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자꾸 P가 연구로도 SK에 딸린다는데

2023.06.16

78

6093

밑글에 qs 어쩌고 하면서 P가 연구로 SK에 못 비빈다던데, qs 중에 연구항목 (citiation per faculty 항목)으로만 줄세우기 했을때 결과입니다. P가 너무 억까 당하는게 안타까워서 이렇게 반박글을 씁니다ㅠㅠ
P가 SK보다 무조건 좋다!라고 하는게 아니라 관점이나 기준에 따라서 충분히 바뀔 수 있다는걸 보여주려고 쓴 글이니 P 좀 그만 억까하셨으면 좋겠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8개

체한 피터 힉스*

2023.06.16

추하게 자기 글에 추천좀 그만누르셨으면 ㅜㅜ 불쌍

대댓글 2개

2023.06.16

뭔 상관ㅋㅋㅋ

2023.06.16

너나 추하게 팩트도 아닌 얘기로 딴 학교 억까하고, 논점 흐리는거좀 하지말고
체한 피터 힉스*

2023.06.16

역으로 전세계인 인지도 면에서 P가 K, S에 비해 개발린다는걸 반증하는 글인데, 다시말하면 네임벨류가 현격히 P가 떨어진다는거잖아 ㅋㅋ 더 논할게 있니?

대댓글 17개

2023.06.16

인지도가 딸리는 이유를 다시 적어주자면
인지도는 P가 밀리는게 당연하지 규모도 작은데 역사까지 짧은데ㅋㅋㅋ 글고 인지도 조사도 설문조사로 하는데, 당연히 korea, seoul 이 이름에 대문짝만하게 박혀있는 SK가 더 유리한거 아니냐?
이고

이 글은 니가 P가 지방에 있는게 문제가 아니라 연구력 자체가 SK에 비래 딸린다고 해서 팩트로 알려주는건데 뭔 혓바닥이 기냐

2023.06.16

그리고 위에서도 말했지만 기준이나 관점 따라 달라질수 있으니 너처럼 '연구력이 딸린다'는 팩트도 아닌 주장으로 억까좀 그만하라고 쓴 글이라고
체한 피터 힉스*

2023.06.16

혓바닥이 긴게 아니라 내 분야에 있어선 포스텍 연구실보다 서카 연구실이 논문을 훨씬 잘냈음. Korea Seoul이 박혀있는거랑 네임벨류랑 뭔상관이야ㅋㅋㅋ 그러면 Korea University가 인지도 1위여야지. 개멍청하네

2023.06.16

내가 언제 학교 이름이 다라고 했냐? 그것도 유리하다고 했지. 글고 실제로 고려대도 Korea로 인지도에서 좀더 유리한게 있고

2023.06.16

누가 이기든 끝까지 붙어봐
체한 피터 힉스*

2023.06.16

등신아 아무 상관이 없다고 학교 이름은. Korea university가 Yonsei university보다 순위가 낮다고. 좀 말도안되는 주장좀 펼치지마라.

2023.06.16

대신 좀 잼나게 싸워ㅋㅋㅋ

2023.06.16

1. Academic reputation 항목에서 고려대가 연대보다 높다
2. 내가 언제 학교 이름이 다라고 했음? 유리하다고 했지. 그 얘기는 학교 이름이 인지도 항목에 영향을 주긴 해도 그걸로 순위가 결정되진 않는단 거야. 같은 말좀 그만 하게해라

2023.06.16

연구자가 연구잘하는거 얘기하는데 네임벨류운운은 좀 추한듯
체한 피터 힉스*

2023.06.16

그렇게 단편적인 연구성과로 생각하려면 지스트 다녀야지 븅신아.

2023.06.16

각자가 가진 장점 얘기하는데 딴거 가지고와서 어떻게든 끌어내리려는게 추함.
체한 피터 힉스*

2023.06.16

그니까 각자가 가진 장점이랄게 있냐고 포스텍이 딱히? 모든 분야통틀어 봤을 때 연구수준 skp가 비슷하다고 해도 네임벨류가 훨씬 딸리니까 sk선호라는게 이해 안감?
체한 피터 힉스*

2023.06.16

애써 구린 포스텍을 변호하려고 노력하는게 불쌍하다. 나는 바빠서 가볼게

2023.06.16

피터 힉스 억까인듯

2023.06.16

김박사넷에서 맨날 나오는 말이 "대학원은 석사 후 취업할거 아니면 간판보다 연구실이 더 중요하다" 인데 그렇다면 인지도는 딸려도 연구실적은 좋다는거 아님? 그러면 김박사넷에서 말하는 좋은 대학원 맞는거 아님?

