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왜 쫓아냈어요 ㅠㅠ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30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6 - 어그로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진짜 세탁하려면 하버드 mit 이런데를 가세요..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K대학원은 잡대 학부도 다오는데 무슨 세탁?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1 - 현직 교수입니다. 공감합니다..ㅋㅋㅋ
미국 포닥들 삐대는거 참 가소롭다...ㅋㅋㅋ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3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조언부탁드려요!
2020.03.27

안녕하세요.
처음 들어와서 글 써봅니다.
저는 지거국 이학사 졸업하고 학부생으로 운좋게 수출 80%의 진단키트 제조회사에 취업하여 국내외 인허가 및 다양한 제품의 개발 및 유럽 시장으로의 수출 등을 약 7년동안 도맡아 해온 덕에 현재는 개발 팀장으로 있는 30살입니다.
그런데, 항상 일을 하다보니 출시일에 쫓기듯 우여곡절 다해서 제품을 만들어내긴 내는데
원천기술의 이해를 논문과 특허로만 하고 해외 바이어들 사이의 phD들과만 하다보니
내가 정말 원천기술을 알고 한게 맞는건지 이해를 제대로 하고 한건지 혼자서도 갸우뚱 합니다.
이래저래 개발 완료해서 검증 받으러 학교든 인증기관이든 가면
또 나름대로 결과물이 좋아 evaluation 하러 해외도 보내고 하는데 자기네들끼리 몇번 테스트해보고 괜찮다더니 또 물건을 사가기도 합니다.
이게 저도 처음에는 좋았는데 갈수록 기초과학이나 원천 기술의 심도 깊은 이해가 없이 된건 아닌가 해서 그냥 회사를 잠시 쉬고 연구에 매진하러 대학원에 가려고 합니다.
혹자는 저더러 미쳤다고 하는데, 원래 배움에 뜻이 있었고 다만 사정상 돈을 먼저 벌어 공부해야지 라고 생각했을 뿐입니다. (그냥 나름대로 정신승리 중입니다)
해외에 바이어들이나 엔지니어들 만나서 이야기해보면 학부생 출신인 제 이해의 깊이가 조금은 부족하구나 할 때도 있구요.
회사에 하반기에 그만두겠다 사람 구해라 했더니 길길이 날뜁니다.
산업대학원 가서 학위 따면 되지 않냐 이러는데, 그건 그냥 학위의 문제인거고 저는 공부가 하고 싶은데 말입니다. 좋은 논문도 한편 쓰고 싶고 이 분야의 유능한 사람들과 일도 해보고 싶고 그렇습니다.
학교는 몇군데 컨택했는데 제 현장 경험을 보더니, 사회 물을 꽤 먹어서 정신승리가 어느정도는 되겠거니 하고 생각들 하시는거 같습니다.
lab에서도 석사말고 석박통합으로 들어와라고 하는데 제가 공부를 좀 더 하겠다고만 생각했지 막상 석박통합으로 들어가는게 맞는건지 아니면 석사를 경험하고 또 다른 길로의 박사를 택하는게 맞는건지 (박사 학위까지는 무조건 가려고 합니다.) 이런말도 들리고 저런 말도 들리고
어렵습니다.
공부를 하겠다고는 마음을 먹었고 쇠뿔도 단김에 빼랬다고 마음 먹은 순간 lab도 컨택까지 다 했는데, 석박 통합이 맞는건지 석사만 하는 것이 맞는건지 그리고 정말 석박의 학위가 내가 원하는 실험실엣에서 할 것인지 아니면 학교의 간판을 봐야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어떤 말이라도 귀담아 듣겠습니다. 저에게 해줄 수 있는 조언이 있다면 그 어떤 것이라도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선배님들.
석박통합 VS 석사 김GPT 1 3 11115
조언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김GPT 6 12 6747
조언 부탁드립니다.. 김GPT 1 14 2420-
7 5 4610 -
0 11 5595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김GPT 1 8 2703
컨택 후 고민.. 조언 부탁 드립니다 김GPT 0 11 1169
4학년 학부생에게 조언 부탁드립니다. 김GPT 0 1 4439
인생선배님들의 조언을 받고싶습니다. 김GPT 3 4 1992-
87 82 50581
지도교수와 잘 맞는다는것 명예의전당 124 20 50840
인과관계 영어표현 정리 명예의전당 308 24 59750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