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세종펠로우 국내트랙 과제 수행 vs 해외 포닥

2024.05.19

14

3119

지금 세종펠로우 국내트랙도 선정됐고 미국 포닥 offer도 받은 상태입니다.

문제가 뭐냐면, 미국쪽에서 올해 하반기에는 왔으면 좋겠다는 말을 했고 그렇게되면 세종펠로우십을 포기해야하는 상황이됐습니다...

다들 제 상황이면 어떤 선택을 하실것 같으신가요...?
사실 이번 경쟁률보고 세종과제 생각도 안했는데 이번에 운좋게 선정되어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됐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4.05.19

세종과제를 활용해서 국내에 적을 두고, 해외포닥을 visiting으로 가시는건 불가능한가요? 세종국내도 5년 중 최대 1년 해외 체류 가능하니까요

대댓글 4개

2024.05.19

1년으로 성과가 나올지 걱정이 되어서... 그래도 이게 가장 현실적인것 같네요

2024.05.20

불가해요. 해외 15일이상 체류시 한달단위로 연구비 반납 같은 규정이 있을수 있습니다.

2024.05.20

이번세종 공고문에는 1년 체류가능 적혀있습니다

2024.05.20

그런데 국내에서 적를 두고 수행할 수 있는 연구내용을 연구계획서에 작성해서 내서 선정되셨을텐데 그 내용을 이미 다른 연구주제들이 진행중인 미국내연구실에서 해외포닥으로 연구수행할 수가 없지 않나요?
제가 알기로 6개월이상 visiting 하시려면 선정된 세종과제를 해외여서도 할 수 있다는 서류내서 승인되셔야하는 것 같아서요.

2024.05.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닥전. 국내에 직을두고 해당 연구실에 가시는게 좋아보여요. 5년짜리 과제라 세종펠로우 있으면 교수되기 수월하십니다.

대댓글 3개

2024.05.19

그렇군요. 세종과제를 진행하는게 더 메리트가 있을것 같네요

2024.05.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연락받은 미국 PI분께 과제가 선정되었다고 말씀드리면 됩니다. 1년동안 줘야할 인건비를 세이브하는 입장이기도하기에 1년 방문하신 후 정식 오퍼를 달라고 하셔도됩니다. 세종은 인건비 외에도 3천만원 이상 쓸 수 있어서 매우 좋은 S급 과제입니다.

2024.05.21

데카르트님 댓글 보고 대댓글 남깁니다.
1. 국내에서 수행할 연구내용으로 세종펠로우 선정이 되었는데 해외에 1년간 방문연구원으로 가서 연구를 수행해도 되나요? 왜냐면 6개월이상 방문연구원하려면 해외에서도 선정된 연구내용을 수행한다는 내용의 서류제출및 승인이 필요하다고 알고 있어서요.
2. 그리고 1년간 방문연구원 후 정식오퍼 받아서 적을 옮기려면 1년 있은 뒤 과제종료를 해야할텐데 방문연구원후 바로 과제종료 바로 해도 괜찮나요?
나른한 백석*

2024.05.19

근데 해외 1년체류만으로 성과가 절대 나올 수 없을텐데. 해외 연구실에서 지원해주는 거라면 해외로 가는 게 당연히 맞아 보이는데.
국내 포닥으로 성과를 많이 낸다면 국내가 낫겠고.

2024.05.19

윗분 말대로 플랜을 잘 짜시길.. 해외 포닥도 해외포닥 나름이며, 일반적으로는 기관명 자체에서 오는 후광은 매우 적습니다.
다만 포닥가는 곳이 전세계 적으로 유명한 연구실일경우라면 다를순있습니다.
현재 컨택된 기관이 어딘질 모르기에 함부로 말할순없으나, 저라도 국내트랙은 임용시장에서 상당히 유리합니다.
지금 적을두고있는 기관(높은확률로 박사학위받은 학교겠죠)에서 앞으로 1년정도 포닥을 좀 하면서 실적 쌓고, 그 사이에 이미 스칼라 있어서 방문연구원 1년간 가고싶다고 해서 유명한 기관에 오퍼를 받고, 거기가서 논문을 못쓰고 오더라도 국내포닥하면서 논문작업 한것을 그 사이에 publish하면서 한국리턴 생각하는게 가장 유리하다고 봅니다.
지금까지 이미 포닥경력이 얼마나 있는지, 실적이 어느정도인지몰라서 확답은 못드리지만, 포닥경력을 2-3년정도 채우고 거기에 단기간이라도 해외포닥 경력있으면 "국내기관 리턴" 입장에서는 꽤나 충분합니다.
저도 탑스쿨에 포닥중인데, 학진과 같이 국내장학재단 사업들고오시는 분들뿐 아니라 많은경우, 꽤나 현명하게 플랜짜와서 해외포닥 기관에서는 실적없이 단기간 임용시장 노리는 경우도 꽤나 봅니다. 저는 미국에 자리잡을 생각이라서 길게 바라보지만, 국내리턴 생각하면 "해외기관가서 열심히해서 논문쓰고나서 지원해야지!!" 라는것은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걸립니다. 저도 2년짼데 이제서야 논문 나오고잇는걸요.

대댓글 1개

2024.05.19

지도교수와 잘 상담해보세요. 현 상황을 정확하게 아시면서 좋은조언을 해주실것이라 판단됩니다.
탑3에 포닥나온다해도 다 잘풀리는건 아닙니다. 오히려 포닥경력 길어지면서 박사과정때 좋은실적은 최근3년실적에서 다 빠지고, 해외포닥하면서는 논문 잘안나와서 손해보는경우도 종종 보입니다. 해외포닥 2년이상 연장하는것도 PI한테 잘보여야되지만, 생각보다 PI들중에서 논문은 딱히 요구안하고 (대체로 지도를 안해주는 senior 교수들) 적당히 프로젝트 수행만 잘해도 만족해하는 사람들 많습니다. 또한 해외포닥도 3년차부터는 세금내면 갑자기 본인부담이 커지기도 해요. 저도 국내리턴이였으면 max2년으로 생각했을것 같네요.

2024.05.19

엇 근데 세종 6개월 이상 국외체류면 안되지않나요...? 잘몰라서...

2024.05.28

저도 이번 세종국내 선정되었고 똑같은 상황입니다. 원래 오퍼받고 9월에 출국예정이었는데 미루고 visiting으로 변경해서 겨울 쯤 나갈생각입니다. 한국에서 하던연구도 마무리해서 성과로 정리할수 있고, 풀펀딩 포닥으로 간다고 해도 해외에서 성과가 나온다는 보장도 없으니 선택권은 없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