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늦은 밤 답답함에 쓰는글

2023.10.05

13

4939

나는 지방국립대를 나와 카이스트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는 학생이다.

너무 버겁다. 그저 이전의 연구는 무언가 경향성이 나오는 결과가있으면 혹은 성능이 좋으면 논문을 썻었다.

하지만, 이제는 그러면 안된다. 아니 그러고 싶지않다. 왜라는 끝없는 물음과 왜 이연구를 해야하는가 이 연구가 어떤 또다른 물음을 던질 수 있는가 어떤 이론을 기반으로 진행된 연구인가 등등 자문하지만 답을 할 수 없다

확실히 연구 수준이 높은 곳 같다. 그래서 무던히도 노력하며 생각의 틀을 깨려하지만 그들은 더 나아간다. 그래서 힘들다 도저히 넘을 수 없는 벽같다.

나도 그런 연구를 하고싶다. 멍청한 내가 싫다. 이대로 집에 가면 안될것 같아서 논문을 보고 데이터를 마주하지만 별 의미는 없다. 힘들다.

오늘은 측정한 데이터들마저 별로다ㅎㅎㅎ 난 참 별로인 연구자같다. 그래서 화가 나고 짜증이난다. 울고싶다 이것 밖에 안되는 사람이라서

실적 때문에 졸업은 시켜주실것 같다. 근데 이대로 졸업해도되나? 난 박사라 불릴 자격이 있나? 없는것 같다. 실적이 무슨 소용인가 내실이 없는데. 실력이없는데. 오늘도 그냥 자기만족으로 밤을 샐것 같다. 모두들 굿나잇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3.10.05

박사라 불릴 자격이 잇을까? 라는 생각은 정말 누구든 다하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박사 라는 호칭을 계속듣게되면 너무 익숙해져서 그 무게감을 쉽게 잊게 됩니다.
저도 동대학에서 학위받았지만 나와보시면 카이스트에서 학위받으실 정도면, 그래도 어딜가서든 잘하신다는 말 들으실겁니다.

대댓글 1개

2023.10.05

제가 그런말 들을 자격있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너무 위로되는 말씀 감사합니다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2023.10.05

저도 타대출신 spk 석사 1기인데 같은 고민중입니다. 저만 그런가 싶어서 마음이 참 힘든 요즘이네요..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대댓글 1개

2023.10.05

너무 힘들어요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진짜 힘들어요 ㅠㅠㅠㅠㅠㅠㅠㅜㅠㅠㅠㅜㅡㅜㅜㅠㅠㅠㅠ

2023.10.06

그런 고민을 멈추지 않으면 어떻게든 성장합니다.
저는 spk 졸업했는데, 졸업후에도 정말 숨쉬듯이 열등감과 자괴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나보다 뛰어난 사람은 많더라구요.
그래도 포기하지 않으면 시간이 쌓일수록 제 입지가 다져지고 실력도 같이 늘어나기 마련입니다

2023.10.06

잘 하고 계시는겁니다. 성장하십쇼 응원합니다

2023.10.06

화이팅입니다...!!!

2023.10.06

여태까지의 일은 쉬웠나요? 인생은 항상 어렵습니다. 고민하기를 멈추지 않고 노력하다 보면 실마리가 잡히는 날이 올 거에요. 화이팅

2023.10.07

졸업하고도 사회에는 나보다 잘하는 사람이 많고도 많아요.. 부족한걸 인정하고 그래도 내가 이 분야에ㅛㅓ 할 수 있는게 무엇일까 고민하고 의미를 찾고 감사하면서 살아야 합니다.. 아니면 멘탈이 부서지고, 삶이 의미가 없어지는데 - 그렇게 흘러가지 않게 자신을 붙잡아 일으키는 것도 키워내시면 잘 살아질꺼에요…! 저도 너무 멘탈 갉아먹던 제 자신이 후회되지만 지금 믾이 좋아짐..:)
활기찬 피터 힉스*

2023.10.08

무언가 경향성이 나오는 결과가있으면 혹은 성능이 좋으면 논문을 썻었다 = 학사 또는 석사로 성능좋은 논문 하나 있고 경향성 있는 논문 하나 있고 총 2개 있음.

확실히 연구 수준이 높은 곳 같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엔 더 높은 수준의 논문에 도전 중.

뭐가 문제입니까? 당신은 이런 고민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꾸준히 하십시오. 젠장 저는 석사졸업하면서 이번에 학회 하나나 시간에 쫓기듯이 겨우 쓸 수 있을까 싶을 정도인데 말이지요.

2023.10.08

톡닥톡닥 힘내세요. 그렇게 열심히 하시는데 잘 될겁니다.
선배박사님이 하신 말이 있는데
지금 성과 논문 보다 박사과정 동안 잘 배운 다음 나가서 혼자 잘 이끌어 가는게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그말이 맞고요.
제가 보기에는 벌써 훌륭한 박사님처럼 보입니다.

2023.10.13

주변에 잘하는 동료,선배들이 좋은 연구를 어떻게 하는지 bench marking해 보세요.
연구과정, 연구결과물 여기에 분영히 힌트가 있습니다.
여기서 얻은 힌트를 나에게 맞게 변형하고
새로운 접근방법을 찾아보면 어떨까요.

좋은 기회이고
나도 성장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멈추지 않고 꾸준히 연구하시면
어제보다 발전한 오늘의 나를 맞이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화이팅.

2024.01.29

박사논문은 그 주제를 정해서 논문을 써보는 것을 훈련하는 것이라고 보시면됩니다.
박사를 받을만 하다는 것은 교수님이 판단하시는 것이지요.
박사학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Thesis입니다.
the (sit) + sis (cis:chair)의 합성어로 '자리메김을 하다' 라는 뜻을 가진 단어랍니다.

즉 thesis는 자기의 자리값인 것이지요.
좋은 자리도 있고 작은자리도 있으니 모든 박사 연구가 좋을 수만은 없겠지요.
박사는 Ph.D F~A+ 까지 있다는 농당을 하곤 한답니다.

중요한 것은 박사를 하나의 시작으로 보고 그 이후 일을 하는데 박사때 배운 생각하는 방법으로 연구와 일을 진행하는 것이지, 그때의 성취로 평생 먹고 살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