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분들도 논문 지도 정도는 충분히 가능들 하실 것 같은데, 여러분들이 노컨택 전사가 되기 싫다면
문과 교수님 컨택 전사 + 근로장학생 주3일의 전사가 되는 게 어떰?
이 경우, 공대교수님들에게 읍소하고 거절 당하고 이짓 안 해도 되어서 좋고
문과 교수님도 똘똘한 인공지능 학생 생겨서 좋고 둘 다 좋은 거 아님?
인공지능 학생이 어느 정도 자율적으로 (문과 교수님이 인공지능을 잘 아시는 건 아니니까)
연구하되 뭐하고 있는지 문과 교수님께 보고하고 지도, 조언 가끔 받으며
논문 많이 써서 올리면 공학박사로 전역할 수 있을 거 같은데?
왜 요즘에 신뢰가능한 인공지능, 인공지능 법과 정책, 인공지능 윤리 등
문과적 인사이트 필요한 세부전공들 많잖아? 한잔해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2025.10.15
날빌로 나쁘진 않은 듯. 근데 보통은 테크니컬한 부분에서 강점을 가지고 싶은 학생들도 많은 듯. 문과적 소양이 필요한 분야에서 산업의 수요를 캐치하고 포지셔닝 잘한다면 너무 좋겠지만... 보통은 쉽지 않을 듯
대댓글 1개
2025.10.15
맞긴함 문과적 소양까지 같이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도전해볼만 할 듯
2025.10.15
목적이 다름 경영대학원 내에 ai학과가 있는 곳이 많은데 AI 연구 할 수 있는 기술 자체 보다는 기업 관점에서 어떤 방향으로 AI를 하면 좋은지 AI 사업 전략 관점에서 구성되어 있더라
문돌이한테 AI 배우면 AI 엔지니어나 리서처는 못된다 봐야지
대댓글 4개
2025.10.15
진짜 일반대학원 내 공대 코스웍으로 꽉찬 인공지능학과는 어떻게 생각해? 지도 교수님만 문과인 거지 어차피 연구는 스스로하는 거잖아 한잔해
2025.10.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연구는 스스로 한다고? 연구는 도제식으로 피드백을 받는게 핵심이란다
2025.10.15
형 나 혼란스러워... 내가 석사 들어왔을 때 많이 배우고 싶다고 하니까 랩장이 연구는 스스로 하는 거라고 했고 실제로 지도교수님도 뭘 가르쳐주신 것은 없어... 당연히 석사논문을 보여드렸지만 따로 코멘트하신 것도 없고... 학위논문도 학술지 논문도 다 스스로 쓰고 교수님이 수수료만 내주시고 졸업한 건데 이제와서 학문은 스스로 하는 게 아니라고 하니까 내가 잘 이해가 안 가.
2025.10.19
글쓴이님. 그 랩분위기마다 다르긴한데 그렇게말하고 가르쳐주긴해야하는데, 안하면패야함
2025.10.15
무슨 사업체 하는 교수 있던데.... 걍 ㅇㅇㅊ던데..
2025.10.15
근데 그럴 바에야 차라리 철학과 대학원 가는게 나을 듯
대댓글 1개
2025.10.15
ㄴㄴ 공학 코스웍 듣고 공학 저널에 논문 내는데 어떻게 철학과에 갈 수 있겠삼
2025.10.15
인생 재밌게 살고 싶으면 해
대댓글 1개
2025.10.15
굳 형도 한잔해
2025.10.15
재밌게 원서를 쓰면 재밌는 대학원을 가는거에요
대댓글 1개
2025.10.15
고마워요 같이 갑시다
2025.10.15
어차피 99% 이상의 cs 전공자도 남이 만든 모델 살짝씩 틀어서 연구하고 졸업한 후 산업환경에서는 기존 모델 그대로 쓰는 수준이라.. 사실 위에 지적한 응용하는 법 배운다는 사항이 문과나 cs나 똑같이 적용됨..
대댓글 1개
2025.10.15
ㄹㅇ
2025.10.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문과 ai 교수 = 컴공 학부생 2~3학년 수준 기껏해야 그 정도
뭐 배우려고?
대댓글 2개
2025.10.15
교수님한테 컴공 지식을 배우는 게 아니라 교수님이 조언하는 문과적인 관점에서 문제를 발굴해 이과적인 논문을 쓰면 되는 거 아닐까?
2025.10.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래 열심히 해라 이런 애들이 사탐공대의 미래구나
2025.10.15
제가 hci (?) 문과틱한 느낌의 연구실에서 인턴해봤는데 교수및 맴버들 전원이 학부생 수준이거나 그 이하였음. 딥러닝의 기초도 제대로 알지도 못하는데 인공지능 연구한다고 설치고 있음. 이런 연구실이 ai로 연구 분야 부풀리는 연구실이구나 싶었음.
2025.10.15
어우 난 지도교수 후광이 중요하다 생각하는 사람이라 완전 반대...
2025.10.16
똘똘한 학생인데 공대는 왜 못가ㅋㅋ
2025.10.16
내가 아는 "똘똘한 인공지능 학부생"은 대학원 들어가기 전부터 인공지능 윤리나 법과 정치을 타겟으로 두지 않음. 지금 보고 있는 모델을 어떻게 하면 성능을 높이거나, 크기를 줄이거나, 기능을 추가하냐에 본능적이고 순수한 흥미와 열정을 보이는 사람들이 "진짜" 똘똘한 학부생이지, 요건만 채우면 누구나 갖고 나가는 공학석사학위에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음. 그리고 과연 협력 과정에 이름 올리고 있는 문과 교수분들에게 그런 학생들이 필요한지도 솔직히 의문임.
2025.10.16
내 윗사람이 나보다 멍청하다는건 겁나게 큰 고통임. 절대 ㄴㄴ
2025.10.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요약해서 알려줄게 컴공으로 성공하려면 국영수를 잘 해야한다 그래야 1차적으로 좋은대학 가지 설카포 가면 베스트이고 고대 연대가면 그래도 생존은 가능해
대학 가서도 수학 영어를 잘해야 컴공에서 살아남는다 고급지식은 전부 영어이고 수학은 컴공의 근본이자 최고급단계이거든
2025.10.15
대댓글 1개
2025.10.15
2025.10.15
대댓글 4개
2025.10.15
2025.10.15
2025.10.15
2025.10.19
2025.10.15
2025.10.15
대댓글 1개
2025.10.15
2025.10.15
대댓글 1개
2025.10.15
2025.10.15
대댓글 1개
2025.10.15
2025.10.15
대댓글 1개
2025.10.15
2025.10.15
대댓글 2개
2025.10.15
2025.10.15
2025.10.15
2025.10.15
2025.10.16
2025.10.16
2025.10.16
2025.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