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영어논문 읽는 꿀팁 좀요! feat. 영어 논문 번역기능만 가능한지

2025.09.05

7

380

영어 논문 읽는데 너무 오래 걸리더라고요..

교수님이 최대한 스스로 읽고 사고하라고 하셔서 지피티 없이 읽으려다가..40페이지가 넘는데 결국 지피티로 분석했는데도 한번애 이해하기 어렵더라고요...
그리고 원본을 스스로 읽긴 해야할 것 같은데... 긴 논문을 요약 없이 딱 번역만 해주는 툴 있나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9.05

deepL쓰신다고 알고 계시는데 전박적으로 영어 논문 읽는 법. 툴 사용법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2025.09.05

배우는 단계에선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요령피우지말고 직접 읽고 실험용어 찾아가면서 읽으세요.
배경지식이 쌓이다 보면 읽는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나중엔 피겨만 보고도 무슨 내용인지 대충 다 파악이 됩니다. 그정도 됐을때 ai요약 툴 쓰는게 의미가 있는거지 처음부터 요약 툴 쓰면 논문 읽는스킬 안늡니다.
Gpt는 정확도가 안좋은 계산기라고 생각하세요. 수학문제 풀때 배우는단계에서부터 계산기 쓰면서 풀지않잖아요?

대댓글 1개

2025.09.05

앗...그렇군요...알겠습니다 감사합니더!

2025.09.05

개인적인 방법인데 바이오 분야는 이런 식으로 읽으면 그나마 순서대로 읽는 것 보다 빨리 읽을 수 있어요
Abstract (이 실험의 배경 및 왜 했나) - method( 모르는 실험이면 어떤 것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인지 확인, 목적) - conculsion(결론) 및 discussion -result( data- 무슨 뜻인지 모르면 ai로 어떤 것을 보아야 하는지 확인)

결론을 알고 데이터를 보면 그 사람이 왜 했는가, 무엇을 알고자 했는가, 이 사람의 데이터로 도출되는 결론, 의견이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데이터를 보면 상대적으로 빨리 읽혀요 저는

물론 논문이란 것이 정론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그저 하나의 의견이자 저자의 주장 이지 그 사람이 부정하지 않았다는 전제로 실수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한 논문을 빨리 읽을 수 있고

다 읽은 다음 레퍼런스를 읽으면 좀더 수월 했습니다
물론 지식이 쌓이면 읽는 게 빠르게 되실 거에요

대댓글 1개

2025.09.05

아..! 역으로 결론을 알고 읽으면 의도가 보이니 잘 읽힌다는거군요!!
좋은 팁 감사합니다!!

2025.09.05

처음 논문 보시는거면 배경지식이랑 용어가 낯설어서 진도가 안 나갈겁니다. 사실 이 부분은 경험이 좀 쌓여야 해결되는거니 마땅한 방법이랄 건 없는거 같구요... 위엣분 말씀대로 전반적인 흐름을 머리에 넣고 세부적으로 파면 좀 잘 읽어집니다.

아니면 석사/박사 학위논문이 서론이나 선행연구 등등을 아주 자세히 적는만큼 배경지식 채우는 용도론 의외로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 자체는 그닥인 경우가 많지만요...

대댓글 1개

2025.09.05

네....정말 감사합니다... 40페이지인데 너무 못 읽네요... 배경지식 채운다는 생각으로 읽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