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올해 한국에서 언론기사로 나오더군요.
노벨상 수상자 평균 연구기간 32년이라고... 그 기사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1. 30년 이상 같은 주제에 매달릴 수 있는 근성이 필요
2. 30년 이상 같은 주제로 연구할 수 있는 연구환경 조성 및 연구비 지원이 되지 않는 한국 학계 비판
(한국의 대학이나 정부는 무조건 3년~5년 안에 실적을 낼 수 있는 연구만 한다고)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4 - 교수가 떠먹여주는 케이스를 제외하면 결국 논문의 기여도를 고민해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처음논문쓸때는 단순히 흥미로 시작하거나 또는 내가 처음해봤다 정도가 기여도라고 생각했습니다. 마치 A라는 주제가 핫한데 A를 B라는 방식으로 해봤다가 큰 기여도라고 생각했죠.
논문을 많이 쓰다보니 결국 에디터든 리뷰어에게 이 연구가 왜 필요한지 설득하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됩니다. 특히나 탑저널을 목표하면 더더욱에요. 즉, A를 B방식으로 해봤다는 설득력이 부족하고, 오히려 "A를 C에 사용하는게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B방식으로 할수 밖에 없다"라는 설득이 필요하죠.
많은 연구자들과 이야기해보면 아무리 시니어 교수님도 이런 생각을 안하시는분들이 전세계적으로 정말 많습니다. 그렇기에 논문이 대체로 " 나 이거 해봤어!" 정도에 머물러져있는거죠. 저보다 더 좋은논문 많이쓰신분들도 많으시겠지만, 학생들이면 이런점들을 고민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물론 제가 틀릴수도 있으며 분야마다 상이할겁니다.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0 - 제 후배들이나 제 제자들(제 커리어상 아직 다들 시작하는 단계지만)에게 항상 말하는게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충분히 고민해보라는 점입니다. 당연히 모두들 연구들을 보면서 survey는 잘해옵니다. 하지만 많은경우 survey 해보니까 이거 아무도안해서 해볼래요! 라는 학생들(아무리 고년차여도)이 의외로 많습니다. 저또한 그랬고요. 본인 나름에는 이거하면 이런점이 좋을것같아요 라고 하지만 들어보면 설득력이 부족한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연구를 시작하기 앞서서 상대방(지도교수)에게 연구의 중요성과 해야되는 이유를 설득시키는건 정말 중요합니다. 그 분야를 잘아는 지도교수조차 설득못하면 분야도 잘모르면서 몇분읽고 리젝션 결정하는 에디터들을 설득하는건 불가능합니다.
또한 의외로 학생들은 introduction/abstract은 그냥 요약본이라고 생각하는데, 사실 논문을 많이써도 가장 쓰기힘든부분이 abstract/introduction입니다. 이 짧은 문단을통해서 연구가 왜 필요한지가 확실히 드러나야 됩니다. 오히려 가장 쓰기쉬운곳이 본문입니다.
아무리 연구의 깊이가 깊어도, 원론적으로 이연구의 필요성을 상대방을 설득 못시키면 말짱도로묵입니다. 저또한 리뷰어/에디터로 참여하면서 가장 많이 쓰는 코멘트가 "연구 잘했는데 연구의 필요성이 잘드러나지않다" 라는점이고요. 잘 고민해보시고 다들 좋은연구 많이하시길 기원합니다.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9 - 웃기지않아욤 다들 그런마음으로 학위하는거애욤😄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10 - 여기더기서 정보들을 종합해서 결정하는 거죠. 님은 되게 피곤한 스타일이신 듯 ㅋ
이 교수님 연구실로 석사 진학해도 괜찮을까요?
21 - 뭘 붙어요 붙긴. 철학이 무슨 결투의 장이라도 되나보죠 ? 의미도 없는 말싸움에서 이기면 자신이 무슨 대단한 인물이라도 되는 줄 아나봄. 제발들 진짜 철학을 하세요. 어짜피 금방 무너질 자존감 세우는 도구로 철학을 이용하지 말구요.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9 - 저는 인정 못 하겠습니다.
건동홍보다 더 낮은 지방 국립대 대학원 4학기차입니다.
좋은 지도교수님 아래에서 학부연구생 포함 거의 3년간
JCR Q1 1저자 2편, 공저자 2편 작성하고 같은 연구실에서 박사 진학 예정입니다.
각자 하기 나름, 능력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대학교만 가면 좋은 주변환경에서 본인이 무조건 실적이 잘 나올 거라고 생각 하시는 거면 오만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33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선배나 교수가 모른다고 뭐라하면 넌 빠따맛을 모르냐고 내려치고,
안다고 뭐라하면 빠따치는법도 안다고 내려칩니다.
그렇게 선배들과 지도교수를 병원으로 보내고 병원비와 합의금으로 집도 잃고 차도 잃었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아직 빠따가 남아있거든요.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22 - Gpt 나오기 이전부터 이미 내 분야 논문은 피겨만 보고 내용 다 파악하는 수준이었어서 논문읽는데 gpt 안씀. 정독 필요하면 피겨 훑은 후에 정독함. 그래도 얼마 안걸림.
논문읽는데 gpt쓰는사람들 보면 한심함. 그런사람들은 평생 gpt없이는 논문 못읽는 수준에 그치는거임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20 - Gpt로 논문 읽는사람 보면 마치 한 자릿수 덧셈도 암산이 안돼서 계산기 쓰는 사람 보는 심정임.