2023.06.17

저런 평가에 빠지지 않는 인지도 항목을 믿는 거 자체가 문제가 있음. 그리고 이름에 알만한 도시가 들어가면 유리한 게 맞아. 아주 좋은 예로오스트레일리아 자체적으로는 최고 중 하나로 쳐주는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도 저런 류의 조사에서는 백퍼 University of Sydney한테 밀림. 내가 보기에는 도찐개찐인 U. of Sydney와 U. of Melbourne도 백퍼 후자가 전자에 세계평가에서 한참 밀리는데 이것도 도시 이름에서 밀리는 거임. (시드니가 수도가 아니라는 건 설마 다들 알겠지?) 참고로 시드니가 외국에서는 더 유명하지만 둘은 인구나 경제 면에서 크게 다르지 않음.

내 생각으로는 나라 이름 들어가는 거는 크게 도움 되지 않음. 우리가 알만한 유명 대학에 나라 이름 들어가는 경우가 거의 없어서 익숙하지 않음.

2023.06.19

아 몰랑. p는 spk에서 빼야해~!

2023.06.16

글고 계속 얘기하지만 논점 흐리지 말라고. 이 글 쓴게 P가 SK보다 우위이다 이런 얘기가 아니라, P가 SK에 연구력이 딸린다고 볼 수 없고 기준이나 관점 따라 다르게 볼 수 있으니 억까 그만해라 잖아.
자꾸 말 꼬투리 잡으면서 딴 말하지 말라고 좀

대댓글 17개

체한 피터 힉스*

2023.06.16

딴 얘기가 아니라 내분야에서 서카가 포보다 훨씬 연구성과가 좋았다니까. 내 분야에 있어서 Sk가 P를 연구면에서나 네임벨류면에서 모두 압도함.

2023.06.16

근데 세부분야 따지면 다 서,카,포 다 그런식으로 말할수있을듯요
체한 피터 힉스*

2023.06.16

연구성과는 그럴지 모르지만 네임벨류는 모든 학과에서 P가 밀리는게 팩트

2023.06.16

아 어쩌라고 등신아 니 분야에서 SK가 P보다 훨씬 좋은게 팩튼지 주작인지는 관심 없고, 니가 일반화해서 말했잖아 그것도 qs ranking으로 근거를 들면서 그래서 반박한 건데 말귀를 못 알아먹어
글고 재료쪽 내 분야에서는 포가 서카보다 좋은데, 일케 보면 P가 SK보다 연구 잘한다고 말해야지

2023.06.16

일인당 성과지표 평균적으로 포스텍이 sk 넘고 인지도 sk가 더 좋네요. 맞아요. 딱 거기까지 하세요. 거기서 더 나가서 발작 하면서 비난말구요^^

2023.06.16

작성자님도 너무 흥분마시길..ㅋ
체한 피터 힉스*

2023.06.16

QS 랭킹으로 예시를 들면서 연구성과 순위라고 말한적 없는데 난독증인가? 니가 qs는 양적 평가라는 개소리 씨부려서 교수1인당 피인용수라고 정정해준건데 멍청하게 개소리만하네 자꾸

2023.06.16

확실한건 힉스 이양반은 spk는 아닌듯... 문맥이랑 댓글이 뭘 말하는지를 아예 맥을 못짚네 ㅋㅋㅋ...
체한 피터 힉스*

2023.06.16

1. QS랭킹으로 연구성과 일반화시킨적 없음. 양적평가라고 병신같은 댓글 달길래 1인당 교수 피인용지수라고 반박해준 것.
2. 포스텍이 연구성과가 압도적으로 뛰어나서 인지도는 딸리지만 연구성과 보고 갈 정도로 연구성과가 카이에 비해 뛰어난 것도 아님. 98 vs 97.7
3. 그런데 네임벨류는 심각하게 딸림. 따라서 나는 P를 갈 매력이 없다고 느껴짐.

여기서 이해 안가는 부분이 있음?
체한 피터 힉스*

2023.06.16

따라서 나는 어떤 기준이나 관점을 잡아도 P는 안감. 내분야에선 오히려 연구성과도 SK가 나음.

