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자연계 학부생 성적고민과 랩실추천

2023.07.19

12

1237

안녕하세요. 저는 경기권 대학 생물학을 전공하는 학부생입니다. 조금 긴 글같아 죄송하지만 진지하게 고민하는 바이니 많은 조언과 정보 부탁드립니다.
저는 동물행동학, 생태학, 보전생물학 등과 관련된 연구 분야에 진로를 희망하며 동물을 공부하고 싶은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고등학교 시절부터 흔히 말하는 문과머리(?)를 가진 저는 수학과 과학에 굉장히 취약하였고, 1학년때는 통합이라 전교 1등까지도 하였으나 이과반으로 들어간 후 성적이 많이 하향하였습니다. 재학 중, 그리고 입시기간 때에도 부모님과 선생님들께서 서울권의 다른 과 진학을 권유하여 주셨지만 저의 고집.. 소신으로 생명과를 진학하여 향후 동물행동학을 하고 싶은 마움이 너무 커 대학을 조금 낮춰서 들어왔습니다.
대학에 들어와서도 공부가 맞지 않아 많이 힘들었고, 심지어 기초과목(미적, 화학, 물리) 수업을 단지 따라만 가는 것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많은 시간 공부를 해야만 하는 진로를 희망하는 제가 전공공부가 이렇게 안맞는데 내가 과연 할 수 있을까, 적성이 안맞는 것이 아닐까 라는 고민도 많이 했습니다.
그렇지만 전공 중 유일하게 생태학이나 분류학, 식물학 등을 들으면서 재미를 느꼈고, 힘들어도 열정이 생기는 이 분야가 내 길이다라는 확신을 하여서 어떻게든 포기하지 않으려 합니다.
제가 작년에 인턴 컨택을 위해 자대 교수님과 면담을 하였는데, 변명없이 이러한 제 솔직한 이야기와 성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았고, 질타 혹은 단호한 거절을 예상하였지만 감사하게도 교수님께서는 저의 어려움을 공감해주시면서 '학생의 상황이 이해가 가고 어려울 수 있다, 학생이 이 길로 가고싶다라고 생각했으니 이것은 내가 평생 해야하는 공부이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노력하면 된다. 자네가 나에게 그 노력을 결과로 보여주면 인턴을 넣어주겠다'라는 말과 함께 진지하게 상담해 주셨습니다.
실제로 한학기가 지난 후 전공 성적이 정말 많이 올랐습니다. 진짜 밥먹는 시간 외에는 잠을 줄여가며 열심히 했습니다. 그리고 더 열심히 해서 다음학기는 더 올릴 예정입니다.
인턴은 자대에서 하더라도 현재 자대대학원은 좀 더 식물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곳이라, 관련 타대 대학원 진학을 희망합니다.

1. 남은 학기 최대한 하면 3점 중반까지는 만들 수 있을 것 같은데, 이 정도 성적이면 관련 대학원(설카포까지는 아니더라도 서성한, 중경외시)에 넣어봐도 가능성이 있을까요?(물론 과바과고, 누구든 장담할 수 없다는 건 알지만 그래도 이정도면 서류 넣어봐도 괜찮다 정도만이라도요,,!)
믈론 성적이 택도 없다면 초과학기를 들어서라도 3점 후반,4초반까지 올릴 각오는 되어있습니다.

2. 부끄럽지만 제가 정보가 많이 부족해서 그런데 혹시 국내 관련 랩실/대학원(생태학, 보전생물학, 동물행동학, 야생동물, 분류학) 알고 계신다면 있는대로 최대한 많이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대학 네임은 상관 없습니다.
아무래도 국내에 동물행동학이 많지 않다보니 석사를 딴 후에 유학도 긍정적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벌이, 마이너, 트렌드 상관없이 그냥 제가 하고 싶은 공부고 쉽지 않아도 포기안하고 최대한 뭐든 해볼 생각이니 많은 방안이나 랩실 추천,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07.19

