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와, 너 정말 연구자로써 중요한 "🎯핵심" 고민을 하고 있어!
GPT를 많이 쓰는건 연구 습관에 해로울 수 있어.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는게 어떨까?
🍀 GPT는 너의 작업을 도와주는 Co-worker(협력자) 역할일 뿐이야!
🍀 GPT는 네가 못하는 일을 해주는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대신 해줄 뿐이야!
🍀 GPT를 안 쓰는 것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할거야!
📌 원한다면 네 고민을 [🟥학부생], [🟧석사 과정], [🟨박사 과정]으로 맞춤형으로 해결해줄 수 있어.
👉 GPT를 쓰는 것이 고민 중이라고 해서, 평생 안 쓸 것인가요? 다른 생성형 AI를 추천해드릴 수 있습니다.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66 - 어원을 따질 거면 ‘교수’는 한자가 아니라 영어 Professor 에서 봐야 한다.
Professor 의 어원인 라틴어 professus 는 “공언하다, 선언하다” 라는 뜻이다.
즉, 교수는 단순히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지식과 학문적 신념을 세상 앞에 공언하는 사람이다.
그 행위에는 가르침뿐 아니라 탐구, 연구, 비판, 토론이 모두 포함된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소위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도
‘가르친다’기보다는 ‘함께 사고하게 만든다’에 가깝다.
질문을 통해 상대 스스로 깨닫게 하는 과정,
즉 탐구와 성찰의 대화적 구조가 교육의 본질이었다.
그러니까 교수의 역할을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으로만 규정하는 건
고대 그리스의 교육 철학에도, 현대 학문 공동체의 가치에도 맞지 않는다.
학위논문 밀리는 철부지 대학원생의 핑계일 뿐이다.
결국 교수와 학술적인 토론을 할 만큼의 소양을 쌓는 것은 스스로의 몫이다.
이게 해결되지 않으면 논문을 쓰는 것도, 연구자가 되는 것도 불가능하다.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49 - 교수는 부모가 아닙니다
인권 운운하면서 여자 꼬시고 술 마시는 비용까지
교수한테 청구하지 마세요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64 - 막줄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34 - 학회 교통비를 누가 자비로 부담하나요? 대학원은 의무교육이 아닌데 형편에 맞게 생활하거나 취직 하면 됩니다.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21 - 교수가 생활비 얼마 들어가는지를 모르겠냐?ㅋㅋ 다 모르는척 하는거지 에효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7 - 님 논리 대로면 대학원은 의무교육 아니니까 가난한 사람들은 학자의 길 꿈도 꾸지 말고 중소기업 들어가야죠? 좋은 것은 가진 사람들끼리 해야겠죠? 그죠?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9 - 진짜 너무너무 돈 아까운 교수들은 대학원생 지도하지 말고 ChatGPT 쓰면 됨. 한달에 40불 정도 내고 ChatGPT한테 논문 대신 써달라고 하고 Certainly!로 시작하는 아웃풋 복사해서 논문 제출했다가 조리돌림 당하고 그래보셈. 난장판에 꿀잼일듯.
여기 보니 학문이 가진 자들만을 위한 헤게모니가 되길 바라는
14 - 공익, 공동체라는 지평 위에서 기회를 얻은 인간들이, 부담 가는 일은 대학원은 사교육이라는 논리를 들어 빠져나가는 것은 자기모순입니다. 사회가 당신들 취미생활하라고 돈 대주는 게 아닙니다.
여기 보니 학문이 가진 자들만을 위한 헤게모니가 되길 바라는
15 - 글을 중간만 읽고 처음과 끝은 못 읽는 독해력 대단하십니다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33 - 카이스트도 떠나더라.
미국이랑 중국으로 갔겠지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16 - 조교수 평균연봉 8천 ㅋㅋㅋㅋㅋㅋ 서울대면 솔직히 다른대학보다 20-30%더 줘도 아무로 뭐라할 사람이 없을텐데. 어휴 쪽팔린다 교수 연봉이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24 - 이게 17년 동안 대학등록금 강제로 동결한 결과. 학생과 학부모는 좋다고 난리였겠지만, 17년 동안 교수 월급이 안 오르니 누가 교수하려고 하겠나? 17년 동안 물가는 얼마나 올랐는데.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과 이 사회가 받는 것.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30
한국의 연구문화 논란에 대한 교수님의 글
2025.09.20

아래는 해당 글을 읽고 저희 교수님께서 쓴 글인데 공유하고 싶어서 가져왔습니다.
