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이 저 예의 석사라서 올리신듯 ㅋㅋㅋㅋㅋ 내가 석사인데 연구 더 잘한다 이건가 ㅋㅋㅋㅋ
2024.08.08
아니 그래서 정답이 뭐임
2024.08.08
선임급이면 석사가 붙을수가없고, 원급이나 계약직이면 누가붙어도 이상하지않음.
2024.08.08
여기분들은 경험이 없으셔서 그렇지만, 사회생활 하다보면 사람을 보는 눈이 생깁니다. 공채를 열때는 당연히 연구잘하는것도 중요하지만, 정년이 보장된 연구소에서는 길게는 2-30년 같이 일할사람을 뽑는겁니다. 한예로 제가있던 소에서는 예전에 석사(원급) 인재를 뽑고, 그들이 박사과정 진학한다해서 4-5년 휴직(휴직후 복귀가능조건)을 쉽게 내줬습니다. 그결과?? 유학가서 박사학위받은사람들은 십중팔구(사실상 십중 십) 다들 교직이나 해외로 떠났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그런 조항들을 삭제했죠. 또 다른예로, 누가봐도 실적이 좋은 박사의 경우에도 학교를 목표해서 금방 갈건지 의심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래서 어떻게든 수소문해서 그 학생/경력자에 대한 정보를 얻기도 하죠. 직무연관성이라는건 사실 구체적으로 수치화 하기는 어렵습니다. 실제로 공고가 난것과 조금 다른 직무를 실제로는 요구하는경우도 비일비재 합니다. 사실 프로젝트라는게 언제끝날지 모르는거기도 하고, 원에서 동떨어진 연구하는 분이 한번 채용됐다가 이후 프로젝트 끝나고는 여러 실에서 어중이떠중이처럼 떠도는경우도 많습니다. 여튼, 글쓴이분은 후자이신것같고 본인이 억울하다고 생각하시는듯한데, 채용에서 1번을 뽑았으면 그건 여러가지 복합적인 이유를 종합할때 1번 사람이 오랫동안 같이 일하기 좋을사람이라고 판단했을겁니다. 너무 단편적으로 세상을 바라보시면 이해안되는것들이 많을겁니다.
대댓글 2개
2024.08.08
뽑힌 분은 후자라는데 사회생활 헛하셨나보네요
2024.08.10
후자가 뽑혀도 충분히 할말이 있고, 전자가 뽑혀도 충분히 할말이 있다는거죠. 사실 인터넷 말을 직설적으로 믿기도 어렵기도 하고요. 후자가 뽑혔다고해서 누가봐도 실적차이가 크면 전자 경쟁자가 크게 억울해할일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2024.08.08
글쓴이가 석사인가본데 누굴 뽑았을까요
IF : 2
2024.08.08
이건 당연히 박사 압승 아닌가? 같이 일할 사람 뽑는데 숫자만 보고 뽑는것도 아니고...
특히 정출연은 연구 실무 능력이 최우선임. 석사 뽑으면 처음부터 업무 트레이닝 시켜야되고, 과제 제안서나 보고서 쓰는법도 다 일일이 지도하고 교정해줘야 되고. 또 나중에 파트타임 박사한다고 몇년 자리 비우고... 프레쉬박사도 뽑으면 바로 업무 투입하기 쉽지 않은데, 굳이 번거롭게 석사를 뽑을 이유가 있는지? 학위 때고 보더라도, 직무 연관성 99% 2년 경력 vs 직무 연관 60% 7년 경력인데... 경력 5년차이가 얼마나 큰건데...
그리고 석사때 상위 논문 2편이면, 연구실적 숫자만 보면 우수하긴 한데, 혼자 주도적으로 한 연구가 아닐 가능성이 높아서 (지도교수가 주제와 방법 다 정해주고 시키는 일만해서 만든 논문일 가능성이 높음)... 거기다 실무 안보고 논문 라이팅만한 글쟁이일 가능성도 있고... 그런 리스크를 안고 석사를 뽑을 이유는 단 하나도 없다고 보임.
2024.08.08
여러분 생각보다 답변이 많아서 놀랐네요.. 다들 눈치채셨겠지만 제가 후자 맞습니다…사실 직무랑 딱 맞는 사람이 저 밖에 없어서 좀 운이 좋기도 했고 연구실 생활도 학부때부터 4-5년정도 했고 석사동안 제가 취업한 기관에서 내려온 과제만 2건정도 혼자서 했었고 어느정도 거기 연구사님들이랑 코웍하면서 안면이 좀 있기도 하고.. 교수님이랑도 서로 잘 아시고 좀 복합적인게 있었던것 같네요. 댓글보니까 박사가 뽑히는게 맞다고 하시고 이유 들어보니까 제가 뽑히는게 맞나 싶기도 한데 어쨋든 그렇습니다…
대댓글 3개
2024.08.08
음.. 이런 고민을 하는 거 보니깐 내부적으로 교수님 커넥션이란 말이 도는 중인가요?
2024.08.08
2024.08.08
근데 정출연뿐만 아니라 사기업도 교수자리도 다 알음알음 인맥의 힘이...ㅎㅎ
2024.08.08
이딴 글을 쓰는것도 참 웃기고, 답변 달고 있는 것들도 웃기고… 언제부터 김박사넷이 이따위 글에 호응을 해주고 했는지… 실험 고민이나 프로토콜 및 연구에 대한 첨언 조언등을 주고 받았던 곳인데…
대댓글 1개
2024.08.08
저도 김박사넷 초기 유저인데,, 처음듣는 얘기인데 ㅋㅋ 프로토콜 조언해줬다고요? ㅋㅋㅋ
2024.08.08
과제관리기관에 가까운 정출연인가 보네 나는 그런기관은 정출연으로 안침. 애초에 석사를 연구직으로 뽑는게 정신나간것
2024.08.08
과기부 소속 맞아요? 부원장이 정신이 나간 건가?
2024.08.08
둘이 채용이 다르지 않나 글고 우리 쪽 정출연은 석사보다 박사 많이뽑던데
2024.08.09
석사를 왜 정출연에서 뽑음? 그렇게 자리가 남아도나? 석사는 자기가 하는 실험 이해하기도 바쁜데 ?
2024.08.07
2024.08.07
2024.08.07
2024.08.07
2024.08.07
2024.08.08
2024.08.08
2024.08.08
2024.08.08
2024.08.08
대댓글 2개
2024.08.08
2024.08.10
2024.08.08
2024.08.08
2024.08.08
대댓글 3개
2024.08.08
2024.08.08
2024.08.08
2024.08.08
대댓글 1개
2024.08.08
2024.08.08
2024.08.08
2024.08.08
2024.08.09
2024.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