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내 기준 대학원 포닥들의 워라밸

2025.10.02

13

9906

9 to 6, 9 to 9 은 결코 워라밸이 아니라고 생각함.
그냥 일하기 싫은 장치일뿐
일과 일상의 밸런스가 아님

진짜 워라밸은
우선 어떤 운동을 하나 꾸준히 하는것
헬쓰를 매일한다던지 테니스를 친다던지 이런것
시간을 정하고 연구 일정을 거기에 맞춰 끝내도록 함
어떤날은 출근을 오히려 늦게 한다던지
운동 끝나고 다시오도록 설계한다던지

나는 이런 사람들 보면서 대단하다. 느꼈음.
내 주변 spk 교수된 얼굴 말끔한 사람들은 포닥때 다 그랬음

주말엔 취미가 있음
이건 정해진게 아니고 주말 출근이 필요하면 안하고
출근안하면 이 취미활동을 함

사람들과 모임이 있음
주로 운동 취미 종교와 관련
그리고 같은 분야, 다른 분야 연구자들과 네트워킹잘함

근데 이 모든 조건에는 돈이 필요함
연구하는데 인건비로 살 수 있지만
위에 말한거 하려면 조금 더 필요함

추가로 멘탈 터질때 바로 강이나 바다로 쏠 차도 있어야
워라밸 완상인데 요즘은 쏘카가 있으니 차 없어도 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5.10.02

BEST 무슨 말인지 이해는 되지만 사람 바이 사람인듯해요.
일을 효율적으로 하는 사람이 성공하긴한다만.. 성공하신 분들 중 대부분 포닥때 새로운 환경 적응한다고 밤낮없이 남몰래 공부하거나 논문쓰고, 다음 소속 준비하느라 정신없었던 삶을 사신 분들이 더 많을거에요. 저도 그랬구요.
애초에 워라벨 생각할거면 포닥을 안하지않았을까 싶기도 하고..
출퇴근 시간 불규칙한 사람들은 아마 현재 연구실이 아닌 다른 일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ㅋㅋㅋㅋㅋ 그리고 네트워킹도