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한국도 이정도로 박사가 어렵나요

2024.07.22

25

11900

본인의 학문적인 호기심은 그래도 많은 편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런거 보니까 겁나네요

10명중에 1 - 2명 졸업이라니

출처는 모 블로그 박사 졸업생의 박사 소개글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2024.07.22

학교, 학과, 분야마다 말 그대로 천차만별입니다만..
이공계열은 그정도는 아닙니다.
적어도 제가 지금 있는 연구실에서는 박사학위를 하다가 도중에 박사를 받지 못하고 나간 사람은 한명도 없습니다.

대댓글 2개

2024.07.22

작성자도 인서울 공학박사였는데..

교수님따라 천차만별인걸까요

2024.07.23

작성자분의 상황을 모르지만, 과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오히려 인서울 애매한 학교처럼 박사과정의 숫자가 적은곳이고, 파트타임 박사가 많은 곳이라면 그렇게 느끼셨을수도 있지만, 최소한 연구중점 대학에서는 저또한 오히려 10명중 1-2명만 수료로 졸업한다고 생각합니다.
박사과정기간동안 성실하게 하면 어디든지 학위는 모두 받을수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4년일수도, 6-7년일수도 있겠지만요.
교수들마다 기준치들이 다르고, 분명 엄격한 기준이 있는곳들도 있지만,, 그렇다고 학생의 자퇴까지 강요하면서 박사졸업여건을 세우는 교수는 못봤습니다.

2024.07.22

분야바이 분야에다가 파트면 졸업이 얼마나 걸릴지 모르죠

2024.07.22

분야마다 다른데 최소 실적을 못채우면 졸업할 방법이 없긴 합니다. 10명 중 1-2명만 졸업하는 것 같지는 않고... 그래도 절반 이상은 학위를 받고 나머지는 못받는다기 보다는 가망이 없어 보여서 스스로 나가거나 지도교수가 내보내거나 그렇습니다

2024.07.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과장 정도가 아니라 구라 수준인데? 무슨 10명 중 1~2명이 졸업해. 한 해 박사졸업생만 평균 15,000명이 넘는데 그럼 한 해 평균 적게는 75,000명 많게는 150,000명이 입학한다고?

대댓글 1개

2024.07.22

그렇군요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다행이네요 ㅠㅠ

2024.07.22

학교에 따라, 분야에 따라 다르겠지만, 한국에서는 지도학생이 제때 졸업을 하지 못하면 지도교수의 평판에도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지간하면 교수가 학생 졸업 요건을 맞춰주려고 나서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4.07.23

SPK 중 한곳인데 어떻게 입학했지 싶은 진짜 심각한 분들도 어찌저찌 졸업합니다 ㅋㅋㅋ
졸업못하는 분들은 그냥 연구에 미련없어서 회사가시거나 아니면 정말 최소한의 의지도 없는분인 경우더라고요

대댓글 1개

2024.07.23

Yk 수료만해도 주요직 가는데, 포스텍은 수료도 없던데.

2024.07.23

분야마다 다르겠습니다.
안 좋은 곳인 듯 싶습니다.
해외논문 발표와 국내저널 2편으로 박사라....
그런 곳은 안가는 것이 좋을 듯 하네요.

2024.07.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케바케. 저는 S인데, 진짜로 10년만에 박사 받으신 분도 있습니다. 절대로 쉽지않음

대댓글 1개

2024.07.24

지도교수마다
다르겠지요.

2024.07.23

지도교수에 따라 영향이 큽니다. 학위 과정 중에는 예전 기사로만 보던 교수 테러가 이해가 가긴 했음...

대댓글 1개

2024.07.23

박사학위는 적어도 4-5년간 주변(교수 부터 가족 등)의 아무도 안건들이고 도와줘야 가능함.. 본인만 잘한다고 가능한 것들이 아님..

2024.07.23

10명 중 한두명이 졸업하는건 완전 뻥이고, 재학 연한 넘겨도 졸업 못하면 제적되는건 맞지만 지도교수와 사이가 틀어진게아니라면 그런 일도 많지 않음.
학생 인생을 완전히 망치는 일인데 그 원한을 어케 감당할려고 졸업 안시킴?
개폐급이 아닌 이상 교수 입장에서 그러기도 쉽지 않음.
참고로 카이스트는 석박통합 재학년한이 5년 반이라 별도로 재학년한 연장하지 않는 한 5년 반 안에 석박통합이 끝나는 편임.(빠른 졸업 유도하려고 제도 바꿈)
빠른 사람은 4년하고 나간 사람도 봤음.

2024.07.23

분야마다 다르지만 주말반납 및 수시로 밤샘 연구할 자신 있으시고 자신이 하는 분야가 흥미가 있다면 박사하시면 됩니다. 저는 요번에 졸업인데 리뷰논문 2편 포함 제 1저자 논문 8편, 2저자 2편 작성하고 3년 반만에 졸업합니다. 리뷰논문 같은 경우 실험하며 동시에 진행했기에 하루에 3시간씩 자면서 생활했었습니다. 이 때문에 작년 여름에는 과로에 더위 먹어서 병원가서 비타민 및 아미노산 맞았은적도 있었습니다.(다행히 지인이 병원 원장이셔서 공짜로 맞았죠ㅎㅎ) 제 경우고 좀 빠르고 주변 박사하셨던 분들 보면 보통 5년 하셨던 걸로 기억합니다. 저는 33에 박사를 시작했기에 겁나 빡세게 한거라....

2024.07.23

한국에선 저런 경우 드물어요. 정 문화때문에 ㅋㅋ
그러니 물박사가 넘쳐나죠.

대댓글 2개

2024.07.23

아예 미국 명문대들처럼 교수가 지향하는 수준에 안맞으면 박사 고년차도 과감하게 쫓아내야한다고 봅니다. 한국의 문제는 적당히 졸업요건 맞춰도 일단 졸업은 시켜주니까 박사가 과잉배출되고 물박사들이 많음. 과잉배출되는게 좋은 실적 갖춘 국내박사들 입장에서도 별로 좋은게 아님. 국내박사들 전반적인 몸값이 떨어지고 국내박사학위에 대한 신뢰가 하락하는 거니까..

2024.07.24

미국도 교수들 평판때문에 엥간하면 졸업시킵니다. 미국 안가본 사람들의 환상임.
허탈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4.07.23

허언증 환자네요

2024.07.23

아뇨. 저는 SKP 나왔는데 논문 졸업요건 맞추면 박사졸업은 시켜줍니다. 특히 학계 안남고 인더스트리 가겠다고 하면요. 오래 박사과정 했는데도 그 쉬운 졸업요건 못 맞출정도면 박사학위 받을 자격이 없는거고요.

2024.07.23

해외한편에 국내 두편으로 박사 졸업 ㅋㅋㅋ 교수가 어거지로 졸업 시킨듯

2024.07.24

웬만 하면 도전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IF : 1

2024.07.24

인서울 이공계 입니다.
저희 학교도 작성자님이 올려준 글과 비슷하게 최소 4년 ~ 최대 10년 (평균 5년~7년) 사이로 졸업을 합니다.
입학하는 박사 과정생은 항상 비슷한 추세로 들어오고 있긴 하나, 중간에 개인사정(결혼, 자녀출산, 금전압박, 건강, 학업의지 저하 등)으로 드랍 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그분들 포함하면 졸업하는 비율이 10명 중 3명~5명 정도가 졸업 하시는 걸로 보입니다.
저희 연구실만 해도 박사과정을 거치신 선배님들이 20분 정도 계신데, 막상 졸업 하신 분은 반정도도 안되서....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