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국내 대기업(삼현슼) 중 하나에 생산 관련 직무에 재직 중인 직장인입니다. 현재 직장에 불만이 있는 건 아니지만 언제나 20대를 성장에 조금 더 투자하고 싶단 생각이 있었고 그를 위해 할 수 있는 선택으로 관심 분야로의 학위 취득이라 생각하여 대학원을 진학하려 합니다. 우선 박사까지는 아직 확신이 없어 석사 진학 가능인 카이스트를 1순위, 2순위로 자대를 가려고 합니다.
간단하게 아래는 제 스펙입니다. 학부 : SSH 전화기 학점 : 4.05/4.5 전공 4.05 GPA로는 95.7 정도 어학 : 만료된 성적이지만 토익 950, 오픽 IH(만료 x) CV에는 우선 토익 오픽 둘다 기재 예정 기타 이력 : - 자대 반도체 연구실 학부연구생 6개월 및 산업 과제 프로젝트 참여(특허 출원 및 등록 진행 중) - 머신러닝 프로젝트(반도체, 배터리 각 1회씩.. 수준은 역시 소스코드보고 데이터 가공 후 KMeans 돌려본 정도) - YOLO 모델로 실시간 생산 공정 모니터링(거의 소스 따서 쓴 수준에 그침)
진학하려는 랩실 관련(개인적으론 거의 의미 없는 수준이라 생각합니다..) - 학부 공학수학, 확률및 통계, 선형대수 기반의 데이터 처리 위한 수업들, 강건설계(머신러닝) 총 15학점 정도 - 코세라 및 외부 활동으로 IBM Data science 수료, 기타 데이터 관련 활동 수료(여러 개라 굳이 기재는 필요없을 것 같습니다..!) - 그 외 개인적으로 머신러닝 서적 및 강의(앤드류 응) 수강 이력은 있으나 1년 전이라 다시 학습 필요
저는 최종적으론 데이터 마이닝 대학원에 진학 후 금융쪽이나 제조업 본사 데이터 직무로 빠지고 싶습니다. 하지만 거의 관련된 스펙이 없다고 생각하여 진학 가능성이많이 낮을지 여쭤보고자 글 올립니다..! 아무래도 타과+퇴사 후 진학이라 스트레이트로 진학하려는 전공생들과의 경쟁에서 밀릴 수 밖에 없을 것 같아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4.01.15
문부숨ㅇㅇ
대댓글 5개
2024.01.15
우선 소중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제가 대단한 학점이나 학벌을 가지고 있는 게 아니기도 하고, 더군다나 관련 분야에 대한 학문적 기반도 없는 상태라 걱정이 많이 되긴 하네요... 우선 컨택이 당연히 우선인 건 맞는데 저와 유사하게 타과생도 산업공학 분야로 많이 지원하는걸까요?
2024.01.16
네네 보통 그런 분야는 산공으로 많이들 가죠. S대 산공에도 관련 랩실 있고 조만간 새로 또 오시는 것 같은데, 많이 찾아보세요.
2024.01.16
이쪽대학원에서 ssh 정도면 상위권임
2024.01.16
아하 네넵 말씀 감사합니다! S가 좋은데 석박 우선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서..ㅠㅠ 랩실에는 다들 학벌이 최소 서성한이라서 걱정했네요
2024.01.17
석사도 많습니다 to는 표면적인 이유에요
2024.01.15
시험준비해서 가시느넌가요?
대댓글 4개
2024.01.15
대학원 입시 시험 말씀이실까요? 입시 시험은 전까지 공부해야죠..ㅠㅠ
2024.01.16
최적화공부는 혹시 어똔자료로 하시나요? 그리고 혹시 봐둔 랩실은 있으신가요?
2024.01.16
봐둔 랩실은 응용수학 머신러닝쪽으로 봐뒀는데 컨택은 아직입니당..! 컨택 후 공부 시작 바로 달릴 예정입니다
2024.01.15
대댓글 5개
2024.01.15
2024.01.16
2024.01.16
2024.01.16
2024.01.17
2024.01.15
대댓글 4개
2024.01.15
2024.01.16
2024.01.16
2024.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