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순수과학(천문학쪽)을 하고 싶어서 물리학과 대학원에 왔고, 1학기를 보냈습니다. 처음에 교수님이 던져준 주제가 재미있어 보여서 자연스럽게 받아먹었는데, 문제는 이 주제가 석사 학위까지 공부한 것으로는 취업이든 뭐든 써먹기 힘든 주제입니다. 그래도 재미있어 보여서 놓지 않았습니다. 사실 이때부터 뭔가 잘못 빠져든 게 아닐까 싶습니다. 그래서 박사까지 할 필요가 있겠다는 말을 듣고, 일단 석사까지는 해보고 다시 한번 생각해야겠다 결정하고 공부하고 있었는데, 또 은근슬쩍 석박 통합 하는 건 어떠냐는 말씀을 하시네요.
교수님이 뭔가 나쁜 면이 있는 건 아닙니다. 선배 이야기를 들어보면 연구광이긴 하지만 대학원생 통수치는 그런 분은 아니라고 하시고... 연구실도 생각보다 좋은 곳입니다. 다만 뭔가 점점 늪에 빠져드는 기분이 됩니다.
혹시 석박통합하시는 분들은 이러한 상황이 어떻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주제가 좀 써먹기 힘들어서 석사졸업이나 학사졸업이나 큰 차이가 없을것 같다고 하시는데, 실제로 대학원에서 연구한 주제에 따라 석사졸업장이 취업에 영향을 별로 안 줄 수 있나요? 주제가 진짜 마이너한 주제이긴 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4.05.08
천문학이 기본적으로 전공 살려 취업하기 쉽지 않습니다. 학교를 제외하면 천문연, 항우연, 과학관/천문대 정도가 전부인데, 때문에 포닥으로 꽤 오래 떠도는 분들도 많이 봤습니다. 우주항공청이 잘되면 또 모르겠지만… 아마 이미 쌓여 있는 포닥들 취업도 다 안되지 않을까 싶네요. 보통 취업은 프로그래밍 능력을 살려 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뭘 하고 싶은지 고민해보세요. 기초과학, 그 중에서도 직접 돈이 되기 어려운 천문학 같은 분야는 전공에 대한 애정이 없으면 하기 어렵습니다. 취업이 목표라면 박사 진학은 안하는게 나을겁니다.
대댓글 1개
2024.05.08
취업이 제1목표가 아니지만, 혹시 부모님 정년이 가깝기도 하고 건강도 걱정되는 상황이고, 제가 장남이라서 여차하면 전공을 못살리더라도 어디든 취업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연구 주제도 중요하다는 말씀이시군요. 감사합니다.
2024.05.08
'주제가 좀 써먹기 힘들어서 석사졸업이나 학사졸업이나 큰 차이가 없을것 같다고 하시는데, 실제로 대학원에서 연구한 주제에 따라 석사졸업장이 취업에 영향을 별로 안 줄 수 있나요? 주제가 진짜 마이너한 주제이긴 합니다.'
네, 진짜 마이너한 주제면 딱히 영향 없습니다. 오히려 석사 자원으로 뽑을 이유가 더더욱 없죠
대댓글 1개
2024.05.08
물론 관련 있는 연구소 말고 사기업 기준입니다.
2024.05.08
조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유학옵션도 고려하시면서 충분고민하고 2년차 들어갈 즈음에 결정해도 괜찮을 거 같습니다.
2024.05.08
순수과학 천문학이시면 많이 힘드시겠네요...
2024.05.08
묻고 싶은게 많으나 너무 많이 물으면 학교와 지도교수가 특정될 것 같아 자제하겠습니다.
일단 앞으로 뭘 하고 싶으신지 차분히 생각해 보세요. 연구자가 되고 싶은지 아니면 돈을 벌고 싶은지 등등.
천문학은 석사만으로는 세부 전공에 관계 없이 전공 살려 취업을 하기에는 만만치 않습니다.
단 Y에서 위성을 하거나 기기 전공을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요. 그런데 내용을 보면 그쪽은 아닌 것 같습니다.
박사를 성공적으로 하는 경우엔 은근히 연구자가 아니어도 그럭저럭 취업의 길이 있습니다.
최근 S대에선 삼성에 취업한 사례가 다수 있고 요새 한창 많이 생기는 (위성, 의료) 영상 분석 기업에 취업한 사례는 더 많습니다. (텔레픽스, 프로메디우스 등를 검색해 보세요)
요새 ML이 하도 흥해서 S, Y, (수원의) K 천문/우주과학 쪽에서 ML 방법론 안 쓰는 연구실 찾기가 어려울 정도입니다.
다만 역시나 학계에 남기 위한 연구자가 되는 길은 험란하고 만만치 않습니다. 미국 천문학 박사 과정 입학이 나날이 어려워져서 미국 내에도 post-bachelor 연구자를 뽑아서 training 시티는 프로그램이 많이 생겼습니다.
시간이 지나서 마음이 바뀌어도 좋으니 지금은 무엇이 본인을 가장 행복하게 하는지, 또는 즐겁게 하는지, 그도 아니면 본인이 잘 하는 것이 뭔지 고민해 보고 결정을 내려 보세요.
그리고 나서 허심탄회하게 지도교수와 이야기 나눠 보는 것도 좋고요.
2024.05.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기회있을때 다른거 하시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천문학 전공자들이 보통 개발자나 소프트웨더나 빅데이터쪽에 많이 진출합니다. 그러나 추후에 전공을 살리고 싶으시면 응용과학이 짱입니다.
2024.05.08
대댓글 1개
2024.05.08
2024.05.08
대댓글 1개
2024.05.08
2024.05.08
2024.05.08
2024.05.08
2024.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