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저널 영문 논문 작업에 참여하고 싶습니다. (certificate 보유)

2025.06.18

4

552

안녕하세요

리서치 석사 따는데는 실패했고 postgraduate certificate은 있는데요

저널에 투고할 영문 논문 작업에 참여하고 싶습니다.

SPSS는 초짜 수준이고 t-test 등 할수 있습니다

통계는 초짜 수준이라 도움이 못될 거 같지만 글은 잘 쓰는 편입니다

양적 연구 질적 연구 가리지 않습니다

주로 통계 결과치를 바탕으로 논문 양 늘리기.. 에 기여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제가 미국 유학 영국 유학 둘다 실패하고 인생 완전 꼬인 케이스인데요;

작년부터 첫출근에 일자리도 자꾸 취소되고 일을 할수가 없어서 논문이라도 써보려고 합니다..

혹시 팀에 참여시켜 주실 의향이 있는 분은 whwhowhat@naver.com으로 메일 주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5.06.20

Gpt가 더 잘할 것 같습니다.

2025.06.22

이게 뭔소리야

2025.06.23

좀 냉정하게 말씀드리면, 제대로 된 연구나 실력을 키우진 못했고 분야 또한 제대로 있지 않으신거 같네요.
즉, 연구를 할줄 모르지만 잡다한 일(영어 작업, 기본 통계 등)을 할 수 있으니 다른 사람 논문에 참여해서 논문 작업을 수월하게 도와주겠다, 또는 결과나 주제는 있지만 논문 작성이 안되는 사람들을 위해 작성할 수 있께끔 해주겠다.. 이런거죠?
그러면서 본인도 실적을 올리고요.. 무슨 용병 뛰듯이 말씀하시는데 신선합니다만, 석사, 박사 학위를 제대로 받은 사람이라면 안타깝게도 글쓴이 분이 하는 것들은 다 기본적으로 당연히 가지고 있는 스킬들이구요...

최소한 분야라도 말씀해주시면 글쓴이분을 도와주려는? 사람이 나타날수도 있겠네요..
개인적으로는 논문을 너무 쓰고 싶으면, 해당 분야의 KCI 논문부터 차근차근 읽고, wet 실험이 필요하지 않은, 공공데이터 기반+아이디어+컴퓨터로 할수있는 통계/시뮬레이션 등으로 간단한 주제부터 잡아서 KCI 논문부터 쓰시는게 단계에 맞습니다.
그러다가 논문 작성 실력이 좀 느시면 SCI로 넘어가는거구요. 물론 이공계 기준으로 말씀드립니다.
그런데 이 과정을 혼자 거치면 시간이 좀 걸릴껀데, 그러니 사람들은 대학원이라는 곳을 진학하는 겁니다....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