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AAI, IJCAI Workshop 억셉률

2024.07.17

18

3074

안녕하세요. 설카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연구실에 있는 석사 1학기차 학생입니다.

석사 기간동안 목표가 AAAI나 IJCAI 학회 워크샵 페이퍼 내는 겁니다. 근데 아직 석사 1학기차 마친 햇병아리라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감이 안 와서 질문 드립니다.
제 도메인에 방법론을 적용하는 컨셉이라 워크샵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교수님도 석사 땐 탑컨퍼 1저자는 힘들 가능성이 크니 워크숍이라도 쓰면 좋은 경험이 될 거다 라고 하시긴 했습니다. (차고 넘친다는 표현은 제가 좀 과장되게 말해서 정정합니다 …)

혹시 위 두 학회 워크샵은 주제마다 다르겠지만 억셉 되기 많이 어려운가요? 두 학회말고도 도메인 특화 주제로 내기 좋은 다른 학회들도 있을지 고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4.07.17

앵간하면 다붙어요

대댓글 1개

2024.07.17

그렇군요. 댓글 감사드립니다.

2024.07.17

워크숍을 왜 내나요 실적 인정도 안되고... 레귤러 페이퍼를 목표로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혹시나 conference와 workshop의 개념을 오해하진 않았을까 노파심에 말씀드립니다! 워크숍은 컨퍼런스에서 진행하는 행사일뿐임니다 억셉률을 미공개지만 내면 붙는다고 보면 될 정도에요

대댓글 4개

2024.07.17

친절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아직 햇병아리라 두려움에 워크숍만이라도 내면 좋겠다고 생각한 것 같아요. 특정 도메인에 잘 어플라이하는 걸로 파고 들 생각인데, 그러려면 워크숍이 제일 적합하다고 생각했고요. ㅜㅜ

2024.07.17

궁금한데 workshop하고 conference의 차이가 뭔가요?

둘 다 학회에 가서 발표하는것 똑같나요? 어떤 차이가 있는것인지, 단순히 한쪽을 더 잘쳐준다는 것이 아닌 실질적으로 어떤 활동을 해야하는지.

Jornal 에 publish 하는것하고는 둘다 다른게 맞나요?

2024.07.18

CS 분야에서는 Conference라고 해서 이게 소위 우리가 말하는 학술대회입니다. Workshop은 이 학술대회 주관 작은 Event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CVPR이란 Conference가 있으면, Video Domain에 특화된 교류의 장을 따로 만들어서 CVPR Video ~~ Workshop을 작은 행사로 개최학게 도와주는 거죠. 학회로 인정되는 것은 Conference Full paper이며, Workshop은 Short Paper 로 내며 무조건 Conference paper만 실적으로 인정해줍니다.

Journal은 학술 대회가 아닌 학술지라고 표현되며 학술 대회인 Conference와 다른 성격을 띄지만, CS나 AI 분야는 저널보다 학술대회 실적을 더 높게 쳐줍니다. 많은 타분야는 여전히 Journal을 더 높게 인정해주며, 분야마다 다릅니다.

2024.07.18

Workshop 제출 후 조금 더 개선해서 정규 Conference paper로 다시 제출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다만, 저는 그 노력을 그냥 Conference paper에 더 쏟고 추후 저널로 확장해서 제출하는 방향을 더 추천드립니다.

2024.07.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교수님이 워크샵에 내라고 강요하는게 아니시라면,

차라리 티어를 낮추더라도 워크샵보다는 학회에 내시길 추천드립니다 (실적에도 이게 더 도움이 됩니다).

개인적으로 석사면 워크샵도 차고 넘친다는 교수님의 말엔 전혀 동의하지 않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7.17

워크숍도 차고 넘친다는 말은 제가 조금 과장했는데 … ㅎㅎ 좋은 경험이다 정도로 정정하겠습니다.
강요하신 건 아니고, 교수님이랑 얘기하다보니 석사 때 1저자로 좋은 컨퍼런스에 내는 게 힘들 수 있어서 워크숍이라도 내면 좋다 그런 의미긴 했었습니다.

친절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2024.07.17

석사 1학기 차에 워크샵이면 차고 넘치죠.

대댓글 1개

2024.07.17

연구주제 잡아서 2학기 때 진행하려고 하는데, AAAI 25 워크숍 데드라인이 대충 12월쯤인 것 같아서 … 그때까지 준비해보려고 했었습니다 ㅋㅋ

2024.07.17

워크샵 억셉률은 의미가 없습니다. 허접한 수준만 아니면 다 뽑는다는 이야깁니다.

대댓글 1개

2024.07.17

그정도군요 … 제가 너무 어렵게 생각했나보네요. ㅜㅜ

2024.07.18

작년에 ijcai workshop 억셉되고 발표하러 마카오에 다녀왔는데요 해당 워크샵 커미티에서 공개한 억셉률은 55% 정도였어요. 60% 정도 억셉율을 가진 컨퍼런스인 ijcnn이랑 비슷합니다. 55~60% 억셉률은 저희 교수님 말로는 성의껏 논문써서 내면 어지간하면 붙는다라고 보면 된다고 하네요. 그래도 너무 무시받는 수준은 아니니까 한번 내보고 탑티어 구경 다녀오면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정규 컨퍼런스는 프로시딩이 출판되는데 워크샵은 안되는 경우도 있으니 그 점 유의하세요. 전 워크샵 커미티가 출판시켜준다고 라고 감감 무소식이라 그냥 아카이브에 제가 올려버렸어요.

대댓글 3개

2024.07.18

구체적인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ㅜㅜ
생각보다 억셉율이 괜찮네요 … 도전해봐야겠습니다.
저도 한번 내보고 탑티어 구경해보고 싶은 마음이 크네요 ㅜㅜ 감사합니다!!

2024.07.18

네 기회되면 워크샵이라고 다녀오는거 추천드려요~ 최신 트렌드도 볼 수 있고 논문 보는 인사이트도 넓어져요

2024.07.18

워크샵이 뭐 무시받는 수준은 아닌데 실적으로 인정받는 수준도 아님. 워크샵 내느니 공들여서 학회 쓰는게 맞음

2024.07.30

이거보고 아예 실적도 없는 애들이 워크샵 우습게 보면 큰일남ㅋㅋㅋㅋ보통의 너희들은 못쓰는게 맞아
쓰고 난 이후의 입장에서는 바로 탑컨퍼 도전하는게 맞다고 할 뿐인거지. 워크샵이건 컨퍼건 탑티어 수준에 맞는 섹션 구성, 피규어 및 테이블 구성과 전개, 영작 등 주변 도움없이 니들 단독으로는 워크샵도 억셉되기 많이 어려운게 팩트니까 (같은 맥락으로 IJCNN도 리젝되는 학부따리들 많을거다) 쉽게 보지는 말기를 ㅋㅋㅋㅋ 정상적인 워크샵이라면 커미티들도 탑티어 꾸준히 내는 인간들이 대다수라 어느 수준 안되면 바로 짤임 ㅋㅋㅋㅋ탑컨퍼도 워크샵 수준 낼 수 있던 (간신히 x) 애들이 내는거니까 오해말기를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