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4 - 그분 어글리 코리아네
소국민 주제에... 대국에 가서 몬소리임...
조지아텍 수준이 어떤가요?
12 - ?? 교수사모가 연구실에 올 수 있게 하는 이유가 대체 뭐임? 그냥 지도교수가 ㅂㅅ인것같은데;
교수님 사모님이 좌지우지하는 랩실
11 - 그래도 시도할건 해봐야 하지 않을까요???
엄연히 [불법] 이민자를 싫어하는것이지, [합법]적인 이민자를 반대하는건 아니니까요. 어떻게 보면 [합법적]인 절차만 누가봐도 명료하게 만들면 (힘들겠지만요) 그것만 명료하다면 유학이나 포닥은 또 명료해지는것 아닐런지요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7 - 제가 생각을 너무 단도직입적으로 밝혔네요.ㅎㅎ 죄송..
큰 관점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 이민자들을 색출하려고 노력함에 따라 박사/포닥 한테 주는 펀딩을 제어하는거같아서요 ㅎㅎ
결론은 같습니다...
불법 이민자로 전락하지 않겠다는 뉘앙스를 많이 풍기면 박사학생이나 포닥에게 주는 펀딩을 받을수 있을거라는 뜻입니다 ㅎㅎ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21 - 우리나라에서 교수가 의미 있는 연구로 돈버는 사람이 몇이나 되나? 누가누가 혈세 잘 뽑아먹고 눈먼돈 잘 주워 먹는 가에 따라 수입이 달라지는거지. 그런것 가지고 능력이 좋아 수입이 높은척(실제론 높지도 않음) 하는거 보면....ㅋㅋ 실제로 능력이 출중하면 미국처럼 인더스트리쪽으로 가는게 맞음. 우리나라 발전을 위해서라도 밥통 마저 깨트리는게 맞다고 봄.
교수 수입은 천차만별
19 - 헤르츠씨는 프로젝트와 펀딩 예산 삭감과 구조조정이 뭔지 아예 이해를 못하고 있는것 같은데, 익명커뮤에 분탕치러온 대학원과 미박과는 영 관련없는 분 같네요.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3 - 뭐가요?진지한데 어설프게 공감하지 말아주세요
착한 선배들은 박사 안 하더라
23 - 아 네.
착한 선배들은 박사 안 하더라
12 - 익명커뮤에서 개차반 대댓 다는거보니 글쓴이도 남는축에 속할듯 ㅋㅋ
착한 선배들은 박사 안 하더라
13
현대자동차 전 회장, 정몽구 [한양대(공대+etc) 출신 인물들 (1)]
2020.11.26

정몽구 명예회장은 1938년생으로 정주영 창업주의 둘째 아들이다. 서울 경복고와 한양대 공업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1970년 현대건설에 평사원으로 입사했다. 당시 그는 장남인 고(故) 정몽필 인천제철 사장, 정주영 창업주의 동생인 고 정세영 현대산업개발 명예회장 등에 밀려 주목받지 못했다. 현대그룹에서 그는 ‘2군’ 이하인 계열사에 파견돼 신사업을 만드는 역할을 주로 맡았다. 정몽구 명예회장은 1974년 창립된 현대자동차써비스를 운영하면서 능력을 인정받았고, 1977년 세워진 현대정공(현 현대모비스)을 맡았다.
미국에서 조악한 품질로 조롱거리 받기 일쑤였던 현대차가 오늘날의 모습으로 일신(一新)한 것도 정몽구 명예회장이 1999년 경영을 본격적으로 맡으면서다. 미국 품질조사회사 JD파워는 1998년과 1999년 신차 품질조사에서 현대차를 연거푸 꼴찌로 선정했다. 당시 미국을 방문한 정 명예회장에게 현지 딜러들은 "차가 좋지 않아 팔리지 않는다"며 거세게 불만을 표시했다. 당시 참담한 혹평을 듣고 귀국한 정 회장은 생산라인을 멈추게 하고 신차 출시 일정을 무기한 미뤘다. 그리고 정 명예회장이 주재하는 전사 품질 회의를 꾸렸다. 당시까지 현대차는 생산 대수 증가를 최우선 목표로 삼았었는데, 정 명예회장은 이 목표를 버리고 품질 개선을 최우선으로 삼게 했다.
출처: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0/14/2020101401427.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글쓴이]
한양대 공대 학부 졸업 후, 현재는 타대에서 석박 과정을 밟고 있는 원생입니다 :)
학교 홍보도 하고 커뮤니티에서 진학에 도움도 드리고자, 앞으로 틈틈이 모교 출신 인물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
(비방은 자제해주세요)
-
16 36 5065 -
14 16 8000
한양대 미래자동차 면접 김GPT 0 24 13214-
7 10 6507 -
11 8 9542 -
2 13 8696 -
0 14 6676
현대자동차 계약학과 김GPT 0 2 10829-
0 8 16182
용의 꼬리가 되니 너무 힘듭니다(하소연 글) 명예의전당 53 33 21491-
146 49 54798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명예의전당 183 36 3329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0.11.26
2020.11.26
2020.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