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2025.04.27

23

7712

석사 박사 나왔으면 학사가 전혀 의미 없다고 하는 걸 들어서요
(지금 박사과정이신 분. 근데 학사때는 공부랑 전혀 먼 대학 나오셨던 것 같아요 학사학위 대학은 절대 말 안해주시고 박사학위 받는 대학원만 말해주심)

진짜 그런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2025.04.27

BEST 평생 따라 다니고 학부 말 못하는 사람이랑 엮이지 마셈
학부가 창피했으면 편입을 하건 수능을 치건 했어야지
실적 안좋고 애매한 애들이 꼭 세탁한 학벌 말하고 다님

대댓글 1개

2025.04.28

현실은 실적 별로면서 학부 학벌만 좋은 애들이야말로 꼭 이런 글에 별 의미도 없는 학부 운운하면서 자존심 지키려고 아득바득 댓글 남기고 들죠 ㅋㅋㅋ

2025.04.27

여전히 학부는 상관 있죠..그렇지만 상관이 훨씬 덜 합니다. 박사때 논문이 좋고, 그래서 좋은 직장으로 (e.g. 교직이나 빅테크) 졸업후 가기 시작하면 그때부턴 학부 영향은 매우 적어지기 시작합니다. 만약 미국으로 간다고 하면 사실상 거의 전혀 없는 수준 되고 국내면 조금 있고 그럴것 같습니다.

2025.04.27

학부 학벌은 평생 따라다닙니다 대학원을 학벌이라고 하진않죠 학력이지

대댓글 3개

2025.04.27

박사급은 사실상 대학원이 학벌입니다. 학부 학벌 아무도 안 물어봄

2025.04.27

누가봐도 학부생. 혹시 아니면 대학원때 잘했을리 없는 부류.

2025.04.28

ㅋㅋ 교수 임용할 때 실적 고만고만한 애들을 1순위로 나누는게 학부출신이다 ㅋㅋ 반대로 박사받은 학교는 국박/해박만 차이있지 아무도 신경 안씀, 학부가 동일한데 대학원이 서울대-지잡대 수준이라면 모를까 ㅋㅋ 어리구먼 괴델

2025.04.27

평생 따라 다니고 학부 말 못하는 사람이랑 엮이지 마셈
학부가 창피했으면 편입을 하건 수능을 치건 했어야지
실적 안좋고 애매한 애들이 꼭 세탁한 학벌 말하고 다님

대댓글 1개

2025.04.28

현실은 실적 별로면서 학부 학벌만 좋은 애들이야말로 꼭 이런 글에 별 의미도 없는 학부 운운하면서 자존심 지키려고 아득바득 댓글 남기고 들죠 ㅋㅋㅋ

2025.04.27

박사 졸업하면 학부는 의미없음… 그런거 신경쓰는 사람들이 이성한거죠 ㅋㅋㅋ 박사 졸업이면 실적으로 증명해야죠.

2025.04.27

박사 하는 사람 혹은 한 사람 중에 학부 학벌이 중요하다 한다면, 그저 실패한 것.
꼭 학부 학벌 좋은데 막상 대학원오니까 국영수사과 달달 외워너 하는거랑 너무 다르고 뒤쳐져서 그렇게 얘기함.
탑스쿨 대학원 때 잘하면, 학부 학벌은 거의 따지질 않음.

2025.04.27

네 있습니다. 국내에서 인서울(서울대제외) 교수하려면 학벌 중요합니다. 그외엔 필요없어요. 실적좋으면 회사에서 먼저 입사제의나 인턴제의옵니다.

2025.04.27

기업에선 보는 듯 합니다

2025.04.27

해외 명문대 박사 아닌 이상 박사 학벌은 글쎄요

2025.04.27

박사인데 퍼포먼스가 꾸지면 당연히 학부에 고등학교까지 다 털어보게 됨
학부가 꾸지면 역시 그렇지 하고 비웃는거고 학부가 좋으면 근데 얜 왜 이럼? 이 나오게 되는 것
반면에 박사이고 퍼포먼스가 훌륭하면 학부가 꾸지면 꾸진대로 칭송받고 좋으면 좋은대로 칭송받는 거 ㅋㅋㅋ

2025.04.27

박사는 그지 같으면서 학부만 얘기하는 사람 있음. 그렇다고 학사님 부르지 않음. 박사님 이라 부르지. 그렇다면 박사도 학부랑 같은데 나오던지.

2025.04.27

너무 애같은 질문.

2025.04.28

'Meaningless data'

대댓글 1개

2025.04.28

'평상시에는' 아무 상관없는

2025.04.28

어쩔수 없이 현실은 실적이 비슷하면 학부가 그다음 순위입니다. 실적으로 압도하면 학부는 점점 더 중요 안해지는게 맞는데, 보통 비슷한 실적의 경쟁자들이 있으면 학부가 높은지가 그다음 중요해지죠; 대학원 출신은 별로 차이 없습니다. 해외 박사면 모를까...
예를들어 교수 임용 시,
1. 서성한 학부에 자대 박사 받고 미국포닥 2년,
2. 서성한 학부에 서울대 박사 받고 자대포닥 2년,
이럴 경우 1, 2 실적이 비슷하고 분야도 비슷하면, 서울대박사? 차라리 미국 포닥한 서성한박사를 뽑지. 국내 박사 대학원 출신 학교는 제일 후순위임.. 그리고 차라리 연구실 by 연구실이지. 어떤 교수님 밑에 있었냐.

2025.04.28

해외나가면 아무 의미 없어요. 아무도 모르고 관심도 없음 국내 학부 따위. 실력으로만 인정받고 싶으면 해외 나가시면 됩니다. 학부 운운하는 놈들은 학부 외에 내세울 게 없는 놈들인가 봅니다. 학벌도 딸리는 ㅅㄲ가 자기보다 잘 나가는 꼴 보고 싶지 않겠죠. 현실은 대학교 입학 시험을 잘 보기 위한 능력과 연구 능력 및 필요한 적성들이 일치하지 않을 뿐더러, 세상엔 대기만성형이 존재하는 법인데도요. 걱정마세요. 저도 핫부 인서울도 아닌데 해외에서 잘만 날고 기어다니며 서른 중반에 국립대 부교수하고 있습니다.

2025.04.29

서울대 학사 물 박사 vs 지잡대 학사 네이처 1, 2저자 박사

님이 인사팀이면 누구 데려오실래요?

2025.04.29

박사 졸업하면 오히려 같은 대학원 출신들이 더 반갑습니다.
뭐 그냥저냥 4년 같이 학교 다닌 사람이랑, 눈물콧물 흘리고 동거동락한 같은 대학원 출신이 솔직히 더 반갑지 않나요.

2025.05.01

최종학력이 괜히 최종학력이 아님.

2025.05.03

사회 나와보면 학력 묻는사람 없다고 보면됨
통장에 찍히는 숫자와 명함에 박힌 회사와 직위가 내 실력과 위치를 대변해줌

학력 학벌은 실력이랑 아무 상관없음 단지 학연으로 엮여서
좀더 편하게 대할수 있을거 같으니 학연이 엮여있으면 좀더 선호하는거지

그것조차도 사회서 경력쌓이면 업무연으로 다 커버됨
학연보다 업무연이 훨씬 영향력이 큼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시리즈 첫 번째 강연: UCLA 김영서 교수 무료 세미나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