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STEM분야 미박 탑스쿨 가능성 냉정히 평가 부탁드립니다.

2025.07.22

27

1058

분야는 컴싸는 아니라고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현재 석사 학점은 4.5/4.5이고 학사 학점은 3.9/4.5입니다.

IF7짜리 1저자 논문 1편 accepted, 해외 학회 논문집 1편, IF 13짜리 1저자 논문 1편 9월에 투고 예정입니다.

이외에 국내 및 해외 관련 학회 발표 경험도 있습니다.

냉정하게 추천서를 잘 받고, 토플 점수도 문제가 없다면 정말 스탠포드에 컨텍 메일을 넣어봐도될 수준인지 감이 안잡혀 질문남깁니다.

스펙만 봤을 때 가능성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미국 탑15이내로 가고싶은 생각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7개

2025.07.22

가장 간단하게 내가 자격있는지 알아보는건 타겟 랩 신입생 스펙 보는거에요.

대댓글 3개

2025.07.22

감사합니다 그냥 랩 홈피 외에는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죠..?

2025.07.22

그게 가장 무난하죠. 랩 논문들 뒤져보세요.

2025.07.22

이거 주의 하셔야 하는게 인터네셔널 학생 (학부가 미국외) 기준으로 보셔야 하고 그분들이 미국대학 인턴 이력이 있거나 대가랩 출신이 아닌지 보아야 할 것 같아요. 학점, 실적만 보시고 비교하시면 큰 의미 없다고 봐요. 제 개인적인 의견이에요.

2025.07.22

추천서를 잘 받는게 어느정도 인진 잘 모르겠지만, 개인적인 의견으론 제가 아는 탑10 입학자들에 비해 나은게 하나도 없어 보입니다. (국내를 기준으로 해도) 당연히, 중국 학생들에 비해서도 더 부족해 보이구요. 하지만, 미국입시를 겪어보니 탑스쿨을 붙어도 TOP50을 떨어지는게 미국 입시이기 때문에 아무도 모릅니다. 추천서를 누구한테 받냐, 네트워킹을 도와 줄 지도교수가 있냐, 얼마나 컨택을 잘해서 인터뷰를 잘하냐 등등 변수가 많습니다. 컨택 메일에서 긍정적으로 몇군데 받아도 결국 입학처에서 떨어질 가능성이 더 큽니다. 결론은 그냥 보내 보세요.

대댓글 1개

2025.07.22

그렇다면 그래도 관련분야 국내기업 취업 (석사까지만 하고 올해 9월 서류 접수)으로 보면 그래도 나름 열심히 했다고 보일만한거죠..?

2025.07.22

스탠포드는 대부분의 STEM 학과에서 어드미션 커미티가 신입생을 선발하는 방식이라 교수 컨택이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냉정하게 말씀드리면 미국 교수 추천서 없으면 탑스쿨은 힘들어 보입니다만, 지원은 꼭 탑스쿨 포함해서 여러군데 해보세요 (추천서 작성하시는 교수님은 귀찮겠지만요…)

대댓글 3개

2025.07.22

넵 감사합니다! 탑스쿨 교수님과 저희 교수님이 아는 사이인 경우를 염두하시고 교수 추천서라는 말을 말씀해주신걸까요?

2025.07.22

미박 지원하려면 교수 3분 추천서가 필요합니다. 추천서 3장 없으면 지원 자체가 안됩니다. 미국 교수 추천서라는건 미국 대학에서 연구하고 계신 교수님 추천서요. 님 지도교수님이 미국 커넥션이 많지 않은 이상 지도교수님 추천서는 탑스쿨 입시에서 크게 의미는 없지만, 미국 교수 추천서는 대가일 경우 추천서 하나만으로 탑스쿨 붙을 수 있습니다.

2025.07.23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5.07.22

"냉정하게 추천서를 잘 받고" -> 단순히 교수님이 극진히 써준다는 의미라면 솔직히 당락에 큰 영향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추천서 0장이랑 진배없다고 봄) / 만약 추천서 받는 교수님이 해외학계에서 유명하거나 국제적 대가면 (추천서가 혹여나 2~3문장이라도)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그게 추천서의 본질입니다. 본인이 얼마나 좋은 인맥을 가지고 있느냐....

"스탠포드에 컨텍 메일을 넣어봐도될 수준인지 감이 안잡혀 질문남깁니다." -> 컨택메일은 공짜니까요. 그냥 메일 넣으세요. 못갈학교라고 해서 안넣을건 아니라고 보네요. 참고로 스탠포드는 커미티가 강한 학과가 대부분이라 솔직히 큰의미는 없긴 할거에요. 그래도 쫄지말고 스탠포드 포함해서 많은 학교에 되도록 많이 컨택하세요. 그게 그나마 확률을 높일거에요.

