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아이디어 넣어서 실험하고 결과 분석하는건 좋은데 남의 아이디어 공부하는건 정말 싫습니다.
석사과정은 어찌어찌 성공 했는데, 박사도 해도 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IF : 2
2023.09.08
공부가 싫다면 박사는 제발 하지마세요. 아이디어 좋아하시면 열심히 발명해서 특허만 열심히 내시고요....
2023.09.08
ㅋㅎㅋㅎㅋㅎ 저랑 똑같네요… 이제 석사2기가 되었는데 저도 이러한 이유로 박사 진학 고민이 많네요 ㅠ
2023.09.0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공부하는건 싫어하는데 연구는 하고 싶다 = 나는 날먹 찍먹 버스충이다
2023.09.08
저는 박사 졸업 했고 저도 그렇습니다. 저도 별의별 아이디어 내서 실험하는걸 좋아했고, 무식하게 트라이얼 에러 엄청 해가면서 럭키펀치 맞추고, 졸업도 했습니다만 이론에 기반하지 않는 문제해결 방식은 효율이 정말 떨어지고, 정말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갉아먹는다건 연구 업무를 수행할수록 확실히 깨닫고 있습니다.
박사 학위를 선택할지 말지는 본인의 여건 및 인생 설계에 따라 도전할지 말지를 결정하세요. 박사 학위는 별로 대단한 게 아닙니다. 한국에만 수만명의 박사학위자가 있고 그들 중 대다수가 학계에 기여하려는 이유로 박사 받은건 아닐겁니다.
다만 학위를 받고 그에 걸맞는 문제 해결력을 가지려면, 싫어하는 공부도 이론도 열심히 하는게 본인을 위해 좋습니다.
대댓글 2개
2023.09.08
저는 전문연 때문에 작성자님 같이 박사 진학할지 말지 고민해볼 기회가 없었는데, 조금 부럽네요... 잘 고민해보세요 ㅎㅎ
2023.09.08
진짜 가장 멋진 말이었습니다!
2023.09.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다른사람들은 거인의 어깨에서 저 멀리 바다에 고래들 뛰노는 것까지 보고있는데,
작성자님은 땅위에서 개미 기어가는거나 보고 계시겠네요...
2023.09.08
좋아하는거 1을 위해 하기싫은거 99를 감당할 줄 아셔야합니다
2023.09.09
기업 ㄱ ㄱ 진학 하면 개박살
2023.09.09
저도 같은 시기를 보냈던 적이 있습니다. 다만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과정에서 될 수 있다는 이유를 찾는 과정이 어려웠습니다.
그 과정이 결국 공부이지만, 불행하게도 더 좋은 방법이 있어서 공학적 가치가 없는 경우에는 이미 쓰여진 시간은 되돌릴 수 없게 됩니다.
요즘들어서는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로 연구를 하는 것이 짧다면 짧은 대학원 생활에 큰 불행으로 다가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안정된 포지션을 얻고 나서 주사위를 던지는게 어떤가하네요.
2023.09.08
2023.09.08
2023.09.08
2023.09.08
대댓글 2개
2023.09.08
2023.09.08
2023.09.08
2023.09.08
2023.09.09
2023.09.09
2023.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