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상한 교수님을 만나셨네요
31 - 이런 문제에 대해 학과에 다른 교수님과 면담을 해보고
>>여기에 화나신 것 같네요.
23 - 까스라이팅을 당한 학생의 모습...
31 - 그런것이 연구가 지지부진한 이유라면 크게 낙담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모든 연구가 그런 과정을 거치는 법이고 실패를 통해서 성장하는 법이니까요. 연구가 잘 안풀릴 때는 지도교수님과 주변동료들을 적극 활용해보세요. 그리고 타인과의 비교를 통한 셀프자극은 매우 권장하는 바이나 그로인한 지나친 자기비하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으니 너무 남들을 신경쓰지 않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각자의 속도가 있는 법이고 님은 아마도 대기만성형이실거에요. 뻔한 조언이라 크게 와닿지 않으실 수 있겠지만... 어쨌든 힘내시길 바랍니다.
14 - 얼마나 오랜시간을 있는지보다 중요한게 얼마나 효율적으로 그 시간을쓰는게 더 중요합니다.
일주일에 70시간 궁댕이 붙이고있어도, 중간중간 유튜브 보거나 커피마시러다니거나 흥청망청 시간흘리는 시간이 많으면 무슨 소용일까요? 스스로는 "난 70시간이나 연구실에 있어!"라고 할진몰라도 본인만족일뿐이죠.
제가 한국에서 학위받은 연구실은 자유출퇴근이였습니다. 저도 연구실에 꽤나 오랜시간 있었지만, 평소에는 적당히 중간에 쉬엄쉬엄했기 때문에 순수 연구시간이 엄청난지는 모르겠네요. 다만 바쁠때나 디팬스 받기 일년전부터는 정말 오랜시간 연구실에서 실험했던것 같네요. 그래도 연구실 분위기도 자유롭고 편했어서, 연구실에 오래있는게 전혀 부담되지는 않았습니다.
졸업이후 지금은 미국탑스쿨에 있는지 좀됐는데 여기는 하루에 6시간 일하는 미국인 친구도 있지만, 이친구는 그시간 내에 휴대폰도 안보고 밥도 안먹고 일만 합니다. 그러고 깔끔하게 퇴근하죠. 과연 이런 생활하는 친구가 하루 10시간 흥청망청 쓰는 사람보다 못한다고 할수잇는지 모르겠어요.
물론 가장 대단한건 하루 10시간넘게 집중해서 일만하는건데, 이러면 정말 번아웃 오기 쉬운것같아요. 지금랩에 중국인 포닥 한명은 이런데 대단하다고 생각해요.
14 - 그.. 설령 맞는말이어도 그런식으로 말하면 욕먹을텐데요..
좀 세상을 순수하게 보면서 삽시다. 꼬아보지말고요.
애들이 징징거릴수도 있죠 열심히 하는 학생들도 있을거고요.
25 - 솔직히 너무 맞는 말임 ㅋㅋㅋ
19 - 본인은 대단한 사람이라 일침 놓고 계신거군요
17 - KY는 이미 서로 간격이 너무 많이 벌어졌네... 노벨상도 그렇고
14 - 대학랭킹은 각 학교 본부들의 로비실력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 지표입니다.
저런 랭킹 백날 들이대도 연대-성대가 PK보다 좋은 학교고 세종대-영남대가 지스트-디지스트보다 좋은 학교라고 생각하는 사람 없잖아요?
세계대학랭킹이 이름 첨듣는 외국대학들 순위 궁금할때나 찾아보는거지 SPK가 어쩌고 YKSSH가 어쩌고 훤히 꿰고있는 우리가 저걸 참고할 이유가 있나요? 저거 평가한 외국 할배들이 연세대랑 카이스트 중 어디가 더 좋은 학교인지에 대해 한국 대학원생들보다 더 잘 알 이유가 있나요?
