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을 앞둔 의대생입니다. PhD후 임상수련 vs. 임상수련 후 PhD... 조언 부탁드립니다.
2019.05.17
4
3007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졸업을 앞둔 본과 4학년 학생입니다.
막연하게 분야를 찾아서 헤매다가 모교 유전학 연구실에서 bioinformatician 포지션으로 많이 배우고 공부할 수 있었고, 몇 편의 1저자 및 공저자 논문 등의 연구 CV를 쌓을 수 있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제 진로를 고민해야할 때인데, 너무 많은 부분이 혼란스러워 브릭에 계시는 많은 분들께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다행히 제가 관심이 있는 연구분야 및 연구실에 대해서는 많이 좁혀놨습니다.) 일단 임상 수련으로 uptodate한 환자 진료 및 질병의 이해도를 갖추는 것과, 풀타임 박사과정을 통해 제대로된 과학자로서 트레이닝 받는 것 둘이 synergistic effect를 낸다는 중요성을 여러번 볼 수 있었어서, 이 둘은 모두 하려고 합니다만 순서에 있어서 고민이 큽니다.
요약을 하자면 1) 박사 전문연 후 임상 수련을 받는 것과, 통상적으로 의사-과학자 프로그램 하시는 선생님들 처럼 2) 임상 수련 후 박사 전문연을 하는 두 가지 순서에 대해 고민이 많습니다.
사실 2)에 가까운 입장이었다가, 작년 2018 아시안게임 이후 불거진 '모든 대체복무 폐지' 국방부 성명 때문에 조급함이 생기게 되었고 (바로 박사 입학 시 2020년부터 시작을 하겠으나, 수련 후 박사 입학 시 2024년 부터 시작을 하게 됩니다.), 미국에서 잠깐 visiting undergrad를 하고 나서 미국 의대의 연구 및 임상의 flexible한 환경에 많이 충격을 받았기도 해서 미국 residency 수련 가능성을 염두하여 둘 수 있는 1)로 기울고 있는데, 이게 합리적인 선택지일지에 대해 고민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임상적 경험을 쌓고 연구를 시작해야 훨씬 도움이 될 것이다.'라며 2)를 권하시기도 하는데, 시기와 정책적인 압박 (예고없이 단계적 폐지를 선언하면 2024년 입학 시 병특이 되지 않을 것 같아서 그렇습니다.), 그리고 타국에서의 수련 가능성을 생각하면 1)이 적합하지 않을까 해서... 의견과 조언을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19.05.17
2를 하면서 자신의 연구를 계속할 수 있는 환경이 된다면 2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80% 정도 완성한 상태의 논문 두 개를 들고도 인턴 때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힘들어서 손도 못 댔던지라 이래선 안 되겠다, 싶어서 인턴 끝나고 바로 석박통합 시작했습니다. 근데 이건 모든 분야의 대학원생들이 다 보는 phdkim이나 bric보다는 한두 다리 건너서라도 학위과정을 하고 계시는 MD 선생님들께 여쭤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2019.05.17
댓글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건 논외로 궁금한 사항인데, 인턴 시 의무사관후보생 서약서를 쓸텐데, 여기서 PhD 통합과정 들어가실 때 전문연구요원으로 병적 변경이 무리 없이 진행되셨나요?
2019.07.01
저희 연구실에는 두가지 경우가 모두 있는데, 개인차가 커서 뭐가 좋다라고 말하기는 힘든 것 같습니다. 다만, 예전에는 인턴-레지던트 과정이 혹독했기 때문에 20대의 나이가 아니면 육체적으로 수련받기가 어려워서 일단 체력이 될 때 인턴-레지던트를 하고 이후에 석박사를 하는게 합리적이었습니다만, 요즘에는 주 80시간이 정착되서 인턴-레지던트 과정이 그다지 혹독하지는 않습니다.
2019.05.17
2019.05.17
2019.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