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비도 넉넉해서 용역 과제하는 것도 없고 다 개인 연구함. 진짜 자율인게 며칠 출퇴근 안해도 크게 뭐라 안할 정도로 자율임. 교수님은 저녁은 집가서 먹어야 한다는 주의라서 5-6시로 되도록 퇴근 하도록 하자라고 말씀하시는데 진짜 학부연구생들까지 교수될거라고 새벽까지 실험하고 논문 쓰다감 문제는 나는 박사과정 1년차라 웬지 얘들보다 열심히 해야되지 않을까 싶어 더 열심히 하긴하는데 주2-3일은 4시쯤 칼퇴하긴함. 여자친구 안 챙길 순 없어서..ㅠ 포닥분도 새로 왔는데 한 일주일 10-5하시다가 여기 애들 ㅁㅊ다면서 갑자기 같이 9-12하는 중임. 렙 분위기란게 진짜 중요한거 같음. 바로 옆 렙은 오후되면 맨날 교수님 퇴근했는지 주차장 가보고 다 도망가던데 진짜 안타깝더라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2023.07.25
우리방은 내가 가장 실적 잘나오는데 내가 가장 먼저 출근하고 나만 6시 넘어서 퇴근함ㅋ 우리도 선배 후배들 제발 열심히 했으면 좋겠다ㅠ
대댓글 1개
2023.07.26
가장먼저 출근하고 6시넘어서 퇴근하니까 실적이 가장 잘 나오는게 아닐까요ㅋㅋ
2023.07.25
분위기 조성을 잘 한듯 학생들 모두 교수를 목표로 잡고 연구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니깐 동기부여 확실하네
대댓글 1개
2023.07.25
ㅇㅇ요즘 들어오는 애들 다 교수가 목표라더라ㅋㅋ
2023.07.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나도 석사때까지는 밤늦게까지 연구하고 그러고 사는게 미덕이고 존중받는건 줄 알았는데 미국오니까 진짜 이상한거였음. 진짜 바뀌어야함.
대댓글 5개
2023.07.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CS고 T10안짝임.
2023.07.25
Cs면 집에서도 다들 일하긴 함
2023.07.25
본인 가치관이지 뭐 굳이 바뀌거나 이상하다 생각할 필요가?? 개인적으로는 '본인 건강 해치지 않고 번아웃을 스스로 잘 조절한 상황에서는' 직장구하기 전까지는 열심히 살면서 실적 잘쌓는건 충분히 좋다 생각합니다. 그 이후부터 가정 생기고 하면, 가정에 충실한것도 인생에서 크게 필요하다 보고요. 참고로 저는 top5에서 2년정도 포닥했는데, 옆랩이든 저희랩이든 중국인들이 많아서 그런지몰라도 다들 밤까지 실험합니다. 드라이/웻랩의 차이도 고려해야될수도 있겠죠.
2023.07.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 가치관이라는게 나라를 나락으로 가게 만들고 있다고 생각함. 본인 건강 해치지 않고 번아웃을 스스로 백날 잘 조절해봣자 가족/연인/친구와 뜻깊는 시간을 보내는 건 불가능함. 그러고는 지금은 밤늦게까지 일할 때라고 가치관 잡고 30살 다될때까지 연구실에서 삼. 그러고 박사는 졸업하고 즐겨야지 조교수 실적은 채우고 즐겨야지 테뉴어는 달고 즐겨야지... 30살 훨씬 넘어서야 사람 만나고 연인 만들고 하니 출산율이 나락갈수밖에...... 그렇게 30대중반, 40대까지 살고 나중에 삶 행복 찾는게 저도 옛날에는 그게 옳은 줄 알았죠. 개인 가치관이라지만 미/유럽 나와서 학위하신 분들은 공감 하실 겁니다.
+ 중국 일본 포함해 아시아에서 온 친구들로 구성된 랩이면 사실 문화는 아시안랩이라고 봐야죠...
2023.07.29
동감합니다.
개개인한테는 그냥 열심히 사는거라 생각할 수 있지만, (외국은 안살아봐서 모르겠지만 적어도) 한국에서는 성향이라기보다 문화의 영역이라고 봐야할 정도로 늦은 시간까지 일하는걸 미덕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죠.
