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 읽을때.. 번역기 많이 쓰시나요?

2023.08.25

24

4180

이번에 신입학 예정인 석사 과정생인데 과제로 받은 논문 분석에 있어서 문장을 해석해도 이해가 잘 안되고 번역기로 돌리고 GPT에 물어보면서 고군분투 하고있는데..저만 이리 영어를 못하고 얼타는거같아 논문 한편 읽는데도 너무 어렵고 괜히 우울해지네요...

많이 읽어보고 공부하면서 경험이 쌓이면 나중엔 무리없이 읽을 수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4개

IF : 1

2023.08.25

처음에는 저도 그랬었는데 번역기써도 소용없었어요 전문용어나 약어는 해석을 못해서..ㅋㅋ 많이읽는수밖엔 없어요

대댓글 1개

2023.08.25

번역기 써도 이해가 안되서 GPT에도 물어보고..선배님들께는 차마 많이 물어보기에 피곤해하실까봐 전전긍긍하네요 ㅠㅠ

2023.08.25

개인적으로 번역기는 문장 구조가 복잡할 때만 도움이 되었어요 논문 읽기가 어려운 건 영어 자체보다 논문에서 나오는 학술용어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게 더 크더라고요 논문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해 좀 더 공부하면서 읽는 방법도 좋고, 이해 안 되더라도 일단 넘기면서 쭉 훑고 다시 읽으면 이해가 잘 되기도 했고요. 처음엔 다들 어려워하고 선배들도 그걸 알고 있을테니 이리저리 시도해봐도 안 되면 선배에게 도움을 구하세요

대댓글 2개

2023.08.25

조언 감사합니다!

2023.08.25

대댓글 달렸길래 보러 왔는데 꼬인 사람이 정말 많네요 대학원 입학하기 전부터 본인 분야 논문 척척 읽어내시는 영재들이셨나본데 그런 사람은 적고 대부분 인턴~석사때부터 안 읽히는 논문 붙잡고 꾸준히 읽고 노력할거예요 처음부터 잘하면 뭐하러 교수님 지도 받습니까 읽다보면 모르는 사이 실력이 늘어있을 겁니다

2023.08.25

읽히는건 그냥 읽고 너무 길고 복잡한 문장만 사용합니다!

2023.08.25

저는 그냥 선배한테 요약해서 ppt만들어서 설명해달라고 했어요!

대댓글 4개

2023.08.26

교수님인줄..

2023.08.27

본인이 ppt만든거죠?ㅋㅋㅋㅋ 그걸 선배한테 설명해달란거고

2023.08.27

아뇨 선배랑 사겼을 때라 그냥 해달라하면 다 해줬어요~

2023.08.27

용감하네요 indeed.

2023.08.25

그래서 애초에 영어도 안되는 애들 안뽑아요. 대학원이 놀러 오는 곳도 아니고 기본은 해야지..

2023.08.25

그걸 뭔 번역기 까지 써서 보나. 진짜 요즘 애들 수준이 왜이러지..

대댓글 1개

2023.08.25

번역기를 써서 보기보단 영어로 이해가 안되서 한국어로는 이해가 될까해서 돌려서 같이 봐보는겁니다 ㅜㅜ 어쨋든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2023.08.25

자기분야 논문은 딱보면 다 알아야죠..

2023.08.25

교수님 진짜 답답하겠다ㅋㅋㅋ벌써 불쌍하네

2023.08.25

딱보고 다 알면 뭐하러 대학원을 옵니까 혼자 연구하지 ㅋㅋㅋㅋ 댓글에 배배 꼬인 사람 많은데 시작할 땐 다 그러니까 걱정마십쇼

2023.08.26

번역기 돌려서 보고 내용 잘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영어 공부 열심히 허아하는 컷은 맞지만 논문 읽으면서 영어 공부할 필요 없습니다.
번멱기 돌려서라도 논문 많이 읽으세요.
징징대는 하인리히 헤르츠*

2023.08.26

논문에서 쓰는 전공 용어나 문장은 한정되어있으니 계속 읽다보면 비슷한 논문은 빨리 이해하게 되는 순간이 옵니다.
놀란 피터 힉스*

2023.08.26

한가지 댓글달고 넘어가자면 GPT는 요약용도로만 쓰세요
GPT에 검색해서 나오는 정보들은 출처를 확인할 수가 없어요. 차라리 모르는거 검색하실거면 빙이나 바드한테 물어보세요 걔네는 꼬박꼬박 출처 달아줍니다

2023.08.26

걍 맘대로 하세요. 편한대로 남들이 논문써줌?

2023.08.27

영어 엄청 못했었거든요....
논문 보는 것도 싫어하는 편이에요.^^;;;;
근데 본인 실험하고 궁금해하고 애착 갖고 그러면 찾아보고 그러면서 늘어요. 그 과정에서 번역기를 쓰던 gpt를 쓰던 고민할 필요 없이 그걸 꾸준히만 하세요.
저는 처음에 프린트해서 독해문제풀듯 읽은 듯....
그리고 본인 1저자 논문을 빨리 라이팅해보세요. 그럴 때 팍팍 늘어요.
지금은 제 분야 논문은 스윽봐도 비슷한 말하는구나 싶은데 여튼 처음엔 그랬어요. 화이팅!!

2023.08.30

쓰세요 ㅋㅋㅋㅋ 계산기 있는데 왜 안씁니까... 손으로 머리로 계산할 시간에 더 중요한 것들 하는게 훨씬 낫죠. 영어가 어쩌고 원서가 어쩌고 하는 사람중에 연구 잘하는사람 잘 못봤습니다. 물론 영어잘하면 좋지만 그것보다 논문을 효율적으로 많이 보는게 훨씬 중요합니다.

2023.08.31

처음에는 생소함 때문에 누구나 다 오래걸리고 힘들어요! 차차 익숙해지면서 이해력이나 속도가 오르실거에요. 초반에는 번역기든, GPT든 다 사용하면서 최대한 노력을 해보시고, 선배들 도움도 많이 받아보세요. 지금은 신입생이고 저년차니깐 모르는게 당연한겁니다! 물어보는거에 두려움을 가지시면 안돼요! (대신 물어보기 전에는 본인이 최대한 노력을 해보고 가져가시는게 좋겠네요)

**당연히 시간이 지나면 논문 읽는 속도나 이해 정도가 향상되는건 맞지만, 그렇다고 가만히 있어도 모두가 동일하게 향상되는건 아니에요. 저도 경험해보니 저년차때부터 얼마나 열정적으로 공부했는지에 따라 고년차때 논문 리딩 능력이 차이가 많이 나더라구여. 기죽지 마시고 열심히 해보시면 어느순간 퀀텀 점프 하실겁니다! 화이팅~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