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자체는 핫한데 약간 기반기술? 비슷한 거라 양산화나 영리 기술과는 좀 달라서 과기부 과제만 하는 연구실입니다 (인건비가 짠 거 말고는 논문 탐구하기 좋은 랩실이라 만족 중입니다.)
근데 주위 박사 형들 이야기 들어보면 '기업과제가 커리어에 중요하다', '기업과제 없는 연구실은 평가를 낮게 받는다' 이런 말이 많아서요 ㅜ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4.12.25
장단점이 뚜렷함 개인적인 생각 장점 : 인건비 많이 받을 수 있음, 졸업 후 기업으로 연계 확률 높음 단점 : 기업과제에 치여 논문을 못뽑을 수 있음, 프로젝트 마감 기한을 지키기 위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음, 결과가 좋지 않으면 해당 랩 자체가 낙인이 찍힐 수도 있음
2024.12.25
석사할거면 기업과제 중요해요
박사는 몰?루
2024.12.25
그건 박사과정 학생들이 교수들한테 가스라이팅 당한겁니다. 취직할땐 연구 잘 하는 게 훨씬 더 중요하죠. 적은 확률로 연계될 수는 있어서요.
근데 누군가는 랩 운영을 위해서 기업과제를 해야하기 때문에, 꼭 학생들의 커리어에 필요한 것처럼 포장해서 시키는 겁니다.
대댓글 2개
2024.12.25
반은 맞고 반은 틀린듯. 사기업 취직이나 특히 석사졸 회사 취업이면 기업과제 많은 랩이 유리함. 박사 받고 학계 노리면 기업과제 없는게 논문 쓰는데 유리할꺼고
2024.12.25
대댓글도 애매하게 맞는 소리인데 기업 과제도 기업 과제 나름이라 걍 노동력만 쏙 빼먹히고 연구에는 1도 도움 안되는게 있는가 하면 국가과제보다 훨씬 로드도 적고 본인 연구에도 도움 많이 되는 과제들도 있어요. 결국은 뭔 과제인지가 중요한거지 기업이냐 국가냐 그런걸론 판단 안되는...
2024.12.25
네 안좋아요. 됬죠??
2024.12.26
기업 과제하면 석사들한테는 좋음. 취업하기 쉬움. 박사들한테는 장단점이 있음. 사기업 가기 쉬움. 하지만 논문은 별개로 준비하기 어려울 수 있음. 학계에 진출하려는 박사의 경우 케바케긴 한데 경험은 쌓을 수 있죵.. 논문 준비하기 빡셈
2024.12.26
박사까지 기간 중 1개 정도는 하는게 좋다고 봐요.
나중에 사기업으로 지원하게 되면 논문실적만 있으면 오히려 안 좋게 봅니다.
2024.12.26
기업과제 없다고 평가 낮게 받는건 아니에요. 과제 많이 따는 교수님들은 대체로 연구보다는 과제 관리에 능한 분들이라...
2024.12.27
기업과제 없는게 좋은 랩 아닌가요?
기업과제 제외하고 다른 과제들로만 풀펀딩인게 학생들에게 논문 쓰기에는 사실 제일 좋지 않나 싶어요.
기업과제하면 그쪽 사람들이 많이 괴롭히거든요 ㅋㅋ..
2024.12.30
양산 쪽 연구실인데 기업과제를 못 따면 교수가 솔직히 그 쪽 실력이 안 되는거죠. 연구실세일즈 영업 뛰는거. 그것도 교수 실력이니까. 그런데 양산 쪽이 아니고 교수가 과기부 과제 잘 따면 연구에 집중하기는 좋죠. 그런데 기업 인사과 쪽에서는 고용할건지 좀 그렇죠.
2025.01.04
연구분야따라 다른거 같네요. 전 랩에서 대형정부과제 맡은 편이라 저널주제 빨리찾고 졸업까지 무난히 했습니다. 기업과제 맡은 친구들은 거의 기업 디버깅팀처럼 일하고 논문주제 쥐어짜서 썻어요. 대신 정부과제들은 잡업무가 좀 많긴 했습니다.
2024.12.25
2024.12.25
2024.12.25
대댓글 2개
2024.12.25
2024.12.25
2024.12.25
2024.12.26
2024.12.26
2024.12.26
2024.12.27
2024.12.30
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