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대 진학을 고민하고있는 학생입니다. 현재 4-1학기 등록 휴학하였고, 내년 전반기에 학부 졸업이 가능합니다.
학부는 지방 국립대(지거국x)이고 학점은 4.0/4.5 입니다. 학부연구생은 1학년때부터 꾸준히하여 3년의 경험이 있고, 그 과정에서 학술대회 포스터논문 3편 있습니다. 기존에는 취업을 생각했기에 공모전/대외활동 경험은 정말 많습니다만 대학원 진학에는 도움되진 않을 것 같네요. 영어 성적은 오픽im3 하나 뿐입니다.
현재 입시에 대한 생각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내년 여름방학 타대인턴 후 내년 하반기 입학 2. 내년 여름방학~하반기 타대인턴 후 26년 상반기 입학
지금부터 내년 여름까지 영어성적따면서 포트폴리오를 정리할 계획입니다. 타대 인턴를 지원하려면 개강전인 2월 안으로 교수님께 컨택메일을 드리고 싶은데, 어느정도라인까지 넣어봐도될지 고민입니다.
뭐 당연히 높을 수록 좋고 메일 보내볼 수 있지만, 현실적인 벽이 있을 수 있다 생각합니다. (학벌 등)
또 타대인턴을 얼마나 해야할지도 고민이네요.
솔직한 첨언해주시면 큰 도움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4.12.27
석사는 어차피 학부 학교를 중점절으로 봅니다. 서술한 내용으로 보았을 땐 취업도피성 경향이 짙어보입니다. 주변인이라면 말리고 싶네요. 학벌세탁이 되었더라면 저는 아마 한국인 연구원이 필요한데 외국인만 즐비한 연세대 비메이저 학과 연구실을 갔겠죠 ?
원문 MY 반도체 아카데미 유학교육 진로 지도 연구실&오픈랩 커뮤니티 MY 김박사넷 커뮤니티 홈 아무개랩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현실적인 저의 위치가 궁금합니다.NEW 소심한 제임스 맥스웰 2024.12.27
0
18
안녕하세요.
타대 진학을 고민하고있는 학생입니다. 현재 4-1학기 등록 휴학하였고, 내년 전반기에 학부 졸업이 가능합니다.
학부는 지방 국립대(지거국x)이고 학점은 4.0/4.5 입니다. 학부연구생은 1학년때부터 꾸준히하여 3년의 경험이 있고, 그 과정에서 학술대회 포스터논문 3편 있습니다. 기존에는 취업을 생각했기에 공모전/대외활동 경험은 정말 많습니다만 대학원 진학에는 도움되진 않을 것 같네요. 영어 성적은 오픽im3 하나 뿐입니다.
현재 입시에 대한 생각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내년 여름방학 타대인턴 후 내년 하반기 입학 2. 내년 여름방학~하반기 타대인턴 후 26년 상반기 입학
지금부터 내년 여름까지 영어성적따면서 포트폴리오를 정리할 계획입니다. 타대 인턴를 지원하려면 개강전인 2월 안으로 교수님께 컨택메일을 드리고 싶은데, 어느정도라인까지 넣어봐도될지 고민입니다.
뭐 당연히 높을 수록 좋고 메일 보내볼 수 있지만, 현실적인 벽이 있을 수 있다 생각합니다. (학벌 등)
또 타대인턴을 얼마나 해야할지도 고민이네요.
솔직한 첨언해주시면 큰 도움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대댓글 1개
2024.12.27
취업도피성이라.. 그렇게 보이시군요. 솔직한 평가 감사합니다.
2024.12.27
그냥 평범한 지방대학생. 본인이 생각하기에 어필할 만한 점이 뭔가요? 위 글에서는 전혀 드러나는것이 없습니다.
수월성, 성실성, 연구경력, 인성, 어학능력 어느것 하나라도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줘야죠.
대댓글 1개
2024.12.28
제가 글을 작성할때 너무 두서없이 적었군요.
학부연구생 3년하면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했고 그 중 1개 프로젝트는 유의미했고 특허출원도 준비했습니다.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도 하면서 학회경험도 어느정도 쌓았기에 랩이 어떤식으로 돌아가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히 경험했다생각합니다.
대학원 진학을 하게 된다면 조금 더 어필하고, 강점을 만들도록 앞으로 노력하겠습니다.
첨언 감사합니다.
2024.12.28
우선 대학원 진학 시기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즉, 내년 하반기 진학을 강추) 그리고 말씀하신 내용들 대부분 대학원 진학에 그다지 유의미해보이는 내용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영어 성적, 포트폴리오 등.. 물론 영어 성적 기본 요건은 맞춰야하지만요) 제가 작성자분 상황이였다면, 방학 기간 동안 국내 관심 분야 랩실들 알아보고, 학교 네임밸류 대비 좋은 연구실을 찾아서 지원할 것 같습니다. 지원하기 전에 최근 어떤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지 논문 좀 읽어보구요. 이러한 연구실을 찾는 지표로는 (1) 최근 논문 실적 (2) 석사 졸업 후 동일 랩실 박사 과정 진학자 수 (학교 네임밸류 낮은데 이런 학생이 많다면 괜찮은 랩실일 가능성 매우 높다고 봄) (3) 펠로우 여부(희박하긴 함..) (4) 인용수(구글 스칼라에 지도교수 영어 이름 검색하면 나옴)
대댓글 2개
2024.12.28
높은 대학일수록 타대생이면 인턴을 많이 요구하더라구요. 그래서 진학시기도 고민했습니다.
연구실 찾는 지표 참고해서 찾아보겠습니다.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
2024.12.28
생각보다 대학교 네임밸류가 중요하지는 않아요. 학벌과 연구실 환경이 어느정도 비례할 수는 있지만요. 그리고 이러한 질문을 하실 때는 본문에 관심 분야를 포함하는 것이 좋아요. 워낙 분야 by 분야라..
2024.12.29
물론 이런게 불가능하겠지만 베스트는 그냥 본인이 일하기 편한 연구실에 컨택하시라는 겁니다 감히 충고를 드리자면 연구흥미 or 적성이 본인이 연구하는 동력으로 더 맞는지 아니면 그냥 교수하고 작업궁합이 더 동력으로 맞는지 한번 고민해보시고 나서 그 다음에 조건 맞아보이는 연구실에 컨택해보세요 보통은 전자로 대학원 진학 하는데 좀 특이해보여서 (아마 후자 같아 보이셔서) 감히 조언을 드립니다
2024.12.27
대댓글 1개
2024.12.27
2024.12.27
대댓글 1개
2024.12.28
2024.12.28
대댓글 2개
2024.12.28
2024.12.28
2024.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