2023.06.16

힉스 정신적으로 문제 있네
sk가 굳이 p깔 이유가 있나ㅋㅋㅋㅋㅋㅋㅋㅋㅋsk도 아닌듯한데

2023.06.16

1. 힉스가 qs 랭킹을 댓글로 달면서 포가 서카보다 다 밀린다라고함 -> 양적평간데 포가 불리하다고 답글 -> qs 연구는 인당 피인용 지수라고 힉스가 답글
니가 qs 랭킹으로 포를 까면서, qs는 교수 1인당 피인용지수이므로 포가 불리하다는 주장을 반박했잖아. 그럼 qs ranking으로 연구력을 깟다고 봐야하는거지. 왜냐면 전체 항목 중에 연구팩터보다 훨씬 더 큰 퍼센티지를 차지하는 인지도는 양적측면이니깐. 지가 병신같이 반박해놓고 이젠 선동과 날조도 하네

글고 어쨋든 니가 연구력도 딸린다매? 그거 반박하려고 쓴거라고. 자꾸 말 꼬투리 잡지 말고 니가 저말 한건 사실이잖어

2. Qs 인지도 조사 방식이 논란이 많고 그게 진짜 네임벨류를 나타내는지 의문임. 더욱이 qs 조사가 타당하다 쳐도, 평판도 항목은 연구 분야가 한정될수록 점수가 낮아서 같은 과에서도 선택과 집중을 하는 포가 서카에 비해 불리한데(포에 없는 언구분야이면 포를 알지 못할테니깐), 이게 특정 분야에서의 인지도를 의미하지는 않음. 즉 세부분야 내에서의 인지도는 포가 서카랑 비슷하거나 앞설수도 있다고
체한 피터 힉스*

2023.06.16

븅신아 내가 원래쓴 글에 qs랭킹 전화기컴 다 P가 꼴찌라고 결과 가져온거 못봤음? 분야마다 네임벨류가 다를 수도 있다는건 뭔 씹소린데? 어느 대학에나 있는 공대 전화기컴 메이저 전공으로 전공 인지도는 충분히 대표가능하다고 보는데?

2023.06.16

너 진짜 하.... 과가 같다고 분야가 같냐? 세부분야는 같은 과에서도 천차만별이라고
가령 화공과를 예시로 들면 화공과 분야 중에는 전자소재, 생명공학, 에너지, 환경 등의 분야가 있고 이 분야들도 뭐 유기전자, 발광체, 계산화학소재 등 여러 분야로 다시 나뉘는데, 이런 많은 분야들 중에 그 학교에서 연구하는 분야가 없을수도 있다고
체한 피터 힉스*

2023.06.16

븅신아 니말이 얼마나 궤변인지 모르겠냐 ㅋㅋ 세부 분야마다의 네임벨류를 따진다고? ㅋㅋ 일단 이 개씹소리는 반박조차 안할게. 그리고 니 논리에 의하면 카이스트 서울대에서 연구하는 세부분야들도 통계에 집계 안될 수도 있는데? 논리가 딸리면 그냥 발닦고 잠이나 자라 제발 추하다. 나는 진짜 간다

2023.06.16

무슨 벽이랑 얘기하는거 같네ㅋㅋㅋ 야 봐봐 A과 교수들에게 설문조사로 인지도 조사를 한다고 치자. 그러면 A과에서 포에 없는 분야 교수들은 P를 모를거고 그런 분야가 상대적으로 많으면 인지도에서 불이익을 받을 거라고.
근데 이게 포에 있는 분야의 네임벨류를 의미하지는 않고, 결국 중요한건 본인 연구분야의 네임벨류니까 문제가 별로 되지 않는다고 본다고

2023.06.16

힉스 논리가 편협하네

2023.06.16

평판도 조사는 어떻게 하는지 아는 사람은 다 아는데...

2023.06.16

규모 작은건 왜 항상 변호하는데 사용하는지 모르겠음. 규모가 작은건 단점이지. 반대로 규모가 작고 지방 구석에 있어서 매번 SK에 밀리는 이미지가 있다고 생각해보슈. 규모 2배 늘리면 모든 지표가 2배로 늘것이라 착각하는건가.. 교수, 대학원생 전부 2배로 늘리면 지금 논문 퀄리티와 양이 2배로 늘거같음?
저널들도 일반적으로 IF 유지하는 방법중 하나가 편수를 줄이는거임. 요새 중국돈 들어간 곳들은 편수 늘리면서도 IF 올리는 꼼수 쓰지만 정상적인 저널은 IF 떨어지면 편수부터 줄임.
전부터 보면 ist와 P는 규모가 작은걸 계속 방어에 쓰는데 규모가 작은건 본인들의 단점이자 한계점인거지. 지방에 있는것도 단점인거고. 자꾸 지방에 있음에도, 규모가 작음에도 그런식으로 말하는걸 도무지 이해를 못하겠네.

