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세종과학펠로우십 국외트랙 밟고 계신 선생님들 계시면 조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저는 바이오 계열 종사하고 있고 이번 3월에 미국으로 넘어와서 포닥 하고 있습니다. 2월에 국외트랙 신청한 게 며칠 전 발표가 났는데, 운이 좋게 과제선정되었더라고요.
여기서 궁금한 게,
1. 제가 처음 고용되었을 시, 받고 있는 펀딩이 없어서 없다라고 기입을 했는데요, 혹시 9월 이후로 펀딩을 언급해야할까요? 2. 세종펠로우십의 경우 주관기관인 제 모교와 임용 계약을 맺어서 인건비 형식으로 펀딩을 받는 걸로 아는데요, 이 경우 이중계약에 들어가나요? 이전 연구자 분들께서는 어떻게 하셨는지 선례가 궁금합니다. 3. 세종펠로우십의 경우 j1 waiver를 위한 귀국면제확인서가 발급되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 경우 5년까지 채운 후 무조건 귀국해야만 하나요? 아니면 2년 세금 감면 혜택을 포기하고 지금 바로 waiver 신청을 하는 편이 나을까요? 저는 원래 한국 귀국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연구가 얼마나 길어질 지... 라던가 미래가 어떻게 될 지 몰라서 고민 중에 있습니다. 4. 인건비 형식으로 받으시면, 미국에서는 실제로 연구비로 어떻게 사용하시나요? 재료비 결제 등에 있어서요. 달러로 송금해서 사용하시는 건가요?
이 펀딩 받아서 연구 진행한 후기가 생각보다 적어서 급하게 여기 글 남겨봅니다. 이제 막 포닥으로 들어섰는데, 설렘과 걱정이 많아지네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4.05.20
저도 잘은 모르고 해외포닥중이지만, 주변 세종펠로우십 & 학진으로 온 경우를 보면 말씀드리면 1,2. 무조건 중복혜택은 엄격하게 안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다만 다들 몰래 PI와 적당히 합의보고 이중혜택 받는거죠. 애초에 지금과 다르게 방문연구원 소속이 되기때문에, 소속기관과 고용방식이 달라지게 될겁니다. DS서류와 비자발급도 다시해야하지 않을까 추측해봅니다. 3. 애초에 학진이나 세종펠로우십과 같이 '장학금'을 받게되면, 당연히 책임있게 한국 리턴을 하는게 원칙이 아닐까 싶네요. 애초에 장학금을 주는 이유도 한국에 돌아와서 기여를 하라고 주는것이며, 본인이 과제제안서를 쓸떄도 국내리턴계획을 작성하셧을텐데요. 모든 혜택은 다받고, 본인 원하는대로만 하고싶다면서 사전에 waiver를 급하게 신청하겟다는건 솔직히 연구자 윤리에 많이 어긋난다고 생각이 되시지 않나요? ㅎㅎ 4. 제가 알기로는 학진은 그만큼 돈을 다 주고, 세종펠로우십은 매달 본인의 기관(모교)에서 인건비 형식으로 제공해주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7천만원이 모두 인건비며, 본인이 거기에서 사비로 연구비를 쓰고싶다면 알아서 쓰는방식으로 알고있습니다만 확인해보시길.
저도 좋은마음으로 말씀드리고싶지만, 솔직히 3번에 대해서 말씀하신건 좀 많이 이해가 안가네요. 저도 미국에서 포닥중이며, 저는 애초에 미국에서 정착생각있어서 국내관련된 스칼라는 어떤것도 신청안하고 있습니다. 이게 너무나도 당연하다고 생각되고요.
대댓글 3개
2024.05.20
주변에서 작년에 세종펠로우십으로 온 경우에는 소속기관은 모교이며, visiting scholar?인가 신분으로 DS서류를 받았습니다. 이미 DS서류를 받은 상황에서 또받을필요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PI와 잘 상의해보셔야될것 같네요. 제가 알기로는 원칙에서 어긋나는것으로 알고있지만 (그 친구도 본인 입으로 그렇게 말햇고요), PI와 합의해서 세종펠로우십/펀딩 이중혜택받고있는 친구도있기는 하니까요.
2024.05.20
말씀을 듣고 보니 생각이 부족했던 것 같네요. 3번에 관해서는 저도 당연히 빠르게 마무리하고 돌아오는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열심히 달릴 일만 남았네요. 질책 감사드립니다!
중복 혜택 관해서는, 연구재단에 올라온 공고에 '국외연수기관의 추가지원금 수혜여부와 관계없이 세종과학펠로우십(국외연수트랙) 연구비 전액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라고 적혀 있어서요. 이 경우 실제 펀딩 받고 계신 분들은 기관과 어떻게 상의하는 지 사례를 좀 듣고 싶었습니다.
모쪼록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2024.05.20
그 친구도 포닥하고있다가 어차피 국내리턴 목표하고있고, 금전적으로 이득보려고 국내에서 장학금 추가로받으려고 지원한 경우였습니다. 지원당시 PI와 합의해서 내가 OO장학금 받으려고하는데, 이거 지원해도 되는지, 그리고 고용계약관련해서 지금받는 펀딩을 그대로 받을수잇는지를 말했고, 쿨한 PI라서 너가 따오면 너가 더 쓰는거지 okay라고 하셨습니다. 근데 주변에보면 이런교수가 많은지는 모르겠고, 또 다른친구는 PI한테 물었을때 scholar 따왔으면 추가로 과제인건비는 필요없지않냐고 말하는 교수도 있었습니다. 말씀하신 상황을 볼때 한국연구재단에서는 중복혜택에 대해서 상관없어보이고, PI와 같이 잘 합의봐야할것같네요. 그나저나 고용계약이 바뀌게되는데 DS서류를 다시발급받아야되는지는 저도 궁금하네요. 세종펠로우십 하고잇는 친구는 한국에 안돌아갔었는데, 그냥 진행해도 무관한가봅니다.
2024.05.21
저도 같은 경우로 고민 중입니다.
귀국조항에 관해서는 정확히 협약과정에서 알아봐야겠지만, 제가 듣기로 세종의 국내 귀국 조항이 없어졌다고 들었습니다.
또, 추가적인 펀딩에 관한건 전적으로 PI의 재량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PI와 협의를 볼 생각입니다.
한가지 여쭙고 싶은건 세금에 관한 문제인데요. 국외에서 예를 들면 미국, 거주한다 하면 세종으로 받은 인건비는 미국에 납부하게 되는건가요?
대댓글 1개
2024.05.22
저희 학교는 산단에서 인건비로 지급되기 때문에, 4대보험 등등등을 제하고 저에게 입금된다고 하더라고요. 세금은 한국에 납부하는 거 같아요.
2024.05.23
세종펠로우십 국외트랙 선정 축하드리고, 앞으로의 연구 생활에 대해 고민이 되시는 것 같은데 주변 선배님들께 조언 구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2024.08.17
여기 답글쓰시는분들은 신청요강은 읽어보지도 않고 그냥 막 쓰시는거 같아요 ㅋㅋㅋ 세종 국외경우 외국 교수 확인서만 있으면 이중 수혜 아무 문제없어요.. 애초에 너무 대표적인 질문이라서, 이런거 신청 요강 qna부분에 잘 나와있습니다;;
2025.02.20
안녕하세요. 혹시 어떻게 마무리 되셨는지 후기를 받을 수 있을까요? 저도 비슷한 상황입니다.
2024.05.20
대댓글 3개
2024.05.20
2024.05.20
2024.05.20
2024.05.21
대댓글 1개
2024.05.22
2024.05.23
2024.08.17
2025.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