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름이 아니라 논문 저자 관련해서 질문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저의 경우에는 연구 과제를 수행하며 좋은 실험 결과를 얻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지도교수님의 지도 아래 연구 및 알고리즘 설계는 주도적으로 진행하였습니다.
한글로 된 연구 과제 보고서(논문 형식)는 완성하였으나, 지도교수님께서만족스러워하시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이후 논문 제출을 위해 원고를 쓰려고 했으나, 교수님의 추가 연구 디자인 및 재실험 요구사항 때문에 늦어졌습니다.
저의 원고 작성이 늦어지면서, 교수님은 한글 버전의 보고서 바탕으로 직접 원고를 작성하시기 시작하셨고 저는 figure나 알고리즘 세부 내용 관련해서 이를 보조하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이라도 가능하면 제가 남은 부분이라도 원고를 쓰고 싶은데, 교수님께서 잡고 계셔서 주도적으로 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일때는 지도교수님이 논문의 1저자가 되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겠죠?? 문제 가설 설정, 실험 설계 및 알고리즘 구현까지 거의 혼자 다했는데 원고를 작성 못해서 매우 아쉽습니다.
Note) 교수님께서는 해당 논문의 저자 이슈는 저와는 직접하시지 않았으나 랩장에게는 푸념하듯이 자기가 글을 다쓰는데 1저자를 해야하지 않겠냐하셨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옹졸한 알렉산더 벨*
2023.07.18
지도교수는 교신저자고 학생이 제1저자입니다.
대댓글 2개
2023.07.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우리나라 관례상 그런거고 교수님이 거의 쓰시면 교수님이 1저자 하기도 합니다. 그냥 교수실적평가는 교신저자/1저자 다 들어가니깐 본인이 다써도 1저자 학생 주고 교신 가는 경우가 많은거죠.
옹졸한 알렉산더 벨*
2023.07.19
우리나라 관례가 아니고 전 세계 어느 나라도 다 동일합니다.
2023.07.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교수님이 하자는대로 놔두시면 될텐데 교수님이 1저자로 써놓으셨으면 당연히 교수님이 1저자 하면 되고 님 1저자로 넣어주고 교수님이 교신으로 가시면 감사합니다 하고 더 열심히 기여하면 됨
대댓글 2개
2023.07.18
저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기적이게 생각해보면 원고 쓸 기회도 받지 못해서 아쉬운 부분이 자꾸 안좋게만 생각되네요
IF : 1
2023.07.19
올바른 학생의 자세입니다. 우리나라 다른 학생이었으면, 그냥 감사합니다 하고 1저자 먹었을듯요... 작성자님이 정상이고 아쉬워하는게 맞고, 그런겁니다.
2023.07.18
저도 신임교수고, 똑같이 학생들 데리고 당장 실적내야되는 상황이라서 원래부터 생각했던 아이디어 주면서 세부적으로 다 가이드해주고 학생은 실험을 열심히 해오는 방식이였습니다. 저도 똑같이 힘들겠지만 계략적으로 논문작성 해보라고 했는데.. 글 써온것보니 어디서부터 고쳐야할지 감이 안와서 그냥 제가 스크립트도 다 썼습니다. 그림만 좀 요청했는데, 그마저도 마음에안들어서 그냥 제가 그리거나 아는사람한테 외주맡겼어요. 제가 태뉴어 받은입장이면 몰라도 지금당장 급하니까요.. 당연히 석사과정 학생에게 제가 너무많은걸 요구했다는것도 압니다. 저도 그랬고 처음부터 논문 잘쓰는 사람은 없고요. 그 논문이 꽤나 좋은저널에 실렸는데, 저도 학생에게 가끔씩 이정도면 내가 주저자했어야하는거 알지? 라고 말하곤 합니다. 그 학생은 그래도 이번기회에 앞으로 좋은논문 어떻게쓸지 경험도 생기고 동기부여도 생길테니, 앞으로 잘하겠지 싶어요. 다만 최근에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논문실적도 있어서 군대만 없으면 박사유학 갔을텐데 라는말을 후배한테 한다던데.. 솔직히 저도 부처가 아니라서 많이 빡칠뻔 했던것도 기억나네요. (못들은척 하고있습니다) 그만큼 학생들도 교수한테 스트레스받겠지만, 솔직히 교수도 학생한테도 스트레스 많이받고 교수직업 힘듭니다.. 아마 5~6년되서 학생들이 부사수 챙겨서 잘 굴러갈때즈음 되면 저도 편해지겠죠.
