 경우 대학원생이 연구에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을 수 있음. 하지만 여전히 학생 지도하며 공부가 되거나 책임감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되는 정도의 장점은 있음.
그리고 분야를 떠나 대학원생 키우는건 후속 세대를 키운다는 점에서 중요함. 대학원생이 없으면 다음 세대 교수도 없음.

2025.04.25

대학의 역할은 연구인력양성입니다. 그래서 대학원은 도제식 모델로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의 구조를 따르고 있어요.

2025.04.25

연구 예산만 받춰준다고 하면 좋은 점 많죠. 물론 지도를 할 능력이 되지 않는데 많이 받는것은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1) 학생이 많으면 논문이 많이 나온다 -> 연구 실적이 올라가고 학과내 평가도 좋아지고 학계에서도 지명도나 h-index도 높아짐
2) 학생이 많으면 인건비를 많이 줘야 하니 정부과제의 경우 연구 수당도 더 많이 받음. 이차이도 꽤 큼. 기업과제를 할 수 있는 여력도 더 늘어나니 교수 수입도 늘어남
3) 위에도 이야기 했지만 연구 인력의 양성이라는 대학원 취지에도 맞음

2025.04.25

대학원생이 있어야 교수가 성장하긴함. 그런데 간혹 혼자 실험하는 교수를 본적있었는데. 개인과제따고 대학원 제자는 다른 정출연 랩으로 파견 보내고. 본인은 연구실에서 실험함. 조금 간지나긴했음. 노교수이긴했지만. 실무에 능하다 보니 뭐든 물어보면 답나옴. 교수중에 실무를 안해보니 뜬구름 잡는 얘기하는 분들이 대부분. 이렇게 혼자 일하는 분은 그렇게 성장하지는 못하더라. 연구비도 고만고만하고.

2025.04.25

교수뿐 아니라 대다수 출연연도 학생연구원이 없으면 연구 못합니다.
사기업의 R&D 부서는 직원들이 대부분 실험을 직접하지만,
대학과 출연연은 교수와 책임(선임)박사들이 직접 실험 하기가 쉽지 않아요.
사기업은 연구비를 회사에서 지급하고 직원(연구원)들이 실험에 몰두할 수 있지만, 학교나 출연연은 연구비를 따오기 위한 많은 일들이 있고, 또한 학교는 강의와 학교 잡무가 있어서 교수가 직접 연구실 들어가서 실험하는건 거의 불가능합니다.
전세계 대부분 교수들은 연구지도를 하지 직접 실험을 하는 경우가 드뭅니다.

위의 댓글에 보면 부려먹는다는 표현이 있는데, 연구하고 실험하는걸 지시한걸 부려먹는다는 표현하는 사람은 늘 떠먹여주길 바라는 사람이라 성장 가능성 제로인 사람이네요.
부모가 자식한테 심부름시키고 집안일 같이하면서 가르치는게 부려먹는건지?
학생이 논문 읽고 시약이나 실험에 필요한 것들 주문하고 연구비 처리하는게 잡일인가? 나중에 회사나 연구소가서 실험할때 누가 주문해줄까? 하나하나 배울 생각없고 부려먹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스스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사람으로 보이는군요.

2025.04.25

그래서 교수가 대학원생이 있으면 우선 하고자하는 연구를 할 수 있어요.
대학원생이 없으면 하고 싶은게 있어도 하는게 쉽지 않아요.
반면에 대학원생이 있기때문에 교수들이 연구비 수주에 대한 부담이 생겨요.
대학원생이 없다면 인건비를 줄 필요가 없어서 연구비 있으면 땡큐 없으면 그만이지만 대학원생이 있으면 굶겨죽일 순 없으니 뭐든 따와야하는 부담이 있죠.
그래서 어떤 교수들은 대학원생 안받는 분들도 종종 있어요.

2025.04.26

공대한정. 대학원생 없는 교수 = 퇴직 준비 중 또는 실력 없음... 경우가 많아요.

2025.04.26

본문 안보이는데 지운거임?

2025.04.26

교수도 대학원생이였음... 스승과 제자이자 보스와 부하직원이자 연구동료이자 학계선후배지 뭐.
연구실 차원에서 보면 이공계 연구는 혼자 할 수 없는 연구가 많으니 대학원생이 자연스럽게 필요하고. 후학 양성에 관심 없으면 포닥이나 연구원만 뽑으면 되는거임(근데 그 포닥도 어딘가에서 대학원을 졸업한거지만)

2025.04.26

정부과제에서 학생 인건비 주고 기업과제해서 일은 학생 시키고, 과외소득 왕창 땡길 수 있죠. 근본적으로는 이게 제일 큰 이유입니다.

특히 국립대교수는 연봉이 적어서, 기업과제로 엄청 많이 과외소득 올립니다. 이게 제한이 없다시피해서 좀 문제가 있긴 합니다.

사기업 과제 하는데 결국 학생들의 절대적인 시간이 믾이 들어가는데, 교수가 전체 인건비의 70퍼센트 이상 인건비를 땡겨가는 경우도 봤습니다.

2025.04.27

노예는 다다익선이죠
겁먹은 미셸 푸코 *

2025.04.27

근데 여긴 학생+익명이들이 많아서..
통찰력있는 대답보다는 노예어쩌구하는 글이나달리는거같은데 하브넷같은곳이나 주변 박사선배 교수님들께 물어보세요.

2025.04.29

대학원생을 교육하지 않을 거면 제가 여기 학교에 있을 이유가 없음. 그냥 내 직업 교수의 의의 자체가 대학생들 교육임.
제 연구 방법론을 사사 받은 학생들을 독립된 연구자를 키우고, 이 연구자들이 제 연구 철학을 이어 받아서, 우리나라와 더 나아가 인류의 발전에 기여하는게 제가 교수를 하는 이유임.

2025.05.03

과제 제안서와 과제를 내가 하고 인건비 지원하는 교수로 얘기를 하면, 학생들의 성장을 통한 성취감을 얻을수 있습니다. 학생들 있으면 오히려 힘든건 사실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올해 마지막 김박사넷 밋업! 지금 신청하고 합격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세요.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