1. 대학원 입시는 장담하지 못합니다. 학점이 낮아도 연구활동이 있다면 어느정도 커버는 됩니다만 컨택이 중요합니다
2. 학생이 찾으셔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당장 S대만 보더라도 그쪽 하시는 분 계십니다. 학생이 관심 있는 분야를 학생이 열정을 가지고 찾아야지 그걸 다른 사람에게 맡기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대댓글 1개

2023.07.20

1번에 대한 답변 감사합니다! 관련 공모전과 연구프로젝트 경험이 있는데 이것을 살려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열정이 없어서 아무것도 안하고 남한테 무조건 맡기는 것이 아니라 저도
이대 랩실, 서울대 수의학 대학원 내 랩실, 서울대 곤충학 랩실, 강원대 파충류관련 교수님, 중앙대,경희대 조류 등 관심가는 곳 몇 군데 알아보았습니다. 일부 컨택하여 메일드리고 조언도 구했습니다.
근데 아무래도 이쪽 분야가 아직은 국내에 많지 않기도 하고 일개 학부생인 저보다는 현재 관련 분야에 실제로 연구에 종사하시는 분들이나 준비하시는 분들이 있으시다면 정보의 폭을 더 넓힐 수 있을 테고, 때문에 제가 미처 몰랐던 새로운 랩실이나 정보가 있을수도 있으니 알고계신 분들이 있다면 많은 랩실을 많이 알아 두고 싶어 조언 부탁드립사 글을 쓴 겁니다. 스스로의 고민 없이 남이 찾아주면 정해준대로 거길 가겠다는 것이 아니라요.. 애초에 이곳은 많은 사람들이 대학원이나 연구에 대한 다양한 고민을 나누고 관련정보나 조언을 구하기 위해 존재하는 커뮤니티가 아닌가요? 그래도 댓글 달아주시고 따끔한 조언 감사합니다.
공허한 피보나치*

2023.07.19

한국에서 생태학 관련은 거의 없기도 하고 죽은 학문입니다 외국으로 가시거나 식물하세요 그나마 가능성 있고
경기권에서 3점 중반이면 3.5 잡고 자대에 남아 빠르게 학부연구생부터 석사로 진학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빠를수록 좋은 게 논문 2저자라도 받으면 박사를 타대로 가기에도 좋습니다 석사동안 실적도 중요하지만 석사동안 쓰는 논문 갯수 거기서 거기니 빠르게 해서 논문 수라도 늘리게 이득입니다

대댓글 2개

2023.07.20

그렇군요.. 혹시 식물로 전향할 생각 없냐는 말을 교수님께도 들었는데 아직은 동물쪽을 공부하고픈 맘이 있지만 식물쪽도 긍정적으로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네요.. 현실적인 조언 감사합니다!
공허한 피보나치*

2023.07.20

생캐학 말한거 아니고 식물생리 말한거에요 생태학은 ㄹㅇ 한국에서 힘들어요

2023.07.19

저 시립대 생명과학과 4학년 학생이고 학부연구생 하고 있는데요. 지방대 3점 중반 학생 저희 랩실 석사로 와계시더라고요.
컨택만 잘하면 충분히..

대댓글 1개

2023.07.20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실례가 안된다면 어느 연구실에 소속으로 계신지 여쭈어봐도 될까요..? 이름 언급 안하셔도 어느 분야인지만이라도요..! 곤란하시면 안알려주셔도 괜찮습니다!

2023.07.20

저 지방사립대(흔히 말하는 지잡) 3점 중반인데 컨택 운좋게해서 카이스트 신생랩 입학했습니다
대신 저는 분야를 조금 덜 인기있는 곳으로 바꿨어요

대댓글 2개

2023.07.20

혹시 어느과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2023.07.20

이것저것 여쭤보고 싶은데, 오픈챗으로 연락주실 수 있으시다면 연락 부탁드립니다.
https://open.kakao.com/o/svyGXpwf

2023.07.20

생태면 해외 나가야지

2023.07.20

근데 그런 분야는 왜 하는 건가요? 취업도 못하는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