대댓글 2개
2023.07.18
현 지도교수도 아마 그냥 신세한탄하듯이 말하는거지, 굳이 학생을 빼고 본인이 주저자/교신저자에 둘다 들어갈 이유는 없는걸 아실겁니다. 그래도 아무말없이 주저자 주면, 학생들은 그렇게 교수가 스크립트까지 다 써주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할 여지도있기에, 어느정도 '이번에만 도와주는거 알지?' 라는 뉘앙스로 말씀하신게 아닐까 싶네요.
2023.07.19
교수님 정성스런 답변 감사드립니다! 지도교수님 입장을 크게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십시오. 바쁘실텐데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3.07.19
말은 그렇게 해도 교수님이 일저자로 내진 않겠죠. 교신먹고 학생을 일저자 줄텐데 그래도 어느정도 감사나 생색은 바라시겠죠. 그냥 나중에 감사합니다 하고 열심히 하겠다 하면 돼요
2023.07.19
라이팅한 사람이 주저자라 학생이 그걸 인지하길 바라는 마음에 말로만 그렇게 하시는 듯. 당연하게 해주면 얘가 원래 그런줄 알테나깐. 학위논문도 아니고 저널 투고할 논문을 오래 들고 있을 순 없기 때문에 그냥 교수님이 쓰신거 같은데 다음에 본인이 쓰고 떳떳하게 주저자 받으면 됨
자상한 밀턴 프리드먼*
2023.07.20
롸이팅이 중요하긴 하지만 논문의 아이디어와 해결을 학생이 했는데 교수가 1저자로 가는 것은 너무 심함. 나는 아이디어도 내가 내고 실험도 반은 내가 했는데. 참여한 학생 중 가장 열심히 한 학부학생 1저자 주었음. Top저널은 아니지만 sci. 그거가지고 다른학교 대학원감. 뭐 상관안함 나랑 있을 때 결과만 잘네면 됬지. 다른데 가서 나깉은 교수 없는것 알면 후회할테니.
2023.07.23
그냥 1저자로서 해야할 것들이 석사의 경우 트레이닝이 부족해서 퀄리티나 속도가 안나오니까 자기가 하게 된 거에 대한 한 숨 정도 입니다. 비유하면...과외하는 애 풀어주다가 이쯤되면 내가 수능 보는지 니가 보는지 모르겠다 뭐 이런 식의?ㅎㅎ 그리고 제안서와 논문은 많이 달라요. 또...한글 버전에서 만족 못했다는 건 논문 내의 논리나 필요성, 발견 혹은 개선에 대한 근거 등을 작성하는데 부족하기에 그런건데...이게 젊은 교수일수록 갈등이죠. 위에서 언급한 말씀처럼 테뉴어나 재계약 심사에는 실적이 필요해요. 트레이닝 시켜야하는데 이것과 평가 시기 때문에 쉽지 않죠.... 이번 기회에 프로가 어떻게 생각하고 글을 써 내려가는지 배워보시고 교수님한테 가서 피겨 하나에 대해서 한 번 써보고 싶다고 말이라도 해보세요 ㅎㅎ 아~우리 학생이 이런 생각 좀 해줬으면 좋겠군요 ㅜㅜ
2023.07.18
대댓글 2개
2023.07.18
2023.07.19
2023.07.18
대댓글 2개
2023.07.18
2023.07.19
2023.07.18
대댓글 2개
2023.07.18
2023.07.19
2023.07.19
2023.07.19
2023.07.20
2023.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