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양자컴퓨팅분야로 전향하길 고민중인 박사생입니다.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09.16

11

4129

저는 생물물리를 전공중이고 곧 학위를 마칠 예정입니다.
최근 양자컴퓨팅에 관심이 생겨 알아보는 중인데 혹시 전망이 어떤지요?
분야가 다르다보니 박사를 한번 더 하는것을 고려중인데 차라리 포닥으로 가는게 더 나을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3.09.16

박사학위 따셨으면 포닥으로 갈지언정 다시 학위 반복하는건 별로라 생각합니다. 박사생 봉급 받아보셨겠지만 기회비용을 생각했을 때 막대한 손해라고 생각되네요,

대댓글 1개

2023.09.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포닥으로 지원하는게 더 이득이겠군요. 감사합니다

IF : 1

2023.09.16

관심이 있으셔서 아는대로 말씀해드리겠습니다. 양자컴퓨팅 쪽은 하드웨어, 양자정보이론 정도로 큰 갈래길이 있는 것 같습니다. 우선 현재는 하드웨어가 양자정보론을 못따라오고 있는 상태입니다. 하드웨어쪽은 양자컴퓨팅을 하기위한 소스인 광원 쪽을 연구하는데요. 주로 원자, 전자, 레이저를 씁니다. 아직 상온에서 사용가능한 완벽한 광자소스는 없습니다. 관련 대기업들은 원자나 전자 쿠퍼쌍을 사용하는 것 같구요. 초저온에서 작동합니다. (양자컴퓨터가 쓸데없이 큰 이유) 레이저는 양자정보랩실에서 이론 검증을 위하는 정도로 사용됩니다. 이론 검증 정도로 사용하는 이유는 완벽한 광자를 만들 수 없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론상 레이저를 아무리 약하게해도 광자가 두개씩 튀어나올 확률은 여전히 존재). 구글에서 수백큐빗의 양자컴퓨터를 만든다고 하는데 그것도 대단하죠. 하지만 결국에는 양자컴퓨터의 상용화가 이루어질려면 그 소스로 사용되는 광원이 상온에서 동작해야하고, 고효율이면 좋고, 단일광자여야하고(보통 purity가 1이다로 표현), 광자 간 구별불가능성이 거의 1에 가까워야 할 것입니다. 이런 소스가 개발되면 양자컴퓨팅은 큰 스텝으로 도약해서 문명이 바뀌지 않을까합니다. 이상 석사생이 아는 정보로 몇글자 주절거려봤습니다.

대댓글 5개

2023.09.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렇다면 하드웨어쪽으로 지원하는게 더 이득일 수 있겠군요. 하지만 박사를 하는동안 제가 배운건 크게 코딩 및 데이터분석이고 하드웨어쪽으로는 완전 뉴비입니자. 하드웨어쪽도 제가 가진 소프트스킬을 어필할 수 있을까요?

. 현재 알아보고있는 포지션은 양자컴퓨터를 이용하여 어떤 물리계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입니다. 알고리즘 개발 및 최적화가 주된 업무인거같은데, 혹시 이러한 분야는 전망이 어떤가요?

2023.09.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 그리고 상세한 답변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IF : 1

2023.09.16

물리계를 시뮬레이션하는거라면 variational quantum eigensolver 가 들어본 적 있는 것 같네요. 슈퍼컴이랑 양자컴을 각자 유리한 계산으로 섞어써서 아이겐벨류를 구하는거같던데 마지막으로 들어본게 간단한 분자의 바닥상태에너지를 시뮬레이션해서 실제 실험값이랑 거의 매칭이 됩니다. 하지만 간단한 분자이상의 계를 시뮬레이션하는거라면 여전히 큐빗개수가 걸림돌이 될 수 있어서 이쪽은 어디까지 계산이되고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2023.09.16

물리계 시뮬쪽은 리드버그 (중성원자) 양자컴쪽
양자쌍이 광자인건 통신(네트워크/암호)쪽이고 컴퓨팅은 사실 초전도체/중성원자/이온 이런쪽으로 많이 쓰는것같음

2023.09.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답변들 감사합니다. 생각한거보다 재미있는 연구가 많이 진행중이군요. 답변주신 모든분들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좋은하루 보내세요!

2023.09.16

이론/알고리즘 쪽 포닥을 알아보시되 transition을 위한 개인적인 준비가 있음 좋을것 같네요. 관련 학회나 프로그램을 들어보시면 어떨까요?

대댓글 2개

2023.09.16

양자정보연구지원센터 qcenter.kr

5회 양자정보학술대회 http://www.osk.or.kr/conference/event/index.php?cfrid=98

2023.09.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좋은조언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프로그램이나 렉쳐위주로 들어봐도 괜찮겠네요. 보내주신 링크 유용하게 쓰겠습니다. 좋은하루 보내세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