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역배로 인공지능학과 내 문과 교수님께 컨택은 어떰

2025.10.15

15

704

인공지능학과 컨택들 안되서 걱정인가 본데,

인공지능학과들 잘 보면

메이저한 인공지능학과들은 약간 구색 맞추기 식으로 문과 교수님들이 존재함.

그런데 문과 교수님들은 랩 운영을 따로 안 하셔서 인기가 별로 없음.

그분들도 논문 지도 정도는 충분히 가능들 하실 것 같은데, 여러분들이 노컨택 전사가 되기 싫다면

문과 교수님 컨택 전사 + 근로장학생 주3일의 전사가 되는 게 어떰?

이 경우, 공대교수님들에게 읍소하고 거절 당하고 이짓 안 해도 되어서 좋고

문과 교수님도 똘똘한 인공지능 학생 생겨서 좋고 둘 다 좋은 거 아님?

인공지능 학생이 어느 정도 자율적으로 (문과 교수님이 인공지능을 잘 아시는 건 아니니까)

연구하되 뭐하고 있는지 문과 교수님께 보고하고 지도, 조언 가끔 받으며

논문 많이 써서 올리면 공학박사로 전역할 수 있을 거 같은데?

왜 요즘에 신뢰가능한 인공지능, 인공지능 법과 정책, 인공지능 윤리 등

문과적 인사이트 필요한 세부전공들 많잖아? 한잔해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5.10.15

날빌로 나쁘진 않은 듯. 근데 보통은 테크니컬한 부분에서 강점을 가지고 싶은 학생들도 많은 듯. 문과적 소양이 필요한 분야에서 산업의 수요를 캐치하고 포지셔닝 잘한다면 너무 좋겠지만... 보통은 쉽지 않을 듯

대댓글 1개

2025.10.15

맞긴함 문과적 소양까지 같이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도전해볼만 할 듯

2025.10.15

목적이 다름
경영대학원 내에 ai학과가 있는 곳이 많은데
AI 연구 할 수 있는 기술 자체 보다는
기업 관점에서 어떤 방향으로 AI를 하면 좋은지
AI 사업 전략 관점에서 구성되어 있더라

문돌이한테 AI 배우면 AI 엔지니어나 리서처는 못된다 봐야지

대댓글 2개

2025.10.15

진짜 일반대학원 내 공대 코스웍으로 꽉찬 인공지능학과는 어떻게 생각해? 지도 교수님만 문과인 거지 어차피 연구는 스스로하는 거잖아 한잔해

2025.10.15

연구는 스스로 한다고?
연구는 도제식으로 피드백을 받는게 핵심이란다

2025.10.15

무슨 사업체 하는 교수 있던데.... 걍 ㅇㅇㅊ던데..

2025.10.15

근데 그럴 바에야 차라리 철학과 대학원 가는게 나을 듯

대댓글 1개

2025.10.15

ㄴㄴ 공학 코스웍 듣고 공학 저널에 논문 내는데 어떻게 철학과에 갈 수 있겠삼

2025.10.15

인생 재밌게 살고 싶으면 해

대댓글 1개

2025.10.15

굳 형도 한잔해

2025.10.15

재밌게 원서를 쓰면
재밌는 대학원을 가는거에요

대댓글 1개

2025.10.15

고마워요 같이 갑시다

2025.10.15

어차피 99% 이상의 cs 전공자도 남이 만든 모델 살짝씩 틀어서 연구하고 졸업한 후 산업환경에서는 기존 모델 그대로 쓰는 수준이라.. 사실 위에 지적한 응용하는 법 배운다는 사항이 문과나 cs나 똑같이 적용됨..

대댓글 1개

2025.10.15

ㄹㅇ

2025.10.15

문과 ai 교수
= 컴공 학부생 2~3학년 수준
기껏해야 그 정도

뭐 배우려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