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논문을 낸 저널에 따라서도 연구실 수준을 알 수 있다고 들었는데 해당 분야에서의 저널의 위상?은 어떻게 파악해야 하는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2.08.14
IF 를 보는 단순한 방법이 있는데 이것도 완벽하지 않습니다. IF 가 전체적으로 낮은 분야들도 있고, 대중성이 떨어져서 IF는 낮지만 학술적 임팩트는 높은 저널들도 있고 그러거든요. 결국은 유명한 논문들이 어디에 개제되고 그 업계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보는게 최선입니다.
2022.08.14
IF로 비교하기 어려우면 JCR로 보세요. 보통 해당분야 상위 10% 정도 논문이 얼마나 있나 보시면 되요
2022.08.14
어차피 정확한 저널의 위상은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출판사랑 IF 보고 대충 짐작할뿐이죠.
이기적인 윌리엄 켈빈*
2022.08.14
주변 사람들한테 물어보세요
2022.08.15
IF랑 JCR%로 확인할 수 있지만 해당 업계 사람들 아니면 알기 어렵습니다. 특히 요즘 IF, JCR% 뻥튀기 하는 저널이 늘어나면서 전통 저널의 위치 파악이 어려워요. 저도 타 분야 사람들 만나면 저널 수준 같은거 가끔 물어봅니다.
2022.08.17
출판사 기준
Nature, AAAS (Science), Cell Press
Wiley, ACS, RSC, Elsevier, IEEE
일단 화공, 재료 제 분야에서는 이 정도.
여기 안에서 IF 순으로 보면 대략 맞음.
대댓글 2개
2022.08.22
ECE인데 IEEE는 꼭 IF순은 아님
2022.09.17
ece면 전컴 아닌가? 화공 재료라고 쓴건데요.. 혹시 몰라서 "대략" 맞다고 쓴거고....ㅠㅠ 앞으로 더 정확히 글써야겠네요
2022.08.14
2022.08.14
2022.08.14
2022.08.14
2022.08.15
2022.08.17
대댓글 2개
2022.08.22
2022.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