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글쓴이 님의 상황은 안타깝지만 일반적인 케이스는 아닌 것 같네요. '무조건 펀딩 잘 주는 곳으로 가세요' 와 같은 근거없는 일반화는 공감되지 않네요. 보통은 글쓴이같은 상황을 많이 겪진 않습니다. 연구 핏을 보고 가는게 제일 중요하고, 펀딩을 포함한 재정적 상황도 확실히 해야 하는건 맞지만 우선순위는 압도적으로 연구핏이 높다고 봅니다.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13 - 찐따세요? 알잘딱갈센 좀 하세요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18 - 당연히 잘못이 아닙니다. 제 연구실에는 이런 학생이 없으면 좋겠네요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49 - 교수가 이상한거임.. 그렇게 사람 노예처럼 부리는 사람이랑 일하지 마세요. 돈도 안주면서 무슨 권리로 그렇게 말합니까.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24 - 미국은 돈 주는 박사한테도 1년에 몇 주 휴가줘요. 그냥 이상한 교수 만났다 생각하고 너무 감정상하지는 마세요.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19 - 시그널 주는데 넘나 감사하죠ㅎㅎ
도망치면 딱이네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24 - 급여도 안받고 사전에 말했고 할거 다했는데 그러면 걸러야지 ㅋㅋ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13 - 당연히 잘못이 아니라는데 사람들은 그 뒤 문장만 보고 비추준다ㅋㅋ 보통의 인간들이 얼마나 단순하고 오해하기 쉬운 존재인지를 보여주네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23 - 교수 입장에서 말씀드립니다.
학부생은 학기중에 수업을 듣기에 가능한 학기중에 터치를 안합니다.
대신, 방학은 제대로 한 번 세미나나 연구도 참여시키면서 학생의 역량을 보는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교수 입장에서도 어느정도 여유가 생기고요.
또한, 학부연구생은 어찌보면 의미없는 시간과 공간과 돈을 투자하는 자원봉사이기에
갑자기 방학 때 2주 사라진다하면 저라도 좋게 보진 않을 겁니다.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20 - 한전공대 좋아요 월급 많이 주고 기숙사 신축1인실에 혁신도시 식당도 많아요.
생활적인거 고려하면 지스트급정도는 되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제 개인적인 생각인데 학교이름에 지역명 들어가는것보다는 한국xx대학이 나중에 상방이 더 뚫려있다 생각해요.
아무리 목포해양대가 아웃풋 씹압살해도 한국해양대를 이길수없듯이. 대학이름에 지역명 들어가는 ist들은 아쉽죠
한전공대 비추이신가요?
14 - 부끄러워 하지 마십쇼.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6 - 우리 그만하자...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7 - 포스텍에서 한동대,해양대,제주대 얘기 듣고 팍 식음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3
김박사넷의 오각형의 오류
2019.12.13

김박사넷의 오각형을 보면 연구실분위기, 인품, 실질인건비, 논문지도력, 강의전달력의 5가지가 있다.
그렇다면,
1. 이 5가지 항목 중에서 가장 객관적인 부분의 항목이 무엇일까?
2. 이 5가지 항목중에서 가장 주관적인 항목이 무엇일까?
2번의 경우는 아마도 인품으로 나올 것이다.
1번의 경우는 실질인건비이다. 그다음이 논문 지도력이다. 특히 실질인건비는 평가를 받지 않아도 그 연구실의 방장한테 실질인건비를 물어보면 나오는 것이다.
논문지도력은 그 연구실 홈페이지에서 나온 논문수와 해당논문이 해당 분야에서 권위있게 받아들여지는지를 알수가 있다. 모르면 같은 해당 분야에서 Impact Factor 지수만 비교해 봐도 된다.
그렇다면 자기 연구실의 실질인건비가 과연 제대로 반영되어 있는지 물어보고 싶다.
어느 연구실은 인건비가 꽤 낮은데도 오각형에는 그래도 중간은 한다. B정도는 한다.
어느 연구실은 인건비가 꽤 높은데도 오각형에서 C-D이다.
최소한 실질인건비는 바로 잡아야 하는 것 아닌가? 이것이 과연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을까?
그렇다면 어떤 연구실은 실질인건비가 현실보다 높게 나오고 어떤 연구실은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고 어떤 연구실은 실제보다 몇배로 낮게 평가되어 있다면 이것은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
1. 어떤 연구실은 현실보다 실질 인건비가 낮게 평가되었을까?
