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돈 보고 가는게 맞는데요?

2024.09.11

19

6633

한국에서 소위 말하는 단기성과 위주의 기업과제를 하면 최소한 학생 인건비는 나오고

학생 커리어와 해당 분야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노블티 높은 연구를 하면 괜찮은 저널 꾸준히 나와서 연구재단 및 국가 RnD 딸 정도는 됩니다.

그럼 학생 입장에서 와 너무하다 싶지는 않은 인건비 줄 여력은 돼요.

기존에 있던 학생도 아니고 신입학 하는 학생인데 교수가 인건비 못 맞춰주면 그만큼 “객관적으로“ 좋은 연구 기회나 다른 메리트를 주지 않는이상 입학 전부터 굽신거리며 본인 가치 깍을 필요는 없습니다.

반대로 교수 입장애서 신입생 받을 여력이 없는데도 데려오고 싶은 학생이라면 뭐라도 더 해주지 않겠어요?

연구하러 가는거지 당장 인건비 때문에 대학원 가는거 아니라는게 해당되는 케이스는 미국 대가랩 갈 때나 그랗고 거기는 stipend 보장 안 되어도 본국에서 스칼라십 받아서 온다는 학생들 + 집에서 돈 대줄 수 있는 학생들 중에 골라 뽑지요.

솔직히 교수님들께 학생인건비는 계륵이라서 뭐 교수님들 이해는 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찌질한 쇼펜하우어*

2024.09.12

? 살아있을 정도 인건비 받는다지 오로지 돈이 목적이면 회사가는게 100배 나음

대댓글 1개

2024.09.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런 애들 취업 못해서 도피로 대학원 가는건데요?

2024.09.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ㅋㅋ재단과제 한 번이라도 따보고 얘기하는거임? 박사과정이나 포닥 인건비는 그렇다쳐도 석사과정이 과제에 기여해봤자 얼마나 함? 기여없는 신입초짜 학생들까지 인건비 빵빵하게 챙겨주려면 본래 연구실 능력치의 몇 배는 갈아넣어야 겨우 과제 넉넉히 따고 돌릴 수 있음. 그걸 해내는 랩이 대단한거지. 게다가 석사만 하고 나갈 학생이면 국가입장에서는 좋은 투자일지언정 연구실 입장에서는 그것만큼 아까운 투자가 없음. 그러니 1인분할때까지는 인건비 적게 주는거임. 사실 말은 이렇게 해도 나는 학생들 순수 생활비만 박사200 석사 100~150챙겨주고 있음. 힉생들도 내 마음을 알아주고 다들 열심히 노력하는게 기특함. 근데 아무래도 이러다 내가 죽겠음ㅠ

대댓글 5개

2024.09.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개쪼금주네

박사면 400은 줘야지

2024.09.12

포닥 400은 몰라도 박사과정 400을 누가줌?

등록금 포함 + 200~300 정도지

2024.09.12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 재단과제를 따는데 랩의 논문 수가 크게 작용되나요?

2024.09.12

연구재단 과제가 교수가 PI인 개인과제나 공동 과제면 너무 당연히 제안자, 죽 참여 교수(들)의 업적이 중요합니다.

학생이 내는 과제도 어지간하면 영향을 미칩니다.

2024.09.13

엄청 대규모 과제를 하시는지
저희 랩실은 파트타임만있고 석사만 있어서
석사가 제안서부터 최종보고서까지 다 하거든요
인당 과제 1+@개정도 맡구요
메인 1개, 서브 2~3 개정도
다른랩실은 대부분 박사같이있어서 석사가 과제에 기여를 그렇게 많이 안하나요?

2024.09.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니까 결국 돈을 벌려고 가는게아니라

"나를 제대로 트레이닝 시켜줄수 있는지 여부는, 연구비와 상관관계가 있다"

라는거 아냐?

이게 이해가안됨?

대댓글 1개

2024.09.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ㅇㅇ이해됨. 돈 많이 주는 좋은 랩 가세요. 거기서 님을 뽑아준다면ㅎㅎ

2024.09.12

저또한 학생은 돈벌러 가는게 아니라 배우러가는게 맞다고 생각하지만, 반대로 예전처럼 "열정!" 만으로 학생을 굴리는것도 문제가 있다고 봐요.
국내 학교에서 본인의 과제비 고려않고 무분별하게 학생들 많이뽑으려는 교수들도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과제야 사실 있다가도 없는것이기에, 어느연구실이나 보릿고개가 있을수밖에 없습니다.
꽤나 현실적인 기초 스타이팬드를 설정하고, 그 스타이팬드를 맞추지 못하는경우 당연히 학생을 안뽑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학생입장에서 돈만 쫓는 것은 옳지 않으나, 동일하게 교수들도 사실 반성해야될 사항들이 많다고 봅니다.
스타이팬드 제도를 물가를 고려해서 꽤나현실적인 (최소한 지역에서 최저생활유지비) 금액을 설정한다고하면 당장 거품물면서 그러면 RnD죽는다!! 라는 핑계로 반대하는 교수들 많겠죠. 그 교수들 스스로볼때 최저생계비도 못맞춰주면서도 학생뽑으려는건 본인욕심이 크다는건 인정하시고, 시대가 바뀌었음도 인정하셔야 됩니다.

대댓글 1개

2024.09.12

결국 교수한테 자율적, 도의적으로 학생한테 인건비를 주라는건 시대흐름과 맞지않다고 봅니다. 어느정도 학생들의 생활도 보호해줄수있는 제도가 도입돼야한다고 생각해요.
저는 사실 카이스트에서 학석박을 밟고, 장학금제도나 인건비도 괜찮았어서 이런것들을 못느꼈는데, 졸업하고 다양한 박사들을 만나고 해외포닥하면서 경험을해보니, 국내 '소수(?)' 교수님들한테서 조금 아쉬운것들이 보이는것같습니다.

2024.09.12

뭐 말 길게 할 필요 있나요? 돈 많이 받고 싶으면 많이 주는 랩 가시면 되죠. 선택지는 학생들에게 있지, 교수가 납치하는거 아니잖아요.

2024.09.12

돈벌거면 회사를 가야지 대학원을 왜감?

2024.09.12

돈벌꺼면 좀 이상한 소리말고 취업이나하세요

2024.09.12

해줘
뭐 이런건가..

2024.09.13

기회비용까지 생각하면, 대학원은 비용이 비쌉니다. 단순히 돈을 벌고 싶다면, 좋은 아이디어로 하루라도 빨리 창업하고, 노동 소득 외의 소득을 만들 궁리를 하세요.

2024.09.13

omg

2024.09.15

대학원 다니면서 인건비도 잘 받으면 좋겠지만
돈이 목적이면 대학원 가지 말고 얼른 취직해라
최소한 취직 옵션은 갖고서 교수와 인건비 협상을 해야지
취직도 못하고 다른 컨택된 연구실도 없으면서
대학원 들어갈 때 인건비를 따지면 아직 배가 부른 거지
배가 고파지거든 다시 한번 생각해봐라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