당연히 그런식으로 일하니 결과가 잘나오기야 하겠지만, 과다경쟁에 의한 부작용으로 전반적인 행복도가 너무 떨어지는거 같아요
2023.07.25
실적 좋은 애들이 더 열심히 하는건 국룰인듯. 우리도 연구 결과도 안 나오고 실적도 없는 애들은 갈수록 더 열심히 안하더라 그대로 박사할 예정인 석사들은 취업 안 급하니깐 안시키면 학위논문도 제때 안 쓰는데 저널 투고는 생각도 안함.
2023.07.25
그냥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학부생부터가 저렇게 열심히 할 필요가 있나 싶음... 차라리 더 다양한 경험을 해보는 것이 좋지 않나 하는 마음이랄까? 물론 뭐 개개인의 선택이니까 뭐라 할 수는 없지만
대댓글 1개
2023.07.25
ㄹㅇ 차라리 독서 여행 알바 스타트업 같은걸 하는게 길게 봤을 때, 더 도움되지 않을까 싶음. 학부생때는 학부생만 할 수 있는게 있는데,, 저런건 대학원 가서도 지겹게 할텐데, 미리 할 필요가 있나 싶음....교수가 원해서 할 수 있는것도 아니고, 인생의 정답도 아니고, 타고난 재능, 운, 열정 다 필요한데...
2023.07.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새벽까지 일한다고 교수되는게 아니고 남 의식하지 밀고 님 페이스로 해야 교수됨
튼튼한 스티븐 호킹*
2023.07.25
쉬지 않고 일하면, 보통 논문의 갯수는 많아지는데 창의적인 논문이 나오지는 않음. 한국학생들은 이걸 실적이 좋다고 표현하는데 반은 맞고 반은 틀림
2023.07.2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어느학교인가요?
대댓글 2개
2023.07.25
K 입니다
2023.07.25
대전K면 저도 거기출신이고 인기랩인데, 저때만해도 교수선호도가 높아서 다들 해외포닥가고 학교에 갔는데, 요즘 후배들보면 (아직도 학과선호도 top3) 사기업 원하는애들이 많아졌더라고요. 단순한 삼전이 아니라, SR이나 잘나가는 중견기업, 혹은 구글/메타/애플 쪽 취업원하는 애들이 많아짐. 미국에서 포닥할때 보면 많은애들이 박사따고 무조건 포닥n년 5만불받고 생활할바에야 인텔/애플/메타/구글로 취업목표하던데 우리나라도 많이 변하고 있다 생각하네요.
2023.07.25
교수 임용은 실적 30프로 운빨 70프로임 백날 뼈빠지게 해봐야 안될놈 안되고 잘될놈 잘됨 남 눈치보지말고 본인인생 즐기면서 사셈
우아한 쇼펜하우어*
2023.07.25
열심히 하는 분위기가 나쁠 건 없죠. 놀자판 분위기 보단 100배낫고요. 널럴히 해도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알아서 관리하면 되는 거고
2023.07.25
미국에서도 아시안은 랩에서 진짜 열심히 함. 미국애들은 얄짤없이 집에 감. 난 아시안인데 집에 잘감ㅋㅋ
건강한 밀턴 프리드먼*
2023.07.25
저렇게 오래 못갑니다 ㅋㅋㅋ 학부생이니까 할 수 있는 스케줄
옹졸한 닐스 보어*
2023.07.25
K라니 열심히 하는 후배들 보기 좋네영ㅋ
2023.07.26
첫줄에 모든게 다 나와있음: "연구비도 넉넉해서 용역 과제하는 것도 없고 다 개인 연구함"
용역 하나 없이 연구비 넉넉하고 개인연구시간 충분하다는 것부터가 이미 교수 능력이 초월급이라는 거임
다른 교수들은 뭐 바보 모지리라서 연구 프로젝트 딴다고 몇날 밤새고 애들 갈아넣고 용역 하는게 아님 인건비 안 주면서 데리고 있는거면 이해라도 하는데 그게 아니면 정말 쉽지 않음
2023.07.25
대댓글 1개
2023.07.26
2023.07.25
대댓글 1개
2023.07.25
2023.07.25
대댓글 5개
2023.07.25
2023.07.25
2023.07.25
2023.07.25
2023.07.29
2023.07.25
2023.07.25
대댓글 1개
2023.07.25
2023.07.25
2023.07.25
2023.07.25
대댓글 2개
2023.07.25
2023.07.25
2023.07.25
2023.07.25
2023.07.25
2023.07.25
2023.07.25
2023.07.26
2023.07.27
2023.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