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카이스트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vs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2023.06.15

11

6978

안녕하세요 24-1에 두 대학원 중 한 곳을 넣을 예정인 사람입니다.. 두 주 정도 남아서 얼른 결정을 해야하는데요,

ky 경제 + 통계 복수전공중이고 이번학기 끝나면 대략 학점이 4.1/4.3 정도 될 것 같습니다. 주로 계량/통계/데이터사이언스/ML 관련 수업들 많이 들었습니다. 이외에는 공대에서 학부연구생 반년 한거랑 수리통계학 강의 튜터 하고 성적우수 장학금 받은 거 정도 있습니다.
이번 여름에 URP 지원했는데 붙어서 운좋게 인턴 하면서 입시 준비를 하게 될 것 같습니다..(어차피 인턴한거 입시에 반영 안되는 ..)


몇 가지 불안한 요인은 제가 편입생 출신이라는 점(전적대는 건동홍 공대였습니다. 학점은 지금보다는 조금 낮은편이었고), 제 자교 학점을 카이스트에서 좋게 봐줄지 모르겠다는 점? 정도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고 서류탈 할까봐 조금 무서운데요. 워낙 쟁쟁한 분들이 많이 쓰시고 제가 편입생 출신이기도 해서 온전히 yk출신으로 봐주실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서류만 된다면 뭐 시험이야 정말 열심히 준비할 자신이 있는데, 서류에서 혹여라도 밀려 면접장도 못가볼까봐 조금 불안합니다.

유튜브에 올라온 설명회 영상들 봐도 GSDS나 ISysE 모두 관심있어 보이는데요. 그래서 그냥 조금이나마 들어가기 수월한 단위에 지원하려고 합니다. 들리는 말로는 GSDS가 인기가 조금 더 많은 것 같은데 어디가 더 들어가기 수월할지 혹시 아시는 분 계실까요?

그리고 ISysE + GSDS를 서로 1,2지망 써서 ISysE 썼다가 GSDS로 붙으신 케이스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혹시 24-1 지원하시는 분중에 같이 준비하실 분 계시면 쪽지 주세요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덤덤한 존 케인즈*

2023.06.15

산공이든 데이터 사이언스 대학원이든 그냥 부시는 학점입니다. 통계 전공이면 입시 준비하기도 수월하고요.

대댓글 2개

2023.06.15

고견 감사합니다
덤덤한 존 케인즈*

2023.06.15

4.3 학점체제이신 걸 보니 연대생이신 듯 한데, 연대 4.1이면 유학도전도 괜찮아보입니다.

2023.06.15

어딜 가냐 보다도 어떤 교수님한테 가냐가 중요합니다.. 진짜 아무 교수님이나 상관없다고 하면 어디든 가실수 있는데, 빨리 컨텍해보시길 바랍니다.

2023.06.16

학부 산업공학과 전공했고 카이스트 산업및시스템 공학과 합격한 학생입니다! 산업공학과 전공 수업을 듣지 않았다면 데이터사이언스 학부 지원하는걸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아무래도 산업공학과에 지원하면 산업공학을 전공한 학부생들과 경쟁을 하다보니 프로젝트, 논문, 학점 측면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데이터사이언스학부는 학부 전공과 관계없이 공평하게 입시를 치루기 때문에 작성자님에게 더 유리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서류는 무난히 통과하실 수 있는 스펙 같으세요! :)

대댓글 4개

2023.06.16

그리고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같은 경우 합격하더라도 ai/ml 랩들은 인기가 많기 때문에 OR, OM, 인강공학 금융공학 등 원하지 않는 랩에 갈 리스크도 고려하셔야 합니다! 우선 희망하는 랩실부터 찾아보세요!!

2023.06.16

카이스트 산공or데사 학생입니다. 이제 곧 다녀보시면 아시게 되지만 다른 분들도 참고하시라는 차원에서 댓글드립니다.

1. 산업공학과와 데사는 전공선택과목을 상호 인정해주고 있고, 졸업요건을 채우려면 결국 상호 과목을 골고루 듣게 됩니다. 그래서 딱히 산공과/데사 학생들과 구분 없이 수업을 듣게 됩니다. 요즘은 자대 산공과 학생들도 데사로 많이 지원하고 있어서 두 학과의 선택은 말씀하신 플젝/논문/학점은 거의 무관하게 본인 핏에 맞는 곳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입시 경쟁률 자체는 데사가 더 높다고 들었습니다. 안전빵으로 1지망 데사 2지망 산공으로 쓰시는 게 좋습니다. 연구실은 많이 겹치니까요. 스펙으로만 봐서는 데사 1지망 쓰셔도 무난할 것 같습니다.

3. 말씀하신 산공과 AI/ML 랩은 거의 대부분 데사소속이시기도 합니다. 경우에 따라 한 연구실에 산공티오가 많은 연구실이 있고, 데사티오가 많은 연구실이 있어서, 만약 입시 전에 컨택 성공하신 분은 어느쪽 티오가 남으니 그쪽으로 지원하라고 하시기도 합니다. 미리미리 컨택하셔서 티오가 남는쪽으로 지원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저는 학과보다는 연구실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4. 결론적으로 교과과정이나 소속연구실이나 산공, 데사 거의 비슷합니다. 박사까지 생각하시면 데사가 산공보다 박사 졸업이수학점이 6학점 적다는것은 장점이 될 수 있겠네요.

2023.06.16

정확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

2023.06.16

대학원 합격 축하드립니다..! 정보 감사드립니다..!!

2023.06.16

절대 서류컷 당하진 않아요

대댓글 1개

2023.06.16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