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교수는 부모가 아닙니다
인권 운운하면서 여자 꼬시고 술 마시는 비용까지
교수한테 청구하지 마세요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34 - 일단 글쓴이 학벌이 후지고
상황도 힘들다는건 알겠고요
나머지는 전세계 공통입니다
선진국일수록 비율이 줄어들뿐
한국 학계는 알면 알수록 능력 부족한 금수저들의 놀이터같음
33 - 제가 받은 충격은 조금 달랐습니다. 저는 배려같은거 바라지도 않습니다. 바란적도 없고요. 교수님 러브콜로 들어왔고, 혼자 2인분은 한다고 자부합니다. 그런데도 모두가 저를 동료가 아닌 이성으로, 남성 무리 밖의 여성으로 바라봅니다. 물론 랩바랩이겠지만요. 남자 동기들은 저를 여왕벌이라며 뒷담화합니다. 참다참다 선배들의 호의를 정중히 거절하니 퐁퐁당했다며, 스탑럴커냐며 동기들과 합세해 비웃고 따돌립니다. 피곤하고 고된 랩실 생활의 스트레스를 푸는 수단이 된 것 같아요.
본문의 일반화된 주장을 조금 정정해보자면, 김박사넷 여론과는 달리 배려를 원치 않는 여자 동기들도 많습니다. 적어도 제 주변은 그랬습니다.(spk yk ssh 중 하나인 이공계 학부+연구실이고, 주변인들도 비슷합니다.) 여자라고 대접해주는것도 상대를 위한 배려가 아닌, 기브앤 테이크의 개념의 거래라고 여기거든요. 관심 없는 이성들의 일방적 압박으로 다가오기에 꺼리는 겁니다. 물론 글쓴이님 의견처럼 도움에만 의존하는 분들은 저도 기피하지만, 공학계열 랩실 생활하면서 그렇게 행동하는 분은 본 적이 없습니다. 동기의 스토킹으로 대인기피증이 생겨 포기하고 나간 여자 선배는 있었어도, 남자 동기들이 도와주지 않는다고 나간 사례는 본 적이 없습니다.
모든 여자들이 남자 등골을 빨아먹으려 들지는 않는다고 생각하진 맙시다. 일반화가 얼마나 잘못된 행위인지 잘 아시지 않습니까.
남초과 출신 여학생이 대학원 오면 충격 먹는 진짜 이유
14 - 석사라면 뭐 mdpi라도 쓴거가 대견하긴 한데
자대 수준 깨닫고 머리 봉합됨
18 - 박사입니다
자대 수준 깨닫고 머리 봉합됨
13 - 우물 안 개구리인듯?
미국도 학벌에 따른 학연 어마어마하고
거기에다가 인종 간 차별과 우월주의가 있는데?
본인이 아는 세상이 전부 인줄 아네...
역시 책 한권만 읽고 신념을 가지면 무섭지...ㅉㅉ
한국 학계는 알면 알수록 능력 부족한 금수저들의 놀이터같음
22 - 미국 대학에서 11년 있었는데, 인종차별 없음. 상위권 미국대학은 diversity/inclusion 깨시민으로 가득차있음. 차별을 느꼈다면 그냥 본인이 사회성이 없을 가능성이 큼. 학연도 별로 없음. 서로 어디 대학 나왔는지 물어보는거 들은구 단 한번도 없음.
한국 학계는 알면 알수록 능력 부족한 금수저들의 놀이터같음
17 - 학벌로 성골 진골 따진다는거 바로 입증해주네ㅋㅋㅋㅋ
한국 학계는 알면 알수록 능력 부족한 금수저들의 놀이터같음
22 - 교수1명이 학교순위 올려놓은 학교
노스웨스턴대학은 어느정도 위상을 가진 학교인가요
14 - + 그런다고 해서 여자를 얻는것도 아님
여초랩에 들어가면 안되는 이유
11 - 이건 뭐 여자가 퀘스트 깨면 주는 보상인줄아네ㅋㅋ여성관 박살났구나
여초랩에 들어가면 안되는 이유
13 - 연구 실적 출신 대학 당연히 전부 봅니다. 그런데 대학 학벌이 나쁜 것은 고교시절 입시 성적이 나쁜 것이고, 강사로 교단에 서는 것은 대학수준의 학문의 성취도가 남을 가르칠 만 한 것이지요. 차라리 대학 학벌이 나쁘면 입시 강사를 할 수 없다는 말을 하셨으면 좀 더 공감이 되었을 것 같네요.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12 - 잠시나마 공포를 느끼셨으리라 생각하니 짜릿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야호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11
미국 유학을 생각하고 있으나 학부생 때 했던 연구 분야가 전혀 달라서 고민입니다.