우리는 저기 나열된 학교들의 수준을 이미 너무 잘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 순위는 국내대학들의 실력을 나타내는 게 아니라 대학랭킹들의 부질없음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18
많은 연구자가 간과하는 것, 알면서 실천 안하는 것
대담한 프리모 레비*
2023.03.31
그건 바로 논문 읽기
1. 전공 분야의 최소한의 기본 지식을 학습하기 위해 학위 과정 초기에 반드시 필요함.
2. 논문은 정답에 최대한 근접하려 하는 글이지 정답은 아니기에 여러 논문을 읽으면서 비판적 사고와 정보를 선택하는 판단력을 기르는 훈련이 필요함. 이것에 요행은 따로 없고 많은 정보의 습득과 함께 스스로 사고하는 과정이 필수불가결함. 논문 읽기는 여기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
3. 논문 읽기를 통해 논문을 작성하는 방법도 자연스레 터득하게 됨. 학위 과정을 하다보면 어느 순간 논문 쓸 기회가 생기게 되는데 논문 읽기가 부족한 상태일 경우, 익숙한 방식에 의존할 수 밖에 없게 됨. 다수의 논문 읽기를 통해 축적된 배경 지식, 작성 방식 및 연구 흐름 파악은 논문 작성에 있어 비약적인 질적 향상과 효율성을 가져 옴.
대부분의 대학원생 및 연구자들이 그날그날 주어진 과업을 수행하는데 급급해 논문 읽기에 소홀해지는 것 같습니다.
10번의 생각없이 기계적으로 실험하는 것 보다, 체계적인 사고로 한번 실험하고 탐구하는게 연구력 상실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글을 작성하는 본인도 가끔 논문 읽기가 괴롭게 느껴지고, 그날에 이룩한 어떤 과업에 대한 성취감으로 논문 읽기를 거르는 날도 있었지만
최대한 시간 내서 꾸준히 읽고 공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들 화이팅합시다.
1. 전공 분야의 최소한의 기본 지식을 학습하기 위해 학위 과정 초기에 반드시 필요함.
2. 논문은 정답에 최대한 근접하려 하는 글이지 정답은 아니기에 여러 논문을 읽으면서 비판적 사고와 정보를 선택하는 판단력을 기르는 훈련이 필요함. 이것에 요행은 따로 없고 많은 정보의 습득과 함께 스스로 사고하는 과정이 필수불가결함. 논문 읽기는 여기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
3. 논문 읽기를 통해 논문을 작성하는 방법도 자연스레 터득하게 됨. 학위 과정을 하다보면 어느 순간 논문 쓸 기회가 생기게 되는데 논문 읽기가 부족한 상태일 경우, 익숙한 방식에 의존할 수 밖에 없게 됨. 다수의 논문 읽기를 통해 축적된 배경 지식, 작성 방식 및 연구 흐름 파악은 논문 작성에 있어 비약적인 질적 향상과 효율성을 가져 옴.
대부분의 대학원생 및 연구자들이 그날그날 주어진 과업을 수행하는데 급급해 논문 읽기에 소홀해지는 것 같습니다.
10번의 생각없이 기계적으로 실험하는 것 보다, 체계적인 사고로 한번 실험하고 탐구하는게 연구력 상실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글을 작성하는 본인도 가끔 논문 읽기가 괴롭게 느껴지고, 그날에 이룩한 어떤 과업에 대한 성취감으로 논문 읽기를 거르는 날도 있었지만
최대한 시간 내서 꾸준히 읽고 공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들 화이팅합시다.
-
51 12 16310 -
50 5 13147
심봤다 김GPT 7 0 2286
학벌 및 논문 실적에 대한 논란 김GPT 18 8 4675
말하지 않으면 아무도 모릅디다 김GPT 22 7 6830
뛰어난 연구원과 아닌 사람의 차이점 김GPT 32 6 16260
논문을 내는것 자체가 목적인 연구 김GPT 12 13 7681
논문 읽을 때, 질 vs 양 김GPT 11 5 2596-
2 26 5976 -
154 20 65484
용의 꼬리가 되니 너무 힘듭니다(하소연 글) 명예의전당 46 32 17953-
287 29 8540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3.03.31
2023.03.31
대댓글 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