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취업이면 학벌안좋고 논문 잘 쓴 사람보다 학벌 좋고 논문 그저 그런 사람이 더 잘 되지 않나?
2024.04.19
석사는 관심없고 박사중에 SKP인데 (물론 학부는 대부분 구리더라) 1저자 구린곳 겨우 1편 내고 간신히 졸업한 애들 몇번 봤는데 능지가 확실히 딸리더라. 능지 문제가 맞음 좋은 대학에서 박사 받았는데 논문 실적 없는 애들은..
2024.04.20
보통 지방대는 주제랑 실험 설계도 교수가 하고 논문까지 다 써주던데 비교가 가능함?
IF : 1
2024.04.22
교수 실력을 학생실력으로 착각하는듯 상위대학은 학부3학년부터 아이디어 들고와
2024.04.19
김박사넷에다 똥글 싸며 위안 얻는 애들이 제일 한심하던데요
대댓글 2개
2024.04.19
진심ㅋㅋㅋㅋㅋ
2024.04.20
ㅋㅋ 학위는 시작인데 말이죠
2024.04.19
진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대댓글 1개
2024.04.19
대댓 달려고했는데 잘못썼네 ;;
2024.04.20
마음껏 한심해 하슈~ 낮은학교에서 개쩌는 실적내봐야 동종업계인이나 알아주겠지
대댓글 3개
2024.04.20
긁혔네 이 분 ㅋ
건강한 게오르크 헤겔*
2024.04.20
동종업계에서 알아줘야지 아니면 뭐 연예계에서 알아줘야 되는건가? ㅋㅋ
2024.04.20
석박사 따는거면 동종업계 사람이 알아주는게 맞는거 아닌가
2024.04.20
석사는 결국 학벌같음 회사취업 목적인거면
2024.04.20
우수한 논문 기준이 뭘까요?? IF일까요?? 보통 실적이 좋은 교수님들은 논문의 테크닉이 뛰어나서 가르치는 학생들 억셉 잘 시켜주기도 하고요, 자체 네임벨류가 있는 대학이라든가 교신저자 자체가 네임벨류가 있으면 억셉되는 경우도 많이 보았어요~사실 논문은~테크닉적인 부분이 많이 따라줘야 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전통적인 학문을 고수하는 분들 중에 IF보다 학문 그 자체에 목적을 두시는 분도 많아요~~예를 든다면 신춘문예 등단한 작가와 일반 지방 신문이나 잡지에 등단한 사람이 큰 차이가 있다면 아마도~현 시대의 트랜드 논제 차이 일 수 있고요~우선 논제는 재밌고 호기심 자극되는 참신하면서 새로운 것에 주목을 한다는 것이죠~~모두의 공통분모는 논리적인 글쓰기가 탄탄 할 거에요~~인스턴트식 참신한 논문들이 어쩜 억셉이 더 잘 될 수 있어요~제가 아는 고대 교수님은 전통적인 학문을 많이 고수하셨고 IF보다 기본에 충실함을 두셨어요~논문 실적 많은 분은 점수 잘 챙겨서 교원임용 정년트랙 도전하시면 되세요~~
대댓글 1개
2024.04.21
그 물결은 습관인가요~~?
2024.04.20
그런 관점이면 학벌도 낮고 논문도 잘 못 쓰는 경우가 더 한심한 거 아님? ㅋㅋㄱ
대댓글 1개
2024.04.20
학벌로 논문 무시하는 애들은 어차피 생각없이 도태될 애들이니 무시하세요
이기적인 박경리*
2024.04.20
더 짜증나는건 잘 못하는 앤데 자대생이라고 교수가 온힘을 다해 밀어줌 되도않는 아무말대잔치 하는데 아이디어 끝내주는데? 지들끼리 ㅇㅈㄹ 하면서 실적 만들어줌
2024.04.19
대댓글 4개
2024.04.19
2024.04.19
2024.04.20
2024.04.22
2024.04.19
대댓글 2개
2024.04.19
2024.04.20
2024.04.19
대댓글 1개
2024.04.19
2024.04.20
대댓글 3개
2024.04.20
2024.04.20
2024.04.20
2024.04.20
2024.04.20
대댓글 1개
2024.04.21
2024.04.20
대댓글 1개
2024.04.20
2024.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