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자대 대학원에 관심있는 학부 3학년입니다. 현재 지도교수님 연구가 재밌어보여서 논문을 읽어보려고 하는데요 제가 영어를 잘하진 않지만 대충 살짝 읽으니 이해는 됩니다만 정확히 논문을 어떻개 읽는지 모르겠어요 탭이나 노트북으로 보려니 눈이 아파서 프린트 해서 들고 다니면서 보려는데 혹시 저작권 법이나 이런거에 걸릴까 싶어서요. 혹시 대학원생 분들은 논문을 어떻게 읽으시나요? 혹시 조언을 구할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06.21
교수님께 물어보려 했지만 바쁘신 분이라 괜히 귀찮게 하는것 같아서 여기에 물어봅니다. 본문에 오타가 있어요 어떻개->어떻게 문제시 둥글게 지적해주세요.
대댓글 1개
2024.06.21
학부생이 논문을 이해하는건 어렵습니다. 저는 abstract, introduction 읽고 빈종이에 모르는 개념이더라도 비문학지문 정리하듯 쭉 정리하고 모르는 부분 하나씩 찾아가며 공부했습니다. 이렇게만 계속 해나가면 처음에는 시간이 오래걸려도 점점 그 분야의 논문을 읽을수록 같은 비슷한 개념이나 레파토리이기 때문에 시간이 점점 단축되고 이해가 되게 됩니다.
2024.06.21
단순히 읽기만 하는건 어렵습니다 저도 그랬거든요. 이건 제 개인적인 방법입니다. 우선 본인의 관심 분야와 주제를 하나 고르세요. 이미 지도 교수님의 관심사에 흥미가 있으시니 좋은 시작입니다. 그 다음에 논문을 읽는 것은 intro: 00주제에 ㅁㅁ 문제/이슈가 있어서 해결해야 된다는 것을 파악하세요 method: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자는 어떤 방법을 사용했는가를 파악하세요 result: 그러면 결과가 나옵니다. discussion: 여기서 저자의 메소드가 어떤 약점이 있었으며 보완이 필요하다고 명시합니다. conclusion: ㅁㅁ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 후속연구자들이 무엇을 해야 되는가 명시합니다. 즉 intro/method/conclusion을 읽고 본인이 풀어보고 싶은 이슈나 문제를 다른 메소드나 관점을 가지고 해결해야 되겠다 라는 마음가짐으로 논문을 읽고 정리하시면 됩니다.
2024.06.21
1. gpt에 넣음 2. 요약해달라고 함 3. 이해 ㅇㅇ
2024.06.21
그냥 위에 초록부터 쭉 읽습니다.
2024.06.22
이게 도움이 되었어요.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rSeOrCeGDLEDv5TuWY8MD-5Oej_7rhyi
2024.06.23
흠... 논문을 어떻게 작성하는지 알면 논문 읽는 게 쉽지 않을까요, 젤 많이 혼동하는 게 결과와 결론이 어떻게 다른지를 잘 모르고 논문과 리포팅 (보고서)의 차이를 이해 못함, 젤 안 되는 건 논리를 만드는 걸 잘 못해요,
2024.06.21
대댓글 1개
2024.06.21
2024.06.21
2024.06.21
2024.06.21
2024.06.22
2024.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