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사 논문 지도 교수가 논문 심사 위원이 될 수 있나요?

2023.06.21

18

2186

안녕하세요.

여기 글들을 보니까 논문을 학부생이 심사하기도 한다고 할 정도라서, 제가 의문을 갖는 게 타당할지 모르겠습니다만,

석사 논문 지도 교수가 논문 심사 위원이 될 수도 있나요?

이렇게 되면 자기가 지도하고 자기가 심사도 한다는 건데, 공정성도 그렇고 권한도 너무 막강하고 그렇다는 생각입니다.

학칙에는 지도 교수가 심사 위원을 추천하다고 돼있어서, 지도 교수와 심사 위원은 다른 사람으로 해석이 되는데,

자기 추천으로 가능할 것 같기도 하고,,,,

여하튼,

논문 지도 교수가 논문 심사 위원이 되는 게 가능한지 문의 좀 남깁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무서운 백석*

2023.06.21

네. 심사위원이 애초에 한명이 아닙니다. 지도교수는 반드시 들어갑니다

대댓글 1개

2023.06.25

학칙에 지도 교수가 3인을 추천하고 총장이 위촉한다고 돼있어서, 통상은 이런 학칙을 보면 지도 교수가 아닌 3인의 다른 심사 위원을 떠올릴 것 같아서 문의 글을 남겼는데,

다들 지도 교수가 들어가는 게 맞다는 분위기라 흠

2023.06.21

지도교수가 심사위원 장 입니다.

대댓글 2개

2023.06.25

심사위원은 모르겠는데 심사위원장은 좀 아닌 거 같긴 한데,

이게 또 사정이 다들 좀 다르고 하네요.

2023.08.01

저희는 심사위원장이 지도교수인데 학교마다 다른가보군요.
기쁜 마리 퀴리*

2023.06.21

석사뿐 아니라 박사학위 논문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실 그 논문이 대해 가장 잘 아는 교수가 지도교수인데 안들어가는게 더 이상하죠.

대댓글 1개

2023.06.25

박사 정도면 한 사람의 독립된 연구자가 나오는 건데 왜 그 자리에 지도 교수가 있어야 되는지 모르겠어요. 필요하면 있을 수는 있는데 그거는 선택이 돼야 하는 거고,

오히려 관련 없는 사람들이 심사하는 게 공평한 거 같은데요.

근데 또 여기 분위기는 안 그래서 적응 중입니다.

2023.06.21

학위를 인정받는데 지도교수가 심사하지 않는것이 이상한거 아닐까요..

대댓글 1개

2023.06.25

저는 지도교수가 심사하는 게 이상한 거 같아요.

자기가 지도를 했으니 심사는 다른 사람들이 맡는 게 맞는 거 같은데?

여기는 아니라는 분위기라서 적응 중임돠.

2023.06.22

보통 꼬랑지 심사위원으로 들어가고 심사위원장을 맡지는 않습니다. 3명 모아야 하는데 석사심사위원은 보통 2명 찾기도 어렵습니다. 아무래도 지도교수님이 부탁하기 좋은 분들이 오실테고 지도교수님 의견이 강하게 작용하긴 하죠.

대댓글 1개

2023.06.25

지도 교수가 워낙에 유명하고 학내에서 영향도 어마어마한 터라

뭐 심사위원 찾으시는 거는 그 교수님한테는 쉽지 않았을까 싶네요. ^^

2023.06.22

걱정마세요. 함량미달의 석사배출은 교수입장에선 먹칠이기때문에, 수많은 논문지도교수가 논문심사때 오히려 공격적으로 돌변하거나 혹은 필사적으로 학생 논문의 의미를 찾아 디펜스 해줍니다..

대댓글 4개

2023.06.25

저는 오히려 다른 교수들은 가만히 있었는데 지도 교수가 고함을 지르고 내용 다 삭제하라는 둥 난리를 치며 통과 못 한다는 식으로 말을 했다가 그냥 거의 그대로 통과가 되어서 논문이 되긴 했는데.

논문 지도할 때도 논문 내용은 한 번도 안 보고 마침표가 잘 못 됐다, 가로를 잘못 썼다, 참고 문헌 양식이 틀렸다, 맨날 이런 걸로만 지적을 계속 받아서 논문 발표할 때도 전혀 다른 소리만 하다가 결국 그대로 통과는 되었는데.

디펜스를 해줬다기 보다는 거의 황당한 망신만 당하고 어찌 어찌 통과한 케이스?

그런데 왜 학칙에는 지도 교수가 추천한 3인이 심사 위원이 된다고 돼있을까요? 지도 교수는 자기 추천이 되는 모양이군요.

2023.06.26

간단합니다. 1) 지도교수가 자기 분야를 가장 잘 알기 때문에 논문심사자에 적합한 레프리를 구하는것은 합리적입니다. 2) 지도교수가 나서서 추천하지 않으면 대체 누가 남의 학생 논문심사에 적극 협조하겠습니까.