대댓글 3개

체한 피터 힉스*

2023.06.16

내 말이. S K P 다 서울에 있어도 P를 갈 이유가 딱히 있는가? 연구성과는 비슷한데 인지도가 매우 딸리는 상황에서 P를 갈 이유가 난 없다고 봄.

2023.06.16

일단 포가 분야별로 봤을때 서카에 밀리는 분야도 있지만 서카보다 우위에 있는 분야도 있는데, 자꾸 규모의 경제로 평가되는 양적평가나 지방이라는 점만 보고 전체가 평가절하되는 측면이 있어서 규모와 지방 얘기를 한다고 봄.

더욱이 규모가 작은게 양적인 대학평가에서는 단점으로 작용하지만, 전반적인 학교 운영, 혁신 추진 측면에서 큰 규모보다 장점도 분명히 있기 때문에 변호하는거임. 작은 규모와 큰 규모가 현실에서는 장단이 다 있는데에 비해, 양적 평가에서는 이게 드러나질 않으니. 물론 지방은 명확한 단점이긴 함.

글고 정약용 말처럼 규모를 2배 늘린다고 서카와 비슷해진다는 보장은 없지만, 반대로 서카가 규모를 포만큼 줄였을때 그 정도의 비율로 아웃풋이 나온다는 보장도 없음

2023.06.19

중국은 경제 세계 2위라는데 왜 중국은
살기별로죠? 룩셈부르크는 경제순위가 우리나라보다도 뒤에있는데 거기 사람들은 우리보다 부자죠? 이게 설명하는거지? 변호하는거야?
보통 p는 가만이있는데 열등감있어 깍아 내리는 놈들이 있으니 답하는 패턴임


2023.06.16

심지어는 서울대가 칼텍보다 학문적 평판도가 좋다는데. 이 것을 믿는 사람은 누군가? 서울대 교수도 믿기 힘들다고 봄.

2023.06.16

당연한 예기지만 지금 포스텍은 상승세가 분명하다. 첫째 교수 연구력이 인당 15억의 연구비 수주로 끝난 것이다. 둘 째 자금이 2조원이다. 끝났다. 게임 오버.
부지런한 마키아벨리*

2023.06.16

네임밸류로 치면 S>>>>P=K임.. 그만좀 싸워요. 어차피 미국, 유럽 사람들은 서울대밖에 모름. 탑스쿨 미박 및 한국인 교수들도 80%가 서울대 출신임

2023.06.16

미국 사람들이 이 글을 보면 웃는다. 코미디 그만 하자. 학문적 명성이 어떻고 어떻고.
미국 사람들이 그런단다. 아시아 어떤 대학은 미국의 어떤 대학보다 랭킹이 높은데 왜 미국으로 유학 오냐고? 그러니까 그 답변을 누가 달기를 벌써 몇 십년 전에 달나라 간 나라의 대학을 아직 달나라에 한 번도 가본적 없는 나라의 대학과 왜 비교하냐고?

2023.06.16

저 랭킹에서 서울대보다 학문적 명성이 못한 칼텍은 화성으로 로봇을 보낸 대학임.

2023.06.16

대학원 얘기니까 다 집어치우고 논문으로 얘길하자면 nature index가 제일 적합한데 물화생지의 인정받는 저널들을 선정해놓고 논문편수로 점수 매김. Nature에 저자 10명 그중 서울대 소속이 3명이면 서울대가 0.3점 먹는거임. Nature가 JBC보다 가중치가 있진 않고 해당되는 모든 저널의 논문이 최대 1점임. 서울대, 카이가 항상 압도적으로 비슷하게 1,2위고, 그거의 절반 점수 정도로 포공, 연대가 3,4위. (연대가 포공 위일때도 있음.) 그다음이 고려대 성균관대 유니스트가 비슷함. 논문실적면에서 연대랑 동급이긴한데 아마 인용수는 포공이 더 높긴 할거임. 하고싶은 말은 규모가 작다는것은 변호할때 쓰는 말이 아니라 본인들의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것임. 포공이 규모 2배였다면 서울대 카이 급으로 저 점수 나온다는 보장도 전혀없고, 그냥 지금 상태에서 비교하면 끝인거고, 위치가 지방임에도 불구하고 또는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이런말은 아무런 의미가 없음. 규모, 위치 등이 해당학교의 특징인거지 불리한 조건을 가짐에도 지금 수준이므로 우리학교가 더 위다 이런건 어불성설임.

