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얼마나 학생 들이 화가 나면 이런 글을 쓸지 생각을 해보셨으면 좋겠어요
창원대학교 ㄱㄱ 공학부 박 ㅁ ㄱ 교수는 도대체 ...
28 - 학부생들 댓글 재밌네요 ㅋㅋㅋ 취업 할 때 되면 정신 차리겠죠~ SKP랑 YK의 취업문 자체가 다르다는 걸 학부 저학년들은 알 리가 없으니...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39 - 그냥 나 교순데 학생 인생 난 알빠 아니다
이말을 포장을 많이 하셨네
학생 키울 능력이 안되면 학생 인생 망치지 말고 혼자 연구 하세요
대학교수는 담임 선생님이 아니다.
33 - 지금은 솔직히 YK보다 떨어지는게
어쩔수없죠.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32 - 흠, 참고로 전 고대 졸업자지만,
솔직히 p와 yk는 비교 자체 성립이 안될듯 합니다.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25 - 완전 도덕적으로 문제되는것을 하는게 아니라면 그냥 당사자들의 자유 아닐까요?
학부생 여자친구와 교수의 술자리 고민
29 - 교수가 이상한거 맞음. 랩실 인원이 그 여자친구분 혼자라더라도 사적인 자리는 1:1로 안가지는게 맞음.
좋은 제자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싶다면 최소한 "술"은 무조건 배제해야함. 단체 회식도 아니고 1:1은 미친거지.. 양주도 무슨 애인이랑 데이트 하듯이 저런것도 토나오고. 그냥 교내 카페에서 점심먹고 상담, 노가리 까는거 까지는 젊은 신임교수, 연구실 단독 인원 어찌어찌해서 이해는 되나 이건 아님.
저 교수 분명 흑심있고, 본인 마음속에서도 겁나 합리화 하면서 저짓하는거일꺼임.
운좋게 교수 임용됬으면 학생들 잘 지도하고 연구할 생각해야지 어휴
학부생 여자친구와 교수의 술자리 고민
79 - 솔직히 그 분이랑만 그러면 흑심있을 가능성 높음.
별 이상한 교수 다 보겠내 ㅋㅋㅋ
그거랑 별개로 여자친구랑 얘기를 진지하게 해보고 본인이 허용이 되거나 바뀔 수 있으면 계속 관계를 지속하는거고 안그럼 헤어져야죠.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학부생 여자친구와 교수의 술자리 고민
24 - 이걸 이렇게 쉴드치네
학부생 여자친구와 교수의 술자리 고민
28 - 별 걸로 다 이상한 사람 만드네요. 이러니 애정을 갖고 잘 해주려다가도 사제간의 관계가 아니라 사무적인 관계가 되는 겁니다.
학부생 여자친구와 교수의 술자리 고민
30 - 댓글들 보면 교수들이나 나이 많은 포닥 발작하네요. 이상한거 맞습니다 ㅋㅋㅋㅋㅋ. 같은 랩실 다른 남학생이랑도 그렇게 하나요? ㅋㅋㅋㅋㅋㅋ 그리고 교수와 석사간에 뭘 그렇게 애틋합니까? 2년보고 말 사이인데 ㅋㅋㅋ
학부생 여자친구와 교수의 술자리 고민
34 - 사무적인게 당연합니다 ㅋㅋㅋ
학부생 여자친구와 교수의 술자리 고민
26 - 현직 교수입니다. 매우 부적절한 행동입니다. 교수 임용될때 윤리 교육을 안받으신것 같습니다.
학생이 어떻게 마음 먹냐에 따라서 교수 임용되고 최단기 해임될수도 있겠군요.
학부생 여자친구와 교수의 술자리 고민
36
SPK가 여전히 SPK인가? (네이처인덱스로 알아보자.)
2023.08.22

네이처인덱스 (물 화 생 지 의학 합산)
1. 서울대 206.58
2. 카이스트 169.98
3. 연세대 115.13
4. 성균관대 100.57
5. 포스텍 100.43
6. 고려대 81.17
7. 유니스트 61.73
8. 한양대 50.35
9. 부산대 28.14
10. 울산대 27.57
11. 중앙대 26.10
12. 경북대 25.11
13. 지스트 23.56
14. 디지스트 21.54
15. 이화여대 21.08
16. 경희대 20.42
17. 아주대 20.23
18. 전남대 20.10
19. 서강대 14.47
20. 카톨릭대 12.71
서울대, 카이스트는 넘사가 맞고, 연세대 성균관대 포스텍은 비슷. 울산대는 주로 의학이 기여한 것으로 보임. 전체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서열과는 많이 다름을 알 수 있음. 예를들면 ssh이라든지. 대학원 선택하는 입장에선 결국 각 대학의 논문실적이 중요하다는 것은 당연한 것임. 항상 나오는 반박에 미리 반박하자면, 네이처인덱스는 기존 물화생지 외에도 최근에 의학을 추가했는데 의학에 딴지를 거는 사람들이 항상 있음. 지학 또한 없는 대학이 많아서 그런곳은 지학점수를 손해봤는데 지학은 비중이 워낙 낮으니 그동안 아무소리 안했는데, 의학은 비중이 꽤 높으니 그런 말이 나오는 것임. 의학이 포함됨으로써 의학이 없는 본인 대학이 순위 손해를 봤나보지. 특정 대학은 의학때문이다 그런 얘기를 왜하는건지 모르겠음. 소규모 대학 (특히 ist나 P 같은 곳)은 특정 과만 집중적으로 키우기에 교수당 실적, 학생당 실적에선 우위를 보지만 과의 종류가 작고 (의학이 없고) 학생수가 적으니 그런 면에선 손해를 보는것임. 대학은 규모도 과의 종류도 교수숫자도 학생숫자도 다 그 대학의 특징이니까 그냥 나온 결과를 있는대로 받아들이면되는데 왜 그런 사족을 붙이는지 모르겠음. 예를 들어, 거기는 의대가 있어서 그런거다, 또는 거기는 규모가 작아서 그런거다 등등. 사족 붙이는건 자격지심있는것 밖에 안됨.