아 그리고, 마침표, 가로, 참고문헌 등의 양식이나 오타실수가 사소한 실수라고 보실수도 있는데, '출판'을 하는 입장에서 저런 실수는 '치명적' 입니다. 저건 사소한게 아니라 기본의 문제입니다. 모니터를 예로들면, 모니터의 색감도 중요하지만 불량화소의 여부도 중요하죠? 그렇게 보시면 될 듯합니다.

2023.07.04

교수에 대한 무슨 환상(?) 같은 게 있으신 거 같은데, 교수라는 직업은 논문 지도가 직업이고 (물론 연구와 강의도 있지만) 논문 심사에 대한 심사위원 추천권이 있는 겁니다. 따라서 지도교수가 나서서 추천을 해주지 않으면 누가 하냐가 아니라, 그거 할 능력이 안 되면 교수를 할 수 없는 겁니다. 뭘 좀 잘못 알고 계신 거 같아요. 따라서 논문 지도 교수가 논문 내용은 지도하지 않고 각주 양식만 가지고 지도를 했다면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게 정상적인 거죠. 각주 양식은 논문마다 다 다릅니다. 그런데 해당 교수는 학교에서도 아니라고 하는 양식으로 논문을 작성할 것을 강요했고 결국 나중에는 신경도 안 썼습니다.

지도교수가 자기 분야에서 가장 잘 아는 분야가 있을지는 몰라도, 논문이라는 건 새롭게 쓰여지는 거기 때문에 교수도 모를 수가 있는 거죠. 자기 분야에서 가장 잘 안다고 세상 모든 새로운 지식을 다 안다는 님같은 분들 때문에 오늘도 교수들이 편하게 강의하는 거 같네요.

2023.07.04

함량미달의 석새배출이 교수입장에서 먹칠이라고 하셨는데, 교수들이 자기가 배출한 석사들의 앞길에 대해서 그렇게 신경을 쓰고 있다는 님의 관점도 대단히 희한하네요. 자기가 챙기는 학생이 있는 교수들이 있긴 했으나 딱히 자기가 배출한 모든 석사에 대해 책임을 지는 교수는 별로 본 적이 없어서요.

그리고 석사 정도면 성인 연구자인데 논문에 대해서 질문이야 할 수 있겠으나 교수 자기가 나서서 돌변까지 하고 디펜스까지 하면서 이래라 저래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2023.06.22

저는 현재 학교에 있고, 다른연구실 학생들 공동지도했고 석사디팬스에 참여한적도 좀 있습니다.
저도 제 이름을 걸고 심사를 하는것이기에 사실 더 빡세게 보면 빡세게 보지, 쉬엄쉬엄 봐주진 않습니다.
물론 심사라는게 꼭 제 의견을 어필할수있는게 아니라, 선배교수가 몰아가는 분위기에 따라 흘러가는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공동지도했던 학생이 부족했다고 생각했는데, 모든 심사위원들이 학생 칭찬하면서 박사과정가면 더 잘하겠다고 대놓고 말해서, 그냥 몇가지 수정사항만 권유해주고 끝난경우도 많은데요.
결국 지도교수의 의중이 가장 중요합니다. 지도교수가 연차도 높고, 졸업시킬 의지가 강하면 박사졸업심사도 함부로 못엎어요..

대댓글 1개

2023.06.25

아뇨.

저는 반대로 다른 교수님들은 다들 조용히 계셨는데 오히려 지도 교수님이 이상한 걸로 계속 태클을 걸어서 떨어질 뻔 했달까요? 오죽하면 다른 심사 위원들이 지도 교수님하고 다시 말씀 잘 해 봐라 면서 어색해 할 정도? 논문 참고 문헌에 들어가는 양식이 있잖아요? 이름, 서명, 괄호하고 년도 뭐 이런 것들이요. 그거는 나중에 편집하면 되는 건데, 계속 그것만 가지고 다시 써오라 다시 써오라 그것만 했어요, 논문 지도 내내. 그러니 논문 발표할 때 제 논문을 이해하고 나올 수가 없는 상황이었던 터라 논문 심사가 괴상했죠. 이미 미리 다 보여드린 건데, 그거는 뭐냐 이거는 뭐냐, 막 이런 분위기. 그리고 그거 빼라 했다가 아니라고 했다가 정신도 없고. 그래서 그냥 제가 한 거 거의 그대로 통과는 됐는데.

교수님이 워낙에 너무 바쁜 분이라 그럴 수도 있다 생각은 하지만서도,

여하튼 지도 교수가 논문 심사 위원을 추천할 수 있다고 돼있는데 그게 자기 추천도 된다는 말인 것으로 이해해야겠군요.

학칙에는 지도 교수가 3명을 추천하면 학장이랑 총장이 위촉하도록 돼있거든요. 이 때 자기를 심사위원으로 추천하는 거군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