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Nature 안노리고 논문 많이 쓰는 사람도 연구자임

허탈한 쇠렌 키르케고르*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11.27

8

3164

연구에 대한 생각이 nature가 아니라 지식의 지평을 늘린다거나, 새로운 물질을 테스트 해본다는거에 중점을 두면서 하면, 이것도 사회에 도움이 되는거라 생각함

다만 문제가 되는것은 "숫자"를 체우기 위해 어거지로 논문수를 펌핑하는 과정에서 인적&물적 자원(특히 아까운 세금)이 낭비되고 있기에 시스템적인 문제를 개선해야되는거지

아래 높은 논문 안쓰면 부정적으로 해서 써본
그냥 제 생각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3.11.27

네이쳐를 '안'노리는게 아니고 '못'쓰는게 맞는 말이지.

대댓글 1개

허탈한 쇠렌 키르케고르작성자*

2023.11.27

못쓰는 상황에서는 안노리는것도 전략임

2023.11.27

당연히 nsc만 세상을 바꾸는것도 아니고 ㅋㅋ 안노리는것도 전략이고 타 저널도 충분히 피어리뷰 받은만큼 존중받아야지.

다만 그냥 펌핑양산된 저널 말고... 좀 제대로된 저널..

2023.11.29

High IF 저널에 논문 게재하는 일도 영광스러운 일이지만, 인용 수가 높은 논문을 내는 것도 훌륭한 일이라 생각함

2023.12.02

명문대 나와서 네이처 내는게 연구자의 기준이 아닌데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 같음
그냥 쉽게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정량적 지표일 뿐

2023.12.02

네이처나 그외 하이임팩트 저널에 나온 논문도 10년뒤 실제로 의미있는 영향 미치는 경우는 얼마 안됨. 별거 아닌데 포장 잘해서 어거지로 나오는 경우도 상당수. 저널 정량지표로 좋은 연구자를 평가하기는 문제가 많다고 생각함.

2023.12.02

우리나라에 nsc 본지에 일년에 논문이 몇개나 나오나요? Cs라 그쪽 감이 없어서. 거기 쓰면 고대정도에선 프랭카드 걸리던데. 그랗다면 일년에 국내에서 몇개 못쓴다는 거 아닌가요?

대댓글 1개

2023.12.02

프랭카드;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