교수님이 실험실외부 사람들(다른실험실, 행정직원, 학부생 등), 특히 학부생에게 이미지가 그렇게 좋지 않다. 그래서 실질 인건비를 모르는 상황에서 평가를 받은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 경우 인품도 낮게 평가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 어떤 연구실은 실질인건비가 실제보다 높게 평가되었을까?
이것은 교수님이 인품이 좋다고 판단하는 경우 실험실 내부 사정을 모르는 사람들이 이 항목에 대해서 몰라서 모든 항목을 모두 잘 평가하는 경향에서 비롯된 것이라 판단된다.
그렇다면 실질인건비를 정확하게 알려면 어떻게 할까?
1. 그 연구실의 학생에게 직접 물어보는 것이다. 가장 정확하다.
2. 실제로 1번을 했는데 오각형과 차이가 난다면, 실질인건비/인품의 비로 생각해도 어느 정도 맞을 것이다.
그렇다면 논문 지도력은 어떻게 알수 있을까?
1. 연구실 홈페이지의 논문의 질과 양을 직접 같은 분야끼리 비교해본다. 가장 정확하다.
(추가적으로 김박사넷의 학과 검색을 보면 교수들의 연구력(논문편수, 논문인용빈도)에 따라서 순위가 나오니 이것을 참고해도 된다.)
2. 실제로 1번을 했는데 오각형과 차이가 난다면, 논문지도력/인품의 비로 생각해도 어느 정도 맞을 것이다.
김박사넷 오각형, B 김GPT 39 8 10195
어쩌다 김박사넷 오게 됐는데, 김GPT 48 33 8845
요즘 김박사넷 이슈에 대한 생각 김GPT 20 6 5289
김박사넷 오각형 김GPT 2 6 3133
김박사넷 오각형 뭐이상이면ㄱㅊ?? 김GPT 0 6 7021
김박사넷 오각형뜨는거 김GPT 0 2 5900
김박사넷 평가 김GPT 0 2 5229
김박사넷의 데이타 해석 방법 김GPT 17 8 4627-
0 11 1710
대학원생은 왜 돈에 대해 초연해야함? 명예의전당 175 89 37705-
157 32 42998 -
152 29 4136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35 - 교수님 목소리만 들어도 눈물이 나요.. 어떡하면 좋죠
51 - 조교수도 논문지도교수를 할 수있나요?
22 - 진짜 우리나라 교수님들 기본 마인드가 진짜.. (주관적 견해임)
75 - 빨리 논문 써내고 싶은데..
10 - 김박사넷에서 제일 보기 싫은 글
30 - AI교수 구인난…컴공 전공으로 메우는 대학
5 - 나 교수인데 미국 >>> 교수 == 대기업
18 - 이재x xxx. ㅅcㄲ 좋냐?
26 - 제발 교수하지마
13 - 교수님을 너무 믿지 마세요.
14 - 복잡한내용도 쉽게설명하는게 진짜 중요하다는걸느낌
19 - GPT가 답한 대형랩의 에이스 탄생 시나리오
5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오퍼 펀딩 잘 확인해보세요
31 - 미국 유학/ 전반적인 팁
18 -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35 - 교수님 목소리만 들어도 눈물이 나요.. 어떡하면 좋죠
51 - 조교수도 논문지도교수를 할 수있나요?
22 - 진짜 우리나라 교수님들 기본 마인드가 진짜.. (주관적 견해임)
75 - 빨리 논문 써내고 싶은데..
10 - 김박사넷에서 제일 보기 싫은 글
30 - 나 교수인데 미국 >>> 교수 == 대기업
18 - 이재x xxx. ㅅcㄲ 좋냐?
26 - 교수님을 너무 믿지 마세요.
14 - 복잡한내용도 쉽게설명하는게 진짜 중요하다는걸느낌
19 - GPT가 답한 대형랩의 에이스 탄생 시나리오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신임교수님 학부연구생
13 - 피어 리뷰를 석사과정한테 시키는 연구실이 있다?
34 -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25 - 연구실 빌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7 - 인기랩 기준이 뭔가요?
12 - 이공계는 보통 월에 얼마씩 받나요?
25 - Ist vs 자대
19 -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21 - 사회성 없는 사람인데
13 - 서성한 vs ist
16 - 한 랩에 연구교수가 3명이나 있는 건 왜일까요?
13 - 미국대학 바이오계열 다이렉트 입학 조언 부탁드립니다.(석사입학도 조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1 -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11

Your Future, Unlimited.
UST 2025학년도 후기 신입생 모집
2019.12.13
2019.12.13
2019.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