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AI 경력직분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합니다. (AI 물경력 고민)

2024.02.24

7

1870

저는 박사 AI 연구원으로 IT 관련 회사 10개월 정도 다니고 있습니다.
근데 제 팀에 저를 제외한 나머지 인원들은 소프트웨어 개발자이고 AI 전문으로 하는 사람이 저밖에 없어서 연구하는 것도 아니고 개발도 간단한 거 구현하면 돼서 뭔가 하는게 없어요....
처음에는 회사 적응하느라 몰랐는데 이제는 가만히 앉아있는 시간만 늘고 물경력만 쌓는거 아닌가 걱정이 드네요..

그래서 지금 "1년만 채우고 이직준비" or "월급루팡하면서 퇴근 후 사이트 프로젝트" 이 두 가지 중 하나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혹시 1년만에 이직하는 판단이 맞을까요? 다른 AI 경력직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02.24

간단한게 어떤거인가요??

대댓글 1개

2024.02.24

논문에 있는 딥러닝 모델이나 데이터 처리 방식을 다른 팀원들이 이해하기 편하게 실사용 코드로 구현해 설명하고 적용시키는 업무입니다.
제가 직접 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뭔가를 만드는게 아니고 필요한 논문을 찾고 해당 논문 모델이나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를 구현하면 해당 코드를 가지고 나머지 팀원들이 다 알아서 하는 방식이라 전체적인 프로젝트를 제가 진행하는게 아니라 물경력만 쌓이는게 아닌가 걱정되고 있습니다....

2024.02.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IT 업계회사가 어느정도수준인가요?대기업인가여?

대댓글 1개

2024.02.24

대기업은 아니고 중소중견급 회사입니다.

2024.02.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기안을 해보세요 본인이.
무기력한 백석*

2024.02.25

연구소나 연구중심조직 (카카오브레인, 네이버클로바, 구글리서치, 메타리서치, MS리서치 등) 아니면 다 그렇죠. 말만 연구직이지 그냥 기존모델들 짬뽕해서 비즈니스 포커스 모델 디벨롭하는 엔지니어링 수준 작업만 합니다. 심하면 업무의 90퍼가 데이터 전처리와 데이터분석 및 시각화인 경우도 있어요. 연구를 제대로 하고 싶으면 RnD 투자비중 높은 대기업의 연구중심조직으로 가야함.

대댓글 1개

2024.02.25

저도 대부분의 회사가 비슷할거라고 생각했지만 이렇게 말해주시니 RnD 중심 기술 회사로 이직하는게
커리어적으로 가장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