대댓글 14개

2023.06.16

그래서 사울대가 칼텍보다 학문적 명성이 높냐?

2023.06.16

포공은 규모가 작은데. 저 것은 당연한 것 아니냐? 규모가 훨씬 큰 연대와 비슷하다면 포공이 훨씬 좋은 것이지.

2023.06.16

구글에서 검색한 네이쳐 인덱스임.
칼텍: 796
서울대: 551
포스텍: 261
카이스트: 352
연대: 439

너 말대로 라면 연대가 카이스트보다 훨씬 좋은 대학이네.
네이쳐 인덱스로 라면 서울대 명성이 왜 칼텍보다 높냐?
교수수가 너무 작은데 논문수로 평가하는 경우 어떻게 이기냐?

2023.06.16

위에서도 말했듯, 실제에선 큰 규모와 작은 규모의 장단이 명확한데에 비해, 양적평가에선 단점만 보이니 얘길하는거라 생각함.

글고 저 논리 그대로 질적평가에 적용하면 서카는 포스텍, 유니한테 암말 못하지. 규모를 줄인다고 질적 팩터가 상승한다는 보장도 없고. 그러면 여기서 짚어야 할게 양적평가와 질적평가 중 어떤게 타당하냐인데, 교수 한명당 지표도 중요함을 생각하면 양적평가가 항상 타당하다 볼 수 없고, 이럴 경우 포가 서카보다 좋은거지. 근데 거의 보면 양적평가를 기준으로 포를 까니깐 방어를 하는거고

2023.06.16

규모가 작다는게 왜 경쟁력이 떨어지는거임? 그럼에도 불구하고면 견줄만큼의 연구력이면 경쟁력이 훨 높은거지. 포공이 규모를 작게 가져가는것은 학교나름의 전략으로 볼 수도 있는건데 그걸 까기만 하면 안되지.

2023.06.16

검색을 어떻게 했길래? ㅋㅋ 얼토당토않는 점수 가져왔네
서울대 카이가 둘다 200점 정도다 똑바로 찾아와

2023.06.16

chinese academy of science가 전세계 1등이다. 네이쳐 인덱스로. 너 중국으로 유학 가야 되겠다.

2023.06.16

하바드보다 중국 과학원이 앞도적으로 네이쳐 인덱스가 높은데 뭐 하러 미국으로 유학가냐? 중국 갈래 미국 갈래?

2023.06.16

중국 제장 대학이 미국 mit보다 네이쳐 인덱스가 더 높네. 제장 대학으로 유학 가야지. 왜 미국 mit 못 가서 안달이냐?

2023.06.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하여튼 '연구실적' 기준으로 포스텍의 우수성을 주장하는 것들이 제장 대학이 하버드 mit보다 '네임밸류' 떨어진다고 조롱하네 ㅋㅋ 네이쳐 많이 쓰면 제장대학이든 개불대든 상관없다는 마인드 아니었냐?

2023.06.16

배비지/ 내 주장의 요는 소규모도 실제 장점이 있는데 다만 양적평가에서 불리하게 작용돼서 변호한다는거고
와트님도 너무 흥분하지마시길

2023.06.16

말을 잘 못알아듣는거 같은데 왜 규모가 작다는것을 어필하냐는거임. 대학에서 학생뽑을때 성적이 조금 부족한데 집안이 가난하면 자네는 일반가정이었으면 성적이 좋았을테니 합격이네 이러냐구ㅋㅋ 대학을 평가할때도 모든걸 지금 기준으로 평가하는거지 왜 "규모가 작은데도 이정도면" 이런 말이 필요하냐구. 인정받는 저널에 실린 실적의 양으로 평가하는것보다 나은 기준이 잘 없지. 나는 실적의 양으로 얘기했지만 1인당 논문양으로 평가하면 포공이 유리하겠지.
그런데 국가를 평가할때도 국내총생산인 GDP를 예로들지 1인당 생산인 GNP를 예로 들지 않지. GNP는 룩셈부르크가 1등인거로 기억함.
일반적으로 양적평가가 제일 공정한 평가이고 포공이 규모가 작으니 거기서 불리한건 어쩔수 없는거란거다. 근데 거기서 규모가 작으니 어쩌고 하는건 뇌절이란거고. 규모가 작으니 평가에서 손해보는건 당연한거다. 대신에 규모가 작으니 1인당 논문수 평가에서는 이득보잖아. 타대학은 규모가 작았으면 어쩌고 하는걸 본적이 없다.