물론 gpt좋고 효율적이지. 근데 gpt 없이도 혼자 해결가능한 수준에 오르고 나서 gpt 쓰는게 의미가 있는거지.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4 - 피인용수 20,000회 넘는 우리 교수님도 gpt로 한번 요약하고 읽으시는데... 취향은 있지만 한심하다고 할 정도인가요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22 - 교수님들은 지잡대 교수님들도 다 훌륭하신 분들입니다.. 결국 학생들 수준이 교수님과 연구실의 평가를 정하게되는거죠.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8 - 숭실대 다니시나보네요 ㅎㅎ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8
안녕하세요, Y 대학원 시도를 계속해볼까 고민중인 학부생입니다. 선배님들의 조언을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2024.01.02

현재 제 상황을 말씀드리자면, 저는 다소 입지가 좁고 희소한 분야의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고, 학점이 많이 낮은(3점 초반) 상황입니다. 해당 분야에서 연구하시는 Y대 교수님과 이야기가 잘되었고 저는 아직 시간이 많이 남은 만큼 이후 인턴 자리가 나면 연락 주기로 하셨고 컴퓨터언어나 낮은 학점에 따른 부족한 전공지식과 무엇보다도 저희 모교에서는 제가 희망하는 분야에 대한 수업이 “아예” 개설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KOCW” 같은 곳에서라도 독학하면서 내년에 개인 프로젝트나 포트폴리오까지 한 번 만들 예정입니다. 이에 관해서 랩장님께 종종 질문도 하고, 논문과 연구소라는 경험을 한 번 하고 싶어서 3학년 2학기 모교의 교수님을 찾아가서 학부 인턴도 잠시 해보고 졸업논문도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현재 상황으로는 성적이 낮은 것 외에는 나름 방향성이 뚜렷하게 정해졌다고는 느낍니다만, 이번 대학원 입시 결과에서 Y대가 서류 컷을 굉장히 많이 높였다고 하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실제로 에타의 선배님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K,P대를 제외하면 컨텍만 잘되어도 어느 정도의 합격률은 보장되는데 이에 대한 예외적인 사항이 이번 입시에서는Y대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래서 최근 저는 고민에 빠진 부분이, Y대 이외의 교수님을 곧바로 컨텍해서 해당 교수님의 연구실에 최선을 다할지 아니면 계속 Y대의 연구실에 진학하기 위한 준비를 꾸준히 할지 고민중입니다. 실제로 제가 더 가고 싶은 연구실은 Y대 연구실이긴 합니다.
성적을 다시 올리기에는 4-1은 다소 늦었고 무엇보다 제가 예전에 희망전공이 다소 불투명했을 때 들었던 복수전공 수업의 성적들이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그중 일부는 폐강되어서 재수강을 할 수 없는 상황이기도 해서 성적은 더 이상 떨어뜨리지 않는 것이 목적이고 성적 이외의 다른 것으로 연구소에 어필할 생각으로 여러 가지 조사하는 중입니다. 교양과 컴퓨터언어 수업으로 어찌저찌 3점 중반까지는 끌어올릴 수 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낮은 성적이기 때문에 서류컷이 높아진 대학원의 입시를 계속 준비하기가 고민이 됩니다.
혹시나 이번 Y대 대학원에 합격하신 선배님들이 계신다면, 현실적인 부분이나 조언을 부탁드려도 괜찮겠습니까?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7 18 3601 -
14 17 7721
대학원 진학 고민입니다. 김GPT 0 13 6565-
1 18 3460 -
15 9 4674
대학원 관련 고민 상담 부탁드립니다. 김GPT 0 4 672
대학원 관련 고민 상담 부탁드립니다. 김GPT 2 8 1424-
2 17 2101
냉정한 판단 부탁드립니다... 김GPT 5 15 3273
더 나은 교수님을 찾아 떠나려고 합니다. 명예의전당 111 35 49973-
442 70 53236
일을 잘 한다는 것. 명예의전당 210 15 2200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68 -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52 - 철학자ABCD고머고 왜어그로가끌리는거죵???🤔🤔🤔🤔
21 -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5 - 우물안 개구리들이 되지 마세요.
15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36 -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21 - Yk>>>>>>>>>>>>>ist임
15 - 이 교수님 연구실로 석사 진학해도 괜찮을까요?
7 -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18 -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8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26 - 김박사넷 대학원생 박사학위 수여식.jpg
1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49 -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8 - 미국 아이비리그 합격 가능성 있을까요? (서강대졸/대기업4년차)
25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15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8 -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7 -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2 - 지스트/유니스트 인기랩실 vs 포항공대 비인기 랩실
8 - 중졸이에요... ㅜㅜ
11 - 대학원생의 연애와 결혼은?
7 - 지거국 , ust 중 진학고민이라면 여러분들은 어딜 가실 것 같으세요(생명)
6 -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13 - 일본 유학 관련 질문하려고 합니다
6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18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68 -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52 - 철학자ABCD고머고 왜어그로가끌리는거죵???🤔🤔🤔🤔
21 -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5 - 우물안 개구리들이 되지 마세요.
15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36 -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21 - Yk>>>>>>>>>>>>>ist임
15 -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18 -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8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26 - 김박사넷 대학원생 박사학위 수여식.jpg
1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유
30 - 컨텍 메일 답변이 어느정도 긍정적인건가요?
8 -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8 - 미국 아이비리그 합격 가능성 있을까요? (서강대졸/대기업4년차)
25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8 -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7 -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2 - 지스트/유니스트 인기랩실 vs 포항공대 비인기 랩실
8 - 중졸이에요... ㅜㅜ
11 - 대학원생의 연애와 결혼은?
7 - 지거국 , ust 중 진학고민이라면 여러분들은 어딜 가실 것 같으세요(생명)
6 -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13 - 일본 유학 관련 질문하려고 합니다
6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