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왜 쫓아냈어요 ㅠㅠ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30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6 - 어그로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진짜 세탁하려면 하버드 mit 이런데를 가세요..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K대학원은 잡대 학부도 다오는데 무슨 세탁?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1 - 현직 교수입니다. 공감합니다..ㅋㅋㅋ
미국 포닥들 삐대는거 참 가소롭다...ㅋㅋㅋ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3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너무 고민이라 도움 요정드립니다..
2020.07.01

안녕하세요. 이번에 어찌저찌 세 곳을 합격했고, 한 곳은 죄송하다고 메일을 드렸는데 두 곳 사이에서 고민이 되어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빠른 비교를 위해 정리한 그대로 음슴체로 나열해 보겠습니다.
공대쪽인데
성은 체계 잘 잡혀있고 석,박 잘 분산되어서 있고 분위기 괜찮음
경제적인건 월 100~인 것 같음
식비만 한달 50..
교수님 좋으심
랩 사람들도 다 좋고 분담이 잘 되어있음
졸업생들 다 대기업,연구원
서강은 포닥 있고 석,박 성보다는 적음
여기는 진짜 자유로운 분위기
경제적인건 등록금+월급 따로(50~)+연구수당
교수님 좋으신데 석사생 말로는 사달라는거 다 사주시고 학회 보내달라는거 다 보내주는데 혼자 공부해야 한다고 함
물론 대학원공부는 혼자 하는거라지만 걍 터치를 아예 안하신다고...
근데 이 교수님이 먼저 나한테 같이 연구해보자고 연락하신건데 한 세번쯤 거절했는데 주제가 걸린다고 하니까 다른 주제 관련 sci논문이랑 자료 보내주심...
이쪽 자료는 취직 생각해도 괜찮은 것 같음
근데 마땅히 끌어줄 사람이 없다는 것...?
플젝 잘 따오시고 연구기관과 합작도 많이 하시는 것 같은데 하는 분야가 너무 다양
플젝이 다양한 연구주제로 정말 매우 많음
두 랩실 논문을 검색해봤는데 아직 보는 눈이 없어서 낸 곳, 이용수, 낸 개수 확인해 봤을때 비슷
성이 아웃풋은 더 낫다고 그래서 경제적으로 좀 힘들어도 성을 생각했습니다.
근데 교수님이 계속 신경써주시니까 차라리 잘해주는 곳 갈까 하는 생각도 들어요. 면담 해봤는데 아이디어가 많고 열정이 넘치시더라고요. 흠은 다양한 것에 흥미가 있으시다보니...? 논문 지도가 좀 약할 것 같습니다.
석사생분의 말로는, 알아서 잘 해야한다고. 근데 박사님들이 잘 끌어주신다고 해요.
미래도 생각해야 하는데 교수님 인성 보고 가는건 좀 그런가요...?
거절해도 계속 같이 하자고 하셔서 위험한 랩인가 싶었는데 랩실가서 석박들 면담해봐도 그건 아닌 것 같아요..제가 잘못보고 있는 걸까요ㅠㅠ
솔직히 미래에 대한 부담 빼고는 서강이 끌리는데 이런 체계적인 곳(성)에서 언제 또 공부해보나 하는 생각도 들어요. 되게 끌어주는 사람이 많은 느낌...
비교하면 안정된 루트 vs 맨땅의 헤딩 느낌입니다
후자의 경우 본인이 혼자서 잘하는 능력자에 부지런하면 괜찮은데 아니면 큰일난다고 들어 그 반대 경우가 저일까 우려됩니다.
진짜 결정하기 힘드네요..ㅠㅠ
대학원 고민글.. 멍청해 보일수도.. 김GPT 0 9 8140
전과.. 김GPT 0 12 5994-
1 14 7628
대학원 진지하게 고민 김GPT 0 6 7732
직장인 고민좀 들어주시겠어요...? 김GPT 4 9 2794
진로고민... 김GPT 2 11 2598
진학 너무 고민됩니다.. 김GPT 0 3 5870
대학원 vs취업 꼭꼭 조언부탁드립니다 김GPT 0 5 7659
대학원 때려치고 싶다 김GPT 10 3 6541
무엇인가를 관두고 싶어하는 분에게 명예의전당 217 23 57034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명예의전당 1018 72 178545 명예의전당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178 37 2265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0.07.02
2020.07.02
2020.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