2025.09.17

다름이 아니라 요즘 큰 고민이 하나 있습니다.
단도직입적으로 말씀 드리겠습니다.
성별은 남성에 학과는 물리학과 이고요, 학부생 때 학부 인턴을 오랫동안 해서 생물물리학(AI를 이용한 바이오-이미징 분야) 분야에서 논문도 곧 하나 나올 거 같은 상황입니다. 현재 4학년이고, 아마 학교를 1년 더 다니다가 해외 대학에 컨텍해서 합격한다면 유학을 떠날 거 같습니다.
이번년도에 응집물질물리학에 관심이 생겼고, 응집물질물리학에 거의 빠졌습니다. 그래서 유학 갈 때 연구 분야를 응집물질물리학 분야로 가고 싶은데, 제가 여태까지 한 활동은 모두 생물물리학 관련 랩에서의 학부 인턴 경험과 논문 한 편 정도 입니다. 두 분야 사이의 간극이 꽤 되는데 이 경험이 응집물질물리학 분야로 유학을 지원할 때 크게 도움이 될까요?
유학을 위한 학점 같은 정량 요소는 충분하게 채워뒀습니다. 학부는 SKP 중 한 곳이고, 연구 외 활동으로는 동아리 봉사활동 정도 한 게 전부입니다. 아마 남은 1년동안은 응집물질물리학 공부하고 관련 분야로 학부 인턴 또 하면서 보낼 거 같습니다.
-
40 21 20878 -
18 14 6944
일본과 미국 박사 김GPT 0 5 5049
미국뽕이 유달리 심한 애들이 보이네 김GPT 27 14 11215
미박을 갈 수는 있을까요 김GPT 4 11 2928
한국 학부 간판, 미국 석박통합 유학 김GPT 14 52 4098-
0 3 779 -
0 21 4275 -
0 3 780 -
141 16 61190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47 39 48604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201 22 60410
미국 유학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미국 유학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70 -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58 - 남초과 출신 여학생이 대학원 오면 충격 먹는 진짜 이유
69 - 국가 연구소 현실이라는데 이거 맞나요....
54 - 교수는 걍 내미래에 1도 관심 없음
47 - 재직 중이면 AI 일반대학원 오기 전에 3번 생각하고 와라
41 - 자대 수준 깨닫고 머리 봉합됨
18 - 대학원 인턴 1년 후 석박통합 과정에 입학한 학생입니다.
8 - 랩세미나 이상과 현실
18 - AI가 답해준 한국 대학원의 발전적 해결점
8 - 석사 끝나고 교수님 애프터 서비스 중
11 - 각종 대학원 전사들 모집합니다
10 - 카이스트, ‘QS 제재’ 담당교수 징계 감경 ... 정작 부하직원은 퇴사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만 51세 여성 지인이 미국 박사유학 상담을 해온다면... 뭐라고 말해줘야 하나요?
50 - 한국 학계는 알면 알수록 능력 부족한 금수저들의 놀이터같음
37 - 요즘 대학원 인플레이션이 심해진 건가요?
25 - 대학원생/졸업자분들은 석박 통합 과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3 - 역배로 인공지능학과 내 문과 교수님께 컨택은 어떰
23 - 직장 다니면서 등록금만 내고 박사학위취득
17 - 현직 고1 입니다. 컴퓨터 공학 포기하는게 맞을까요...?
26 - 노스웨스턴대학은 어느정도 위상을 가진 학교인가요
29 - 여초랩에 들어가면 안되는 이유
18 -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20 - 대학원 스펙 평가
17 - 석사 고민입니다. (안좋게 보일 수도 있어 죄송합니다.)
11 - 졸업유예는 비추일까요?
11
2025.09.18
2025.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