2023.06.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양적 평가에서 불리하니까 소규모 대학에 유리한 질적 평가 (1인당 000) 이런걸 자꾸 들이대는데 서울대 카이스트에서 최상위랩만 포스텍 정원만큼 딱 뽑으면 바로 압살할걸? SK는 양적 질적 평가에서 모두 우위에 있는 반면에 P는 자꾸 1인당 000을 들이밀면서 룩셈부르크가 미국보다 강대국이다 라는 말을 하는거 같아서 설득력이 떨어짐.

2023.06.19

절대적 양적평가에서 소규모
대학이 밀리는건 논리적인건데 학교 평가를
할때 당연히 고려해야하는거 아니냐? ㅋㅋㅋ

큰학교와 작은학교가 양적평가가 동일하게 나왔으면 작은학교가 좋은게 당연한거 아냐?
양적평가 똑같으면 둘이 똑같은 수준의
학교야?

2023.06.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왜 자꾸 스위스 룩셈부르크 같은 나라가 미국 중국보다 1인당 gdp 높으니까 강한 나라라고 우기지? 인지도나 연구실적도 상위랩 기준으로 보면 sk가 p보다 나은거 같은데? 요새 p 대학원생 전적대 보면 그 연구실적도 방어 못할 거 같지 아마?

대댓글 5개

2023.06.16

룩셈부르크는 선진국이라고 하지. 중국을 누가 선진국이라고 하냐?
중국 사람들도 룩셈부르크 가고 싶어하지.
문제는 우리나라 규모가 큰 명문대는 미국 쪽이 아니고 중국 쪽이라는 예기지.

2023.06.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니가 생각하는 명문대의 정의가 뭔지는 모르겠는데 내가 봤을땐 중국이 경제력 국방력 산업 거의 모든 분야에서 스위스 룩셈부르크보다 모든 지표가 우위에 있을거야. 미국이든 중국이든 본인들이 가진 인구 자원 기술 등등을 최대한 잘 활용해서 세계 1위 2위 강대국인거고. 그게 한국의 서울대 카이스트다. 포스텍은 그냥 룩셈부르크인거고. 뭐 한전공대가 스위스 하면 되겠네 ㅋㅋ 걔네들도 정시 10명 20명씩 뽑으면서 '평균 입결' 높다고 자위하잖아?

2023.06.16

카이스트는 몇명 정시로 뽑는줄아냐? 니가 말하는 20명 작년에 뽑았다.

2023.06.17

난 룩셈부르크가서 살고 싶은데 ㅋㅋ 중국보다

2023.09.04

중국이 룩셈부르크보다 '강국'은 맞지요
다만 내가 이민을 간다면 대부분은 '선진국'인 룩셈부르크에서 살고 싶을 거고요.

spk는 강국순위가 아니라 선진국 순위랑 비교해야 맞는 순위입니다.
강국으로치면 포스텍보다 경북대 카이스트보다 충남대가 훨씬 크죠..

2023.06.16

카이스트는 몇명 정시로 뽑는줄아냐? 니가 말하는 20명 작년에 뽑았다.

2023.06.17

P가 딸리다는 의견이 많다는게 신기하네 ㄷㄷㄷㄷㄷ

대댓글 1개

2023.06.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P가 딸린다는 의견이 많은게 정상이지

2023.06.17

굳이 이렇게 자료를 가져와야 설명할 수 있다는거부터 진거임ㅠ

대댓글 1개

2023.06.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ㅇㅇ 맞말

2023.06.17

허접대학들끼리 왜 싸우냐.. 프로축구 3부리그 팀들끼리 어느팀이 낫냐면서 싸우는것과 뭐가 달라.

2023.06.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네이처 인덱스에서 성대한테도 발리던데

2023.06.19

S가 첨부터 규모가 작았으면 지금 위상일수도 없고 p만큼 됐을지도 모르는거고
yk 규모가 p정도 규모에 역사였으면 최고 퍼포먼스는 딱 지금 서강대 수준이었을 확률이 가장 높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