"IF7짜리 1저자 논문 1편 accepted, 해외 학회 논문집 1편, IF 13짜리 1저자 논문 1편 9월에 투고 예정입니다." -> 논문 투고는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분야마다 다르지만 아마도 IF 따지시는거 보니 재료?소재?화학? 쪽이 아닌가 추측해봅니다. 혹여나 그쪽 분야이시면 논문투고가 박사입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긴 할 겁니다. 논문실적과 연구플랜 잘 정리하셔서 컨택 열심히 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5.07.23

정말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5.07.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제일 중요한 학부를 안적으셨네요.. 님 학부가 서울대면 가능하고, 아니면 힘듭니다.

대댓글 1개

2025.07.23

서울대 아니긴하지만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5.07.23

일단 만점이 4.5인 학부에서 3.9이면 학부시절 경험은 탑스쿨급은 아니라고 보임. 분야가ㅜ어딘지 모르겠지만 논문실적과 리서치핏으로 비벼야될거같고 솔직히 가능성이 높진않아보이긴하지만 유학은 또 모르는거니까 갈수도있긴함

대댓글 1개

2025.07.23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5.07.23

충분히 가능성 있습니다. 위에 어느학교 학부냐 학점이 어떻다는건 무시하면 되고요…

대신 추천서도 정말 극진히 써주셔야되고, 연구분야도 잘 설명해야되고 아무튼 잘 해야합니다.

스탠포드 및 유명한 사립대가 어려운 이유는 그곳이 훌륭하다고 알려진 외에 단순히 인원도 적게 뽑아 경쟁이 타 학교대비 5배 10배 펌핑이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T15 범위로 생각한다면 해볼만 할거고 또 연구환경도 빵빵하이 전혀 안떨어집니다.

다만 가능하다는건 남들하고 비슷한 기회가 있다는 뜻이지 높다는 뚯은 아닙니다. 비슷하게 뛰어난 학생이 워낙 많아서 잘 준비해도 확률은 낮긴 합니다. 특히 인터뷰까지 가도 다 상대평가라 제대로 준비 안하면 탈락하더라고요.

대댓글 1개

2025.07.23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5.07.23

위에는 뭔 개소리하냐.. 님 학부 학벌이 어딘지가 중요함.. spkyk면 불가능할건 없다 봅니다

대댓글 7개

2025.07.23

그 아래도 다들 잘 가긴합니다. 학벌 완전 의미 없다고 봐요.

2025.07.24

본인 수준 낮은 걸 욕으로 감추려고 하지마세요.
당장 탑스쿨들 한국인 박사들만 찾아봐도 들어본 적 없는 학교 나온 학생도 많은데.
틀린 정보 뿌리고 다니면 벌받습니다.

2025.07.24

갈릴레오 백퍼 지잡 나옴 ㅋㅋ

2025.07.24

본인 학벌 낮은거나 저런 헛소리로 감추시지 말길.. 국내 학부/석사 과정 밟고 탑스쿨 박사 간 학생들 학부 어디 나왔는지 비율 보고 한 소리임? 꼭 이런 애들은 예외케이스 들고 와서 본인이 될거마냥 행복회로 돌리는 헛소리 지껄이더라 ㅋㅋㅋ

2025.07.25

데이비드/ 헤르만/ 서울대 나왔고 내 주변에 당장 “지잡“나온 사람들을 봤습니다.
학부 비율을 얘기하는거 보니 수준 알겠네요. 당연히 서울대에 공부잘하는 사람이 많이 가니까 유학을 더 나가겠죠. 그게 미국에서 서울대는 편애한다는 근거가 되지 않습니다. 실제로 박사지원하면서 입학관련 교수들에게도 컨택을 많이 했는데 외국 학부 이름에는 전혀 관심 안보입니다.
어설프게 아는 주제에 입만 거칠어서 커뮤니티 망치는 주범들이네요.

2025.07.25

Stanford 학부 나오고 MIT 에서 박사 하는데 두 학교에서 당장 "지잡" 한국 학부 나온 사람들은 못 봤네요. ㅋㅋ

2025.07.26

데이비드/헤르만 인성은 백퍼 지잡 ㅋㅋ

2025.07.26

헤르만 인성은 백퍼 지잡 ㅋ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