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전 사람이 공감버튼 다 눌러놨길래 저도 다 눌렀습니다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1120 - 신임교수는 단점이 더 크지 ㅋ
올챙이적 기억 못하고 못된 것만 배워서ㅋ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34 - 아이디어 및 실험이본인이한거고
글받아서 다시 수정하면 본인꺼죠
저 gpt로 논문쓴거임??
27 - 챗봇없던 시절에 교정맡겨서 그대로 내면 교정한사람꺼가 되는건 아니잖아요
저 gpt로 논문쓴거임??
22 - 그렇게 쓰면 안되긴 함 글의 논리와 흐름은 본인 머리에서 나와야하고 영어 교정만 gpt로 해야죠 윗 사람들 큰일날 소리하네...
저 gpt로 논문쓴거임??
30 - 초안은 내가 쓰고 영문 교정을 맡기는거랑, 초안을 써달라고 하는거랑은 많이 다르긴 합니다
저 gpt로 논문쓴거임??
16 - 문제는 나중에 님이 논문 여러 편 내면,
여러 편마다 1저자가 달라보이는 마술이 생김.
그럼 답은 대필 or 1저자 거저 먹기 or AI 이용
3개 중에 1개가 될 수 밖에 없음.
저 gpt로 논문쓴거임??
9 - 직장 가면 직장이 글쓴이님에게 맞출 순 없어요.
지도교수가 꾸린 연구실도 마찬가지 입니다. 어딜가든 우두머리의 지도법에 따라야 합니다.
그리고 지도교수가 요구한 사항은 100을 알기 위해 1, 2, 3, ...을 알아야 한다는 취지 같은데,
이건 어느 분야든 마찬가지이지 않을까요?
'꼬리 질문에 대한 즉각적인 대답이 일반적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다시 여쭤보고 싶은데,
나중에 논문 쓰시면 매우 기초적인 것부터 물어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것에 대해서는 '어차피 지엽적인건데 무슨 의미가 있어'라고 패스하실건지...
결과론적 공부를 하는 것보다 그 과정에 재미를 찾아보세요.
저는 공대지만 이론은 물론이고 실험 설계를 왜 그렇게 했는지 하나부터 열까지 다 캐묻습니다.
그것에 대한 디펜스를 못하는건 내가 다루고 있는 실험 조차 설명 못하는 바보 취급 받는겁니다...
스스로도 그렇게 느끼지 않을까요?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1 - 저도 이론 연구하는 사람입니다만, 교수님의 지도방식에 문제가 없는것 같아보이는데요? 마이크로 매니징 별로 안 좋아하시는 분들은 안 맞겠지만, 기초 이론에 대해서 질문던지는건 방식에 차이가 있을뿐언정 어딜가나 있습니다. 그리고 기초 이론 정도면 즉흥적이더라도 질문에 어느정도 대답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2 - 이미 기분이 좀 나쁘시군요. 듣고 싶은 말도 있으신 것 같고. 유감스럽게도 연구에 사용되는 지식을 교과서 수준의 내용으로 부터 설명하는 것은 이공계열 어디서나 중요하고, 특히 자연대 이론 연구실 이라면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그런건 지엽적인 꼬리질문이 아니라 기초적인 상식이라 해야겠지요. '중요하지도 않는 내용을 이렇게 꼬치꼬치 캐묻는게 무슨 의미냐' 라는 생각을 하시는 것 같은데요. 그런 기본기가 부족하면 아주 오래 공들여 한 연구가 리뷰어 코멘트 하나에 신기루처럼 사라지는 경험을 하게 되실겁니다.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8 - 그리고 대학원 생활에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다 보면 어떤 사람들에게서는 공통점들이 보이기도 하는데요. 제가 예시로 말꼬투리 하나 잡아보겠습니다. 첫째 불만이 저에게"만" 해당되는 요구사항이 많다 이죠? 그럼 당연히, "나에게는 이것저것 요구하는데 다른 사람들에게는 하지 않는다" 가 뒤따라 나와야 하는데 실제로는 본인에게 퀴즈 점수 잘 받기, 학점 A+ 받기를 요구하셨다는 내용이군요. 물론 글로 쓰느라 오해가 있을 수 있고, 또는 제가 잘 모르는 맥락이 있겠죠. 하지만 요점이 뭐냐면, 이 짧은 글에서도, 적어도 독자가 읽기에 논리가 깨지는 부분이 있다는 겁니다.
그리고 A에서 시작했는데 (매우 부당하고 쓸모없게도) H 까지 (이런 것은 하등 쓸모없는 지엽적인 꼬투리잡기이며 보편적인 경우 누구에게도 요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물어보신다, 라고 읽히는데요. 괄호 안은 제가 악의적으로 편집한 것이지만, 유사한 감정을 느끼셨을 거라 짐작합니다.
제 경험상.. 이런 친구들은 보통 본인이 옳다고 생각하는 어떤 흐름이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경우 기초적인 상식 (물론 전공자 수준에서나 상식이지만) 부족으로 주요 컨셉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결여되어 있어서 생기는, 어느 한 곳이 틀렸다고 딱 집어주기 어려운 오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면 목적이 뭔지 짐작하기 힘든) 선문답을 통해서 본인이 잘 모르는 부분이 무엇인지 찾도록 도와주고 다시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지요.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9 - 적당히 넘어가는 법 없이 제대로 진국이신 것 같은데요? 지도교수로 손색이 없습니다.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1 - 이런 애는 걍 대학원 안 갔으면 좋겠음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7
미국 CS PHD 스펙 평가 부탁드립니다.!
