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인서울 중위권 대학 전자공학과 3학년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고민은 제목 그대로입니다.. 랩실 정하기도 전에 일단 가장 큰 의문이 대학원을 꼭 가야할까입니다. 막 엄청난 성과를 내는 연구를 하고 싶지도 않고 실제로도 그정도로 똑똑하지는 않고(노력파) 석사만 졸업해도 바로 대기업 취업하고 싶어서 일종의 취업 목적(?)(연구직을 원해서)의 대학원인 느낌입니다. 저는 저를 잘 아는데 대학원을 선택하거나 학사로 취준을 해도 후회하지는 않고 묵묵히 잘 지낼 수 있을 것 같다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걱정되는건 대학원을 갔을 때 '잘 맞지도 않는데 취업해서 걍 돈이나 빨리 벌 걸'이고반대로 학사로 졸업한 다음 취준을 하는 기간이 길어지거나 취업하면 '하 그냥 이 시간에 대학원 갈 걸 그랬나 학위는 평생 가는건데' 라고 생각이 들 것 같습니다. 가고 싶은 분야는 2가지(전력변환회로(dc converter), 뉴로모픽 회로설계) 중 하나인데 아직 정하지 못했습니다. 둘 다 알아보고 공부해보니 재밌는 것 같아서 ㅜ... 안그래도 회로설계 분야가 대학원은 필수다,,최소 석사는 해야 너가 하고 싶은 설계한다..라고 하시는데 저는 학사로 가서 검증이나 test만 해도 돈만 잘 벌면 상관없을 것 같습니다. 들어보니 실제로 대기업은 학/석사 하는 일도 똑같다고 하고여,, 이런 상황에서 4-1 들어가기 전에 컨택을 하면서 취준을 할까 했는데 이건 예의가 아닌 것 같고 인턴도 해보니 연구하는 것도 흥미는 있고.. 진짜 요새 들어 이런 생각이 자꾸 들어 머리가 너무 아픕니다ㅜㅜ 회로 분야에서 석사생으로 계신 분들 있으면 따끔한 말과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맨날 눈팅만 하다가 진지한 고민이 생겨서 말씀드리다 보니까 길어졌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4.07.26
네 가야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7.26
제가 또 걱정되는건 학부 수업이나 외부 교육은 강의자료가 주어져있잖아요 저는 이런거 보고 이해가 안돼도 공부하다 보면 이해도 되고 약간 주어진걸 공부하는건 할 수 있겠는데 대학원처럼 어떤 주어지지 않고 찾아보면서 공부하고 개척?하는 느낌의 공부를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교수님이 연구 방향이나 주제를 던져주시기도 하시나요? 랩바랩일까요?
2024.07.26
학사로도 괜찮은 중견 잘만 들어가던데요 거기서 경력쌓고 이직하는트리 많이타는듯
2024.07.26
작년 LSI 간 선배말로는 석박보다 학사가 더 많았다던데 단순히 취업 목적이면 학사로 취업해도 상관없을듯
대댓글 2개
2024.07.26
그리고 내가 하고싶은 설계는 최소 박사는 해야합니다
2024.07.26
학사는 꽤 있는데 중위권이 뚫기 어렵죠..
2024.07.27
음 대학원을 가서 배우는것과 현재 취직해 배우는것 차이가 있 습니다.
2024.07.27
실제 주도적으로 "설계"를 하고 싶다 -> 무조건 박사 박사가 시키는 설계 일부분을 맡아 노가다 설계 및 검증을 한다 -> 석사 파트 내 잡일 또는 반복작업, 테스트만 한다 -> 학사
2024.07.26
대댓글 1개
2024.07.26
2024.07.26
2024.07.26
대댓글 2개
2024.07.26
2024.07.26
2024.07.27
2024.07.27
대댓글 1개
2025.02.23
2024.07.27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