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한국의 연구문화 논란에 대한 교수님의 글

2025.09.20

2

627

한국의 연구문화 논란 글 출처: https://phdkim.net/board/free/41076

아래는 해당 글을 읽고 저희 교수님께서 쓴 글인데 공유하고 싶어서 가져왔습니다.
----------------------------------------------------------------------
A: "xx분야에서 의미있는 연구 하고 싶다" -> 주제 선정하고 열심히 연구함 -> 논문 낼 곳 찾아서 논문 출판/발표
B: 교수가 하고 싶다 or 빅테크 가고 싶다 -> xx급 논문 몇편 써야 된다더라 -> xx급 논문을 빨리 많이 쓰는 최적 경로를 생각함

연구원으로 산 10년을 돌아볼 때, 초기엔 B 방식의 연구자들이 교수가 되고 빅테크로 진출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줬습니다. 사실 이 분들이 B 방식인지 갸우뚱한 건, 당시에는 국내에서 NeurIPS/CVPR/ICML 등 탑학회에 논문 쓰는 것 자체가 가문의 영광(?)이고 난이도가 높던 시절이었어요. 그리고 회사에선 연구 능력 자체가 필요했기에 그 잣대로 논문 개수와 저자 순서에 포커스를 둔 것입니다. 그러다보니 회사에서 면접을 볼 때 연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탑학회에 몇 편을 썼는지를 기준으로 평가하기도 했었죠. 이는 학교에서도 마찬가지였어요. 5년 전 제가 임용되었을 때 추천 사유가 “NeurIPS 1저자 논문 실적 있음” 이게 전부였으니까요.

지금은 확실하게 논문 개수로 줄세우기하는 시절은 지났습니다 (탑학회 1저자 논문이 많으면 HR팀 서류 통과하기 편한 건 맞지만). 이제는 회사에서도 연구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채워졌고, 어떤 문제를 풀었는지 질적으로 평가하는게 가능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전적으로 그 회사의 goal 과 scope 에 맞는 연구 경험이 있고 problem-solving 능력이 있는 사람을 찾기 시작합니다. 탑학회&저널 연구 실적이 필요하긴 하지만, 그건 예선이고 본선은 논문 개수가 아닌 논문의 impact 와 면접자의 기술적 실력을 봅니다. 세미나 시간 때 종종 기술적인 기초를 강조하는데, 이걸 등한시하면 안 되는게, 여러분을 채용하는 건 논문 실적이 아니라 여러분의 실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우리 랩 Lab 구성원들이 당장의 논문 개수를 비교하는 문화에 흔들리지 않았으면 합니다. 그렇다고 B 방식의 연구자들을 무시할 필요는 없답니다 ☺️ 논문 개수를 많이 채우는 것도 매우 열심히 살아야 가능하니까요. 그런 시각을 가진 사람도 존중하되, 진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구자로 성장하는데 자부심을 가지길 바랍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09.21

요즘은 갯수는 최소한만 채우면 충분하고 임팩트랑 분야가 훨씬 중요함.

2025.09.22

너무 좋은 글이네요. 주위에 B같은 사람이 많아서 짜증나고 이해도 안갔는데...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