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Reject with an option to resubmit 결정

2024.04.25

18

4011

안녕하세요 여러분, elsvier sci 저널에 논문 내고 1차 리비전 후 오늘 결과를 받았는데 에디터가 reject with an option to resubmit을 줬습니다. 해당 결과에 대해 궁금한 점이 몇가지 있어서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에디터의 코멘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Based on the provided review comments, the recommendation by the Associate Editor, and my own reading, the paper requires substantial changes before it can be considered for publication in 0000. For this reason, my decision is to reject the paper with an option to re-submit (please note that previously rejected papers are not re-considered in the journal, except if a reject with option to re-submit decision is made).

1. Reject with an option to resubmit이라는 결정이 흔한 결정인가요? 제 경우 리뷰어 한명은 억셉을 주고 다른 한명이 리젝을 준 것 같은데 리젝을 아예 안주고 왜 다시 새로운 서브미션으로 내라고 했는데 이 경우가 흔한 경우인지 궁금합니다.

2. 리젝을 준 것 같은 리뷰어로부터 다음과 같은 리뷰 코멘트가 왔습니다.

From my point of view, the major drawbacks are still there: no proof that the mechanism can works with more complex datasets. CIFAR-10 was mentioned by the other reviewer and no results was proposed.

Authors state that unsupervised STDP cannot learn features that are effective for classification.
The works such as the following mainly exploit STDP in an unsupervised manner and address complex datasets.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ncom.2015.00099/full (already achieving 95% on MNIST in 2015)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893608023003301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8852346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ncom.2018.00024/full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893608017302903

As there is no direct link between the internal functioning of SDTP and AST (as stated by the authors), it might be interesting to see if the proposed approach ameliorate any of the existing methods.

좀 웃긴게 ㅋㅋ. 저 위에 있는 the other reviewer가 언급한 대로 complex dataset을 사용한 실험 결과(cifar-10은 아닙니다.)를 집어넣었고 the other reviewer는 추가적인 질문은 더 없다고 제게 말해줬습니다. 만약 resubmit을 고려한다면 cifar-10을 적용한 실험 결과도 넣어 줘야겠죠? 또한 위 리뷰 코멘트도 충분히 리비전으로 커버할 수 있는 코멘트인 것 같은데, (지도 교수님께서도 그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굳이 reject with an option to resubmit을 준 이유가 무엇일지 궁금합니다.

지도교수님께서는 이 정도 저널은 그냥 저 보고 알아서 처리하라고 하셨는데 reject with an option to resubmit이라는 경우는 저도 처음 보는 경우라 대처하기에 앞서서 저보다 내공이 많으신 여러분들께 고견 여쭙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4.04.25

예전에 reject and resubmit을 ieee access로부터 받은 적은 있습니다만... 해당 저널은 원래 revision을 주지 않고 reject and resubmit을 준다고 홈페이지에 안내하고 있는데, 이 저널은 그런 안내 없이 reject and resubmit을 주네요.

대댓글 1개

2024.04.26

access는 binary

2024.04.25

Reject and resubmission은 보통 editor 마음엔 들었으나 reject 의견이 많을 때나 revise로 스텝을 진행시키기에는 리뷰어가 요구하는 수정 사항이 너무 많을 때 나오는 결정입니다. 긍정적인 사인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대댓글 1개

2024.04.25

리뷰어가 두명인데 한명은 억셉주고 나머지 한명이 하나 혹은 두개 정도의 수정 사항을 줬는데 (cifar-10 추가 실험 및 다른 approach와의 결합) 굳이 Reject with an option to resubmit을 준게 특이하네요. 밑에 분이 말씀해주신 이유 때문인 것 같아요.

2024.04.25

엑세스는 원래 바이너리 디시전인거고, 꼭 바이너리 디시전이 아니더라도 원래 RR 많이 줍니다.
저널 입장에서 억셉률 낮출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고 저자도 기한 압박 없이 리비전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제법 많이 RR 줍니다.

2024.04.26

경험상 R&R은 50% 확률로 붙으니까 코멘트 다 대응될거 같으면 ㄱㄱ. 근데 한가지 잠재적 위험 요소가 있다면, AE가 논문이 맘에 안드는데 리뷰어 코멘트가 박하진 않아서 strong reject을 날리지 못하고 r&r 준 경우임. 그러면 보통 AE가 리뷰어들 싹 바꿔버려서 코멘트가 첫 리뷰처럼 올수가 있음..

2024.04.26

저는 아니고 선배가 jacs에 RR받았다가 accept된걸 본 적 있어유. 수정사항이 오래 걸릴 것 같으면 주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2024.04.26

Reject 후 동일 주제로 특정 기간(예: 1년) 내에 유사 내용으로 다시 제출하는 걸 금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규칙이 있는 경우 reject and resubmit 받으면 그런 규칙 상관없이 수정 후 다시 제출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완전 reject 할만큼 나쁘진 않은데 major revision 보단 더 수정이 필요해 보이는 경우 reject and resubmit을 줍니다.

2024.04.26

IEEE ACCESS 같은 binary decision의 경우 리비전 개념으로 저렇게 주는것은 봤고 제가 IEEE Internet of things에서 reject resubmission을 받았는데 지도 교수님은 major revision이랑 비슷하다고 하셨습니다.

대댓글 4개

2024.04.26

혹시 실제로 리서브밋 하셨나요? 하신 후 결과는 어떻게 나왔는지도 궁금합니다.

2024.04.26

Resubmit 해야하는데 시간이 없어서 못하고 있어요. Resubmit할 때 기존 리뷰어의 코멘트 수정해서 언급하라고 되어있었습니다. 저희 연구실에 다른 학생은 resubmit했고 revision으로 바뀌어서 메일이 왔어요.

2024.04.26

아 그리고 저널 평가 때문에 reject resubmission 많이 줘요. 억셉률 낮게 만들려고

2024.04.26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024.04.26

저널의 이해관계와도 닿아 있는데, major revision을 주면 평균 리비전 기간에 산입되어서 저널의 평가에 악영향을 주는 반면 R&R은 새로운 submission으로 취급이라서 손해가 없죠. 그래서 major revision 줄것들을 왠만해서는 R&R 때려버린다는 썰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2024.04.26

출판기간 짧게 통계 잡히기위한 최근 저널들 트랜드 입니다. 추가실험하셔셔 리서부미션하시면 좋은결과 있을것입니다.

대댓글 1개

2024.04.27

감사합니다. 코멘트도 제가 본문에 올린 세개 밖에 없는데 얼른 리비전 진행하고 제출해야겠네요.

2024.04.28

ACM transaction에서 메이저 받은 후에 reject and resubmission 받고 다시 냈다가 떨어진 적도 있긴 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4.28

저랑 비슷한 상황이네요. 저도 revise and resubmit (코멘트 내용은 메이저) 받고 리비전 해서 제출했더니 reject and resubmit을 받은 겁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