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포닥 미국으로 가시는 분, 어떻게 알아보시나요?

2025.09.28

6

655

학회랑 등등 인맥 쌓아놨어야하긴 하는데..

한국에 포닥으로 있으면서 해외 학회 가고, 헤외 컨택해보고를 추천하시나요
아니면 일단 컨택으로 추천하시나요?

실적 더 잘 쌓아서 가면 좋겠지만 준비하다가 세월 갈 것 같네요

그리고 해외포닥 생각 없다가 생각하게 되서..
요새 비자 문제, 생활비 등은 어떻게 돌아가나요?
처음에 영어회화 잘 못해도 괜찮나요?
거부감은 없는데 아직 잘 하지만 못하고 맨땅에 헤딩은 잘 합니다

혹은 몇 개월이라도 가시는 분 있나요?
물론 진정한 의미의 포닥은 아니겠지만서도..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꾸벅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09.28

지도교수님 인맥으로 미국 포닥 왔어요.

2025.09.28

전 맨땅에 헤딩했어요. 제 선배도 그렇구요. 교수님이 일절 도와주시지 않음(미국 포닥출신도 아니셔서..)
Top 20까지 먼저 관련 분야 연구실 리스트 정리하고, 교수님들에게 CV 첨부하고 가서 할 연구 계획 간략하게 요약해서 포닥하고 싶다고 컨택했죠.
Top 20까지 컨택 안되면, Top 50까지 보내고, 또 안되면 Top 100까지 보내고....
운좋게 Top 20에 한 군대 되서 지금 미국포닥 2년차입니다. 실적은 준수했는데, 다행히 미국 교수님이 원하던 분야에서 포닥을 구하시고 계셨는데 제가 딱 메일을 보낸거더라구요. 백인이신데 동양인 좋아하시구요. 전 운7 실적3 정도로 됬다고 생각중입니다.

대댓글 4개

2025.09.28

오 아직 이런 방식이 유효하네요
감사합니다!!

2025.09.29

제가 너무 컨택 답변만 했네요. 나머지 답변도 첨언드리면,
1. 비자문제는 확실히 제가 미국에 올때보다 어려워졌죠(불가능은 아님). 저는 조금 특이하게 대학교 포닥이지만 H1B 비자로 왔구요(취업비자), 미국교수님이 좋게 봐주셔서 1년 계약 연장이 되어서 내년까지는 무조건 있습니다. 그 이후는 또 그때 재계약을 봐야하구요. 비자는 3년짜리인데, 계약이 연장되지 않으면(스폰서가 없으면) 돌아와야 합니다.
보통 포닥은 J비자일건데, 비자 발급자체는 아직까지 큰 문제 없는데, 문제는 미국에서 과제 예산이니 이런것들이 줄고, 트럼프의 행보때문에 교수들이 노 미국인 포닥을 잘 안뽑으려는 추세가 되었죠. 그리고 J비자 받을 때 인터뷰 면제면 괜찮은데 면제가 아닌경우 면접이 잘 안열린다고 들었구요. 참고로 제 주위에 J비자로 미국 나와있던 선후배들은 올해 우루루 한국 강제 복귀했습니다(연구실에서 돈 없다고 재계약 안해줌)

2. 생활비는 말그대로 받은 월급으로 생활합니다. 주마다 도시마다 물가/월급이 워낙 달라서 정량적으론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그 지역 포닥월급으로 그 지역 물가로는 2명까지는 살만합니다(배우자랑 나오는 경우). 혼자면 돈도 약간 모일수도 있구요. 포닥은 2년간 세금면제 조항이 있어서 꽤 살만하거든요. %로 말씀드리면 한 30~40퍼는 월세로 나갈겁니다. 그리고 나머지 돈으로 식비, 교통비 등을 해결해야하는데 저는 중고차 하나 뽑고(처음에만 한국 자본 좀 씀) 다니는데 훨씬 나아요. 미국은 기름값이 워낙 싸서..
식비는 무조건 마트에서 장보고 요리입니다. 외식은 진짜진짜 비싸요(특히 팁까지 포함되서).

2025.09.29

3. 영어 회화는.. 와서 공짜 영어 클래스들이 많습니다. ESL이라고 English Second Language라는 수업인데 대학교나, 도시 차원에서 무료로 많이 열어요. PI만 허락해주면 일주일에 한두번 가서 수업들어도 되고(회화위주), zoom으로 하는 곳도 있습니다.
물론 기본은 되야 해외포닥 컨택 시 교수와 interview에서 뽑히겠죠..??

4. 몇 개월 가는건.. 포닥이 아닙니다. 포닥은 최소 연단위로 계약하구요(포닥과 비슷한 연구원도 그렇습니다), 몇 개월 가는건 그냥 visiting 연구원입니다. 주로 박사과정생들이 지도교수 네트워크로 컨택되서 3~6달정도 연수 갔다오는 개념이죠. 이건 포닥과는 다르고, CV에도 다르게 적어야 합니다. 면접관이 차별둡니다. 최소 1년이고, 평균 2~3년 포닥해요.(못하면 1년만에 짤림)

2025.09.29

세이건님 의견에서 조금 다른점 (top5내 주립대/top2에서 포닥했습니다)

1. 제 주변에서는 non-US뽑으려는 추세 거의 없습니다. 과제가 Darpa 처럼 시민권자를 요구하지않는이상에는 어차피 해외에서 많이 옵니다. 저도 J1으로만 있었고 그중 영주권을 받았는데, 최근에 트럼프 이후에도 똑같이 J비자로 많이들 옵니다.
2. 대도시면 2인에서 살려면 거의 1studio에서 살아야합니다. 주립대에 있을때는 생활비 꽤 저렴해서 3bed에서 살았습니다.
3. //
4. 포닥중에서도 오자마자 귀국생각해서 잡마켓 알아보는경우 많이 있습니다. 그러면서 지도교수와 틀어진경우도 많이 봤고요. 국내 귀국 의향이 확실하고 현재 논문실적이 뛰어난상황이면 오히려 그게 현명할순있습니다. 포닥은 temporal 잡이기때문에 단기간있다가 좋은기회생겨서 돌아가도 응원해주는 교수도 많습니다. 그 외에도 세종국내트랙의 경우 6개월 파견이 가능하고요(이 경우 visiting scholar가 좀더 명확). 면접관이 차별둔다는데 그건 잘 모르시는 말씀인듯 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