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대학원 관련 궁금한 점 질문 받습니다.

2025.09.28

7

239

과기원 AI대학원 석사 과정 졸업하고 타대로 박사 과정 가려고 준비 중인 사람입니다.

비록 석사지만 ^^; 2년동안 대학원 생활하면서 느꼈던 점들 토대로 아는 범위 내에서 성심성의껏 답변해드릴테니까 궁금하신 점 댓글로 남겨주세요.

답변 가능한 질문들
- 컨택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 신생랩 괜찮나요?
- 이런 저런 상황인데 제가 대학원에 가도 될까요?

답변 불가능한 질문들
- 학부 어디어디 출신 학점 몇인데 가능한가요?
- 논문 몇 편에 어학 성적 몇 점인데 입학 가능한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9.28

안녕하세요. 현재 졸업한지 2년정도 됐고, 졸업 전에는 대학원 생각조차 안하고 취업하겠다는 일념으로 일년 휴학하고 AI부트캠프 듣고 막학기는 현장실습으로 기업에서 근무했습니다. 전공 공부 안한지도 언 4년이 지났는데 학부때도 별로 들어본적 없는 분야에 관심이 생겨서 해당 분야로 대학원 진학을 고민 중에 있습니다. 현재 회사의 업무가 너무 챗바퀴이고 미래를 생각했을 때 너무 답답하고 이럴려고 내가 대학교를 나왓나 현타가 와서요...
이런 상태에서 새로운 분야로 대학원 진학하여도 괜찮을까요?

대댓글 3개

2025.09.29

안녕하세요. 먼저 이 답변은 제 개인적인 의견이니까 조언 정도로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작성자님께서는 석사 과정 동안 공부도 하고 과제도 하면서 실력을 쌓은 뒤에 졸업을 하면 더 나은 근무 환경에서 일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시는 것 같습니다.

석사 과정 2년 동안 기대하신 것만큼 드라마틱한 성장을 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특히 전공을 바꾸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대학원은 기본적으로 연구를 하는 곳입니다.

연구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생각해내는 활동으로, 문제 정의 및 해결을 위해서는 깊이 있는 전공 지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5.09.29

고민하시는 전공이 학부 전공과 얼마나 다른지는 잘 모르겠지만, 완전히 무관한 전공이라면 작성자님께서는 다른 학생들이 4년 동안 배운 것들을 2년만에 공부해야 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학원생은 하루종일 공부, 연구만 할 수는 없습니다. 참여하는 과제가 있을 경우 과제도 해야하고, 틈틈이 행정 처리도 해야하며, 코스웍도 들어야 합니다.

그렇기에 남들보다 몇 배는 더 힘든 과정이 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전공이 다르기에 입학 조차도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석사 학위를 받았다고 해서, 취업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석사 학위는 최소한의 자격 요건이지 이걸 갖고 있다고 해서 의사 면허증이나 변호사 자격증과 같이 취업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제가 전공한 AI 분야의 경우, 학사와 마찬가지로 코딩테스트도 보고 동일한 입사 프로세스를 거칩니다. (오히려 졸업 논문 발표 같은 추가적인 프로세스도 생깁니다....)

제가 너무 안 좋은 말들만 늘어놓은 것 같은데, 그래서 대학원을 가지말라는거냐?라고 한다면 그건 아닙니다.

그만큼 쉽지 않기 때문에 좋은 점만 생각하기보다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많이 고민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2년 지금은 길어보이시겠지만, 정말 금방 갑니다.

석사 과정 동안 학부 때와는 다르게 정말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도 연구실, 지도 교수님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2년 정도는 투자해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2025.09.29

두서 없이 말한 것 같은데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전공이 달라지면 입학조차 쉽지 않을 수 있고, 대학원 생활 자체가 남들보다 몇 배는 더 힘들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 대학원은 취업보다는 연구를 위한 곳이기에, 대학원을 졸업한다고 해서 기대하신 것만큼 드라마틱한 성장을 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한 마디로 가성비가 떨어질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원을 경험해보고 싶으시다면 석사 과정 정도는 시도해봐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추가로 https://gradschoolstory.chkwon.net/terry/changemajor/ 이 글을 한 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 궁금한게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2025.09.29

안녕하세요...!!
타 대학 두 곳을 컨택하여 한 곳은 합격 후 인턴 생활을 원하셨고 한 곳은 원서 접수 전에 인턴 생활 하는 걸 보고 싶다고 하셨습니다..

다만 제가 합격하게 되면 가고 싶은 쪽은 합격 후 인턴을 시작하자고 하신 연구실입니다.
그래서 고민되는 부분이, 차선책 연구실에 인턴을 시작하기 전에 이 점을 미리 말씀드려야 하는지, 아니면 굳이 말씀드리지 않고 인턴 생활을 하다가 합격 발표 후 정중히 말씀드려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9.29

안녕하세요.

현재 상황이 가고 싶은 연구실은 합격 후 인턴을 하는 조건이고, 차선책으로 생각하는 곳은 인턴 생활을 하고 원서 접수를 해야되는 상황이신거죠?

굳이 교수님께(인턴을 먼저해야 하는 학교의) 말씀 드릴 의무는 없습니다만, 그래도 말씀을 드리는게 좋지 않나 싶습니다.

학기당 학생을 뽑을 수 있는 TO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만약 작성자님이 다른 학교에 입학할 경우 해당 학기 TO를 날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정식으로 입학한 학생이 아니기 때문에 교수님께서 못 가게 하거나 하는 경우는 없겠지만.. 학계는 매우 폐쇄적인 집단이기에 언젠가 해당 교수님 및 해당 연구실 사람들을 다시 만나게 될 경우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 굉장히 피곤해질 수도 있으므로.. 도의적인 차원에서 미리 말씀드리는게 좋지 않나 싶습니다.

교수님들께서도 학생들이 여러 학교에 지원을 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기 때문에 (본인들도 대학원생이었던 시절이 있으니까요) 아마 대부분은 이해해주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교수님께 너무 단정적으로(합격하면 그곳으로 홀라당 가겠다 이런 뉘앙스로) 말씀드리지는 마시고, 다른 학교에도 지원할 계획이 있다 정도로만 담백하게 말씀하시면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ㅎㅎ

또 궁금한거 있으시면 질문 주세요.

2025.09.29

제가 오늘 저녁 중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