레이든 랭킹 (상위 10% 논문 수)
1. 서울대 1512
2. 연세대 974
3. 성균관대 747
4. 카이스트 739
5. 고려대 710
6. 한양대 566
7. 경희대 466
8. 울산대 411
9. 경북대 372
10. 포스텍 368
11. 유니스트 332
12. 부산대 312
13. 중앙대 272
14. 세종대 261
15. 건국대 260
16. 카톨릭대 258
17. 영남대 245
18. 인하대 241
19. 전북대 241
20. 전남대 239
개인적으로는 레이든이 더 일반적으로 적절한 지표가 아닐까 합니다. 네이처인덱스는 자기들이 선정한 일부의 저널만을 가지고 얘기하는건데, 레이든은 전분야 상위 10% 논문수를 가지고 얘기하니까요. 레이든은 대학을 종합적으로 평가한거고 네이처인덱스는 물화생지의에 대해서만 평가한거니 이공계에 대해선 네이처인덱스가 나은 지표일 수 있구요. 자격지심이 있는 댓글은 안보였으면 하네요 (규모가 어떻니 의학이 어떻니 등등)
저는 단지 결과를 공유할 뿐이고 서열이 어떻다 얘기하진 않겠습니다. 이보다 좋은 지표를 아시는분은 공유를 해주시면 좋구요.
-
22 88 7752
대학 랭킹 김GPT 15 14 12144-
23 29 20267
대학원 학벌랭킹을 알려준다 김GPT 6 11 12117-
23 16 10955
지방대 1등 김GPT 1 55 11709-
51 32 16561
전세계 1등급 (상위 4%) 대학교 김GPT 25 19 19809
대학원 순위 김GPT 12 13 7640
더 나은 교수님을 찾아 떠나려고 합니다. 명예의전당 110 34 47486-
157 29 43670
소주가 지껄이는 김박사넷에 대한 감상 명예의전당 87 10 666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53 - 동경대 오지마
24 - 연구자로서 우여곡절 우울증/불안장애 경험담
293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41 - 연대가 포스텍보다 더 낫다는 애들은 정신병자임?
70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86 - 도대체 교수님은 저놈을 왜 박사시켜주는건지 모르겠습니다
11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32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37 - 번아웃 교수님
10 - GPT가 학부생 대학원생 수준을 끌어올린다
37 - 아직 철도 안든채로 교수임용
7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1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41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32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20 - 창원대학교 ㄱㄱ 공학부 박 ㅁ ㄱ 교수는 도대체 ...
28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49 - 원래 학회가면 술만 먹다가 오나요?
27 - 대학교수는 담임 선생님이 아니다.
28 - 학부 인서울이 지거국 석사 따는거 별로일까요?
8 - 신생랩(신임교수님) 장단점을 알려주세요
15 - 지사립 출신인건 문제가 아님
12 - 학부생 여자친구와 교수의 술자리 고민
59 - 바이오인포 타대 학부인턴/연구생 지원해도 될까요? 아니면 보충해야 할까요?
5 - 미박 갈거면 자교석사 vs 미국 석사
6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53 - 동경대 오지마
24 - 연구자로서 우여곡절 우울증/불안장애 경험담
293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41 - 연대가 포스텍보다 더 낫다는 애들은 정신병자임?
70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86 - 도대체 교수님은 저놈을 왜 박사시켜주는건지 모르겠습니다
11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32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37 - 번아웃 교수님
10 - GPT가 학부생 대학원생 수준을 끌어올린다
37 - 아직 철도 안든채로 교수임용
7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1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논문 없이 PhD 지원하는 사례가 있나요..?
9 - 미국 유학 고민
57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41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32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20 - 창원대학교 ㄱㄱ 공학부 박 ㅁ ㄱ 교수는 도대체 ...
28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49 - 원래 학회가면 술만 먹다가 오나요?
27 - 대학교수는 담임 선생님이 아니다.
28 - 학부 인서울이 지거국 석사 따는거 별로일까요?
8 - 신생랩(신임교수님) 장단점을 알려주세요
15 - 지사립 출신인건 문제가 아님
12 - 학부생 여자친구와 교수의 술자리 고민
59
2023.08.22
대댓글 2개
2023.08.22
대댓글 3개
2023.08.22
대댓글 8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