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목을 본다. 2. Introduction과 conclusion을 읽고 노트같은 곳에 정리해본다.(따라적는것도 ㄱㅊ) 3. Method, result, discussion 항목에 맞춰서 Figure, table랑 캡션만 보고 내용을 유추해고 정리(figure 마다 의미, 파라미터 기록)해본다. 4. 본문을 읽고 3번에서 내가 유추한 내용과 맞는지 비교하면서 읽어본다.
대댓글 1개
2023.11.28
친절하게 잘 정리해 주셨네요.
재밌는 프란츠 카프카*
2023.11.27
아마 말씀하신 것 처럼 전공이랑 다른 분야라서 그럴꺼에요
입학전이니 천천히 관련 논문도 더 찾아보시면서 익숙해지시면 됩니다
리뷰 논문에 래퍼된 논문들 따라 올라가면서 읽어보세요
2023.11.28
리뷰 논문으로도 이해 안되는 부분은 유튜브 영상, 시청각 자료로 가야함
2023.11.28
논문에 따라 다르지만. 배경지식이 많이 필요한 분야 같으면 바로 논문읽는건 좀 의미가 없을 수 있는데. 관련 대학원레벨 책을 한번보던가 하고 시작하는 것이. 아니면 서베이 논문.. 요즘 세베이논문은 그냥 다른 논문 정리해놓은 것 같은 경우가 많은데 그런거 말고 원리를 개념적으로 다룬 약간 매거진스타일의 논문.
교수님이 지나치게 학생을 과대평가해서 바로 논문읽을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 지도. 아니면 능력치를 한번 보려고 어려운걸 시켜 보는지도.
아마 그냥 논문 내용 이해도 안가면서 쭉 적어서 읊으면 실망할 꺼고. 관련 기초 이론 정리해서 발표하면 ㄱ수님이 이놈 싹수 있다 할듯.
2023.11.28
처음에 진짜 레퍼런스에 달아놓은거까지 다뒤지면서 읽었던기억이...ㅋㅋㅋ
2023.11.28
알고보면 두세줄로 요약가능한게 논문인데 졸라 길게 쓰긴 하죠.
2023.11.29
처음부터 무작정 읽으려면 잠만 올 겁니다. 첫댓에 약간 더 첨언한다면, 1. intro 와 result에서 주장하는 contribution 2. 본문에서 제안된 method 및 실험결과 확인(figure, table 부터 보기) 3. 통독 및 내용확인 4. 내용에서 확인된 주요 레퍼런스 찾아서 1~2 수행 5. 엔드노트나 멘들레이에 기록 순서를 체득하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사족 : 시급할땐 2번까지만 해도 대충 내용은 읽히는데 실수하면 나락갑니다 ㄷㄷ
2023.11.27
대댓글 1개
2023.11.28
2023.11.27
2023.11.28
2023.11.28
2023.11.28
2023.11.28
2023.11.29
2023.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