2023.08.05

저는 6년차 직장인이구요,
정보검색 (IR), 자연언어처리 (NLP) 분야로,
24년 가을학기 미국 CS PHD 지원할 예정이에요.
제 스펙이 어떤 편인지 자기 객관화 하고자 평가 부탁드리려 합니다.
편하게 의견 남겨주시면 준비에 큰 도움 될것 같습니다.
미리 감사합니다.
- 인서울 중간 정도 컴공 졸업 (미국 교수님들이 들어본적 없는 대학이겠죠?)
- 석사는 없습니다
- 전공 GPA 3중반/4.5 (1-2학년에 창업을 했어서,, SOP 에 reasoning 은 할 생각입니다.)
- 검색, AI 기술을 만드는 N 기업에서 6년 근무 (SW/ML 개발자)
- 1저자 논문 2건 (워크샵1편, 소프트웨어공학이라는 타 분야 저널1편)
- 2~3저자 논문 2건(둘다 ML 탑 컨퍼런스)
- 전체 인용수 130회 이상
- 특허 3건 출원
컨택:
- 정보검색 (IR), 자연언어처리 (NLP) 주제로 업무를 수년간 하고 있어, 교수들과 연구 FIT 은 굉장히 잘 맞아요, 회사 경험이 직접 얼라인이 되는 상황입니다.
- 세부 분야 가장 활발히 논문 내시는 교수님 (top20-40 대학) 과 국제 학회에서 만나, 사전 인터뷰도 했습니다.
- 긍정적이였는데, 매우 좋은 배경이라고 하셨습니다, 지원하고 꼭 이메일 달라, 단 아직 전체 지원자 풀을 못봐서 입학 확답을 주긴 어렵다라고 긴접적으로 의사 전달은 하셨어요.
- 다른 활발히 활동하시는 교수님 한분과도 화상 인터뷰 성사되어 할 예정입니다.
지원 학교:
- IR, NLP 두 분야로 깊게 하시는 교수님이 있는 학교에 지원할 예정이며, US News CS Grad Ranking 상으로는 각각 20위권, 40위권 학교에 해당이 됩니다 (학교는 더 찾아보는 중).
- Top10 안쪽의 학교도 2군데 지원할 예정입니다. 저는 제 경험과 스펙을 고유하고, 소중하게 생각하나, 흔히 말하는 "국가대표급 스펙"이랑은 다름이 있어서, 그들 학교, 교수의 선호도는 감이 없네요, 일단 컨텍 메일에는 회신이 없거나, 한분은 지원해보라 정도의 스탠스를 주십니다.
저는 보지 못하지만, 먼저 길을 걸어가고 계신 분들께서 보이시는 것도 더 많을것 같습니다.
스펙 평가에 대한 의견 뿐 아니라, 다양한 의견 남겨주시면 참고하여 좋은 진로 결정 해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제 스펙중 어떤것을 더 강조, 보완했으면 좋겠다라는 개선 측면 의견, 또는 냉정한 느낌의 의견도 감사할것 같습니다.
제가 박사를 하려는 이유는, 더 이분야를 알고 싶고, 최종적으로는 IR 과 NLP 라는 기술과 산업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산업적 가치를 만드는데 관심이 있기 때문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0 9 2686
스펙 평가 부탁드립니다. 김GPT 4 12 2209-
1 8 1779 -
1 7 1137 -
4 20 4068
ai 대학원 진학고민 김GPT 1 1 400
나 뭐해야 됨?? 김GPT 3 4 724
석사때 탑컨퍼 김GPT 0 6 2115-
0 3 333
만남 보다 헤어짐이 중요합니다. 명예의전당 106 28 15735-
228 30 84925
미국빅테크 vs 인서울교수 명예의전당 22 82 35136
미국 유학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205
미국 유학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진짜 기쁘다
88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40 -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28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70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43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4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53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66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29 - 열심히 해야한다는 강박을 가지고 있는 대학원생들에게
8 - 낙태충이지만 셀소합니다
15 - 교수님한테 링크드인 1촌 걸어도 괜찮나요?
9 - 어중간한 인서울 사립 대학원은 오지마세요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저 gpt로 논문쓴거임??
18 - 건동홍 cs 미국대학원 가능세계 궁금합니다
12 -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21 - AI 교수 임용 목표 취직 vs. 포닥?
19 - 자대 대학원 가서 졸업 1년 단축하기 vs KAIST 가기
9 - 이정도 연구실이면 어느정도 수준이에요....?
8 - 왜 랩 cc가 생겨나가는지 알 거 같음
10 - 경제적인 여건이 안 되면 유학은 정말 포기해야 하는 건가요?
8 - 여자 면접 복장
8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73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TOP 5 대학교 풀펀딩 박사과정 합격자 초청
26 - 미국 컴공 석사 관련 질문
10 - STEM분야 미박 탑스쿨 가능성 냉정히 평가 부탁드립니다.
20
2023.08.05
대댓글 3개
2023.08.06
대댓글 9개
2023.08.06
대댓글 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