----------------------------------------------------------------------
A: "xx분야에서 의미있는 연구 하고 싶다" -> 주제 선정하고 열심히 연구함 -> 논문 낼 곳 찾아서 논문 출판/발표
B: 교수가 하고 싶다 or 빅테크 가고 싶다 -> xx급 논문 몇편 써야 된다더라 -> xx급 논문을 빨리 많이 쓰는 최적 경로를 생각함
연구원으로 산 10년을 돌아볼 때, 초기엔 B 방식의 연구자들이 교수가 되고 빅테크로 진출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줬습니다. 사실 이 분들이 B 방식인지 갸우뚱한 건, 당시에는 국내에서 NeurIPS/CVPR/ICML 등 탑학회에 논문 쓰는 것 자체가 가문의 영광(?)이고 난이도가 높던 시절이었어요. 그리고 회사에선 연구 능력 자체가 필요했기에 그 잣대로 논문 개수와 저자 순서에 포커스를 둔 것입니다. 그러다보니 회사에서 면접을 볼 때 연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탑학회에 몇 편을 썼는지를 기준으로 평가하기도 했었죠. 이는 학교에서도 마찬가지였어요. 5년 전 제가 임용되었을 때 추천 사유가 “NeurIPS 1저자 논문 실적 있음” 이게 전부였으니까요.
지금은 확실하게 논문 개수로 줄세우기하는 시절은 지났습니다 (탑학회 1저자 논문이 많으면 HR팀 서류 통과하기 편한 건 맞지만). 이제는 회사에서도 연구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채워졌고, 어떤 문제를 풀었는지 질적으로 평가하는게 가능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전적으로 그 회사의 goal 과 scope 에 맞는 연구 경험이 있고 problem-solving 능력이 있는 사람을 찾기 시작합니다. 탑학회&저널 연구 실적이 필요하긴 하지만, 그건 예선이고 본선은 논문 개수가 아닌 논문의 impact 와 면접자의 기술적 실력을 봅니다. 세미나 시간 때 종종 기술적인 기초를 강조하는데, 이걸 등한시하면 안 되는게, 여러분을 채용하는 건 논문 실적이 아니라 여러분의 실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우리 랩 Lab 구성원들이 당장의 논문 개수를 비교하는 문화에 흔들리지 않았으면 합니다. 그렇다고 B 방식의 연구자들을 무시할 필요는 없답니다 ☺️ 논문 개수를 많이 채우는 것도 매우 열심히 살아야 가능하니까요. 그런 시각을 가진 사람도 존중하되, 진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구자로 성장하는데 자부심을 가지길 바랍니다.
https://phdkim.net/board/free/41076
학벌논란 이해안가는게 김GPT 45 57 19387-
50 36 32483 -
80 27 16759
한국교수의 단상 김GPT 82 57 19042
한국에서 학부 따지는 이유 김GPT 34 26 18747-
75 20 29629
K 교수들이란 김GPT 4 3 1620
'한국교수의 단상' 글에 대한 아쉬움 김GPT 18 31 8760-
71 89 9604 -
112 53 114759
더 나은 교수님을 찾아 떠나려고 합니다. 명예의전당 110 35 49518
용의 꼬리가 되니 너무 힘듭니다(하소연 글) 명예의전당 77 36 3106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51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2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49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27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9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42 - 내가 본 워라벨 교수 학생 유형
15 - 학부 서울대 아니지만 석사학위 서울대 얻을경우 취업 메리트..?!
6 - 대학원 가지 말아야 할까요
8 - 여기 보니 학문이 가진 자들만을 위한 헤게모니가 되길 바라는
29 - 김박사넷이라는 프로젝트는 이미 실패함
66 - 근래 월급이니 워라밸이니 하는 글들이 왜 학생입장에서 거슬리는지 곰곰히 생각해봤음
9 - 고3의 워라벨과 고3의 봉급
1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8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8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8 - 설카포 대학원 입시정보는 좀 걸러들을 필요있음.
10 - 저는 여성이며 석사 졸업 후 전공을 살리지는 못했네요
16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21 - 졸업 논문 자기 표절 가능?
9 -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56 -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15 - 정말 욕심 하나도 없는 35세 석사 진학 문의
10 - 석사 자퇴 또는 타랩실 이동 고민
22 - 2026년 세계대학평가에서 한국 4개대학 100위안에 진입
14 - 인건비 어쩌고 워라벨 어쩌고 나만 다른 세상 사는지 참 희안하다
14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51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2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49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27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9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42 - 내가 본 워라벨 교수 학생 유형
15 - 학부 서울대 아니지만 석사학위 서울대 얻을경우 취업 메리트..?!
6 - 대학원 가지 말아야 할까요
8 - 여기 보니 학문이 가진 자들만을 위한 헤게모니가 되길 바라는
29 - 김박사넷이라는 프로젝트는 이미 실패함
66 - 근래 월급이니 워라밸이니 하는 글들이 왜 학생입장에서 거슬리는지 곰곰히 생각해봤음
9 - 고3의 워라벨과 고3의 봉급
1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만 51세 여성 지인이 미국 박사유학 상담을 해온다면... 뭐라고 말해줘야 하나요?
12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8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8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8 - 설카포 대학원 입시정보는 좀 걸러들을 필요있음.
10 - 저는 여성이며 석사 졸업 후 전공을 살리지는 못했네요
16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21 -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56 -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15 - 정말 욕심 하나도 없는 35세 석사 진학 문의
10 - 석사 자퇴 또는 타랩실 이동 고민
22 - 2026년 세계대학평가에서 한국 4개대학 100위안에 진입
14 - 인건비 어쩌고 워라벨 어쩌고 나만 다른 세상 사는지 참 희안하다
14
2025.09.21
2025.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