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hree-dimensional porous mesh structure of Cu-based metal-organic-framework - aramid cellulose separator enhances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thium metal anode batteries
1. Introduction Certainly, here is a possible introduction for your topic:Lithiummetal batteries are promising candidates for high-energy-density rechargeable batteries due to their low electrode potentials and high theoretical capacities [1,2]... 중략...
Introduction 첫줄부터 GPT냐.
- 저널/저자의 이름이 널리 퍼질 작품 - 연구 윤리 교육 보조재로 활용할 예정 - 철회안하고 박제 되었으면 좋겠음 - 근데 이 저널, IF6.4, JCR IF 15%이라고? - citation을 위한 창의적인 가스라이팅인가? - 아수라발타타 ... 사쿠라네???
첨부: 엘스비어 AI 관련 정책... (본 게시글의 저자도 구글 번역거로 돌려서 그냥 올림ㅎ)
저널 편집 과정에서 생성 AI 및 AI 지원 기술의 사용
제출된 원고는 기밀 문서로 취급되어야 합니다. 편집자는 제출된 원고 또는 그 일부를 생성 AI 도구에 업로드해서는 안 됩니다. 이는 저자의 기밀유지 및 소유권을 침해할 수 있고 논문에 개인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데이터 개인정보 보호 권리를 침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기밀 유지 요구 사항은 원고 및/또는 저자에 대한 기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통지 또는 결정 서한을 포함하여 원고에 관한 모든 통신에 적용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편집자는 단지 언어와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이라 할지라도 AI 도구에 자신의 편지를 업로드해서는 안 됩니다.
동료 검토는 과학 생태계의 핵심이며 Elsevier는 이 과정에서 최고 수준의 무결성 기준을 준수합니다. 과학 원고의 편집 평가를 관리하는 것은 인간에게만 부여될 수 있는 책임을 의미합니다. 제너레이티브 AI 또는 AI 지원 기술은 편집자가 원고의 평가 또는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이 작업에 필요한 비판적 사고와 독창적인 평가는 이 기술의 범위를 벗어나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기술이 원고에 대해 부정확하거나 불완전하거나 편향된 결론을 생성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편집자는 편집 과정, 최종 결정 및 이에 대한 저자와의 의사소통에 대한 책임을 집니다.
Elsevier의 AI 저자 정책 에 따르면 저자는 제출 전 집필 과정에서 생성 AI 및 AI 지원 기술을 사용할 수 있지만, Elsevier 가이드의 지침에 따라 논문의 언어와 가독성을 향상하고 적절한 공개를 하는 경우에만 허용됩니다 . 저자( 새 탭/창에서 열림 ). 편집자는 논문 하단의 참고문헌 목록 앞 별도 섹션에서 그러한 공개를 찾을 수 있습니다. 편집자는 저자나 리뷰어가 AI 정책을 위반했다고 의심하는 경우 출판사에 알려야 합니다.
근데 introduction에 GPT 쓰면 안되나요 method, experiment 이런 곳에 들어가면 좀 문제가 있겠지만 논문 내용 요약 정도는 연구에 영향을 주는 사용이 아니라 의미가 있나 싶은데
대댓글 8개
2024.03.28
(진짜로 궁금해서 질문하는 거예요 석사 막 시작해서 잘 모릅니다......!)
2024.03.28
첫줄에 gpt에 넣은 프롬프트까지 넣었다는 건.. 저자 본인도 gpt에서 그냥 복붙하고 논문에 어떤 문장이 들어갔는지 스스로 검수 안 했다는 거 아닌가요 ㅎㅎ
IF : 2
2024.03.28
gpt 도움 받는거야 상관없는데, 논문 도입부가 chatgpt가 한 말 복붙한거라 그래요... "Certainly, here is a possible introduction for your topic"
IF : 1
2024.03.28
저널을 투고할 때 대부분의 출판사와 저널은 Author 가이드에서 Open Ai 를 활용하는 것은 금지한다고 명시되어있습니다;;
2024.03.28
아하.......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3.28
제대로 글을 안보시네여 ㅋㅋ
2024.03.28
gpt 금지까지는 아닐텐데 IEEE에서는 GPT도움을 받아서 썼다고 명시하라고 되어 있긴 합니다. 또 제가 모르는 저널에서는 금지일수도 있지만요.
2024.03.28
대부분 저널이 금지는 아닌걸로 아는데 금지인 저널 좀 알려줄래요? 금지가 아니라 AI를 사용해서 연구 내용이나 해석같은걸 AI한테 시켜서 나온 결과물을 논문에 쓰지말라는거 언어 교정에 대해서는 쓰는건 자유임 그리고 저널의 저자는 인간에 한정이라 AI를 넣을수 없는걸로 알고있음 대신 논문 끝에 선언문 같은거 넣어서 AI 썼다고 표기해주는거 이공계 논문이면 내용이 사실 더 중요하긴한데 솔직히 내가 리뷰어면 바로 리젝일듯 성의가 없는듯 나도 가끔 같은 분야 리뷰면 인트로 스킵하기도 하는데 저걸 못발견했다는건 좀..ㅋ 아니면 일부러 박제한걸수도 저거 correction하는 것도 참 뭐하겠네
2024.03.28
이게 말이 되나요..? 제 경우 리뷰온거보면 리비젼때 고치라고 에디터랑 리뷰어들이 오탈자랑 표현 검토까지 해줬는데, 이 저널엔 기본적인 검토도 없나요?
2024.03.28
가장 골때리는건 저자가 중국인이고(중국대학), 중국은 chat gpt 사용 금지라는거... ㅋㅋ
대댓글 1개
2024.03.28
확실하지 않은 정보인데 중국 내에서 오픈된 인터넷망에 접속 가능한 망이 최상위권 대학 일부에 있다고 하더라고요.(중국인 박사형 피셜)
2024.03.28
대댓글 8개
2024.03.28
2024.03.28
2024.03.28
2024.03.28
2024.03.28
2024.03.28
2024.03.28
2024.03.28
2024.03.28
2024.03.28
대댓글 1개
2024.03.28
2024.03.28
2024.03.30
2024.03.30
2024.03.31
대댓글 1개
2024.03.31
2024.04.02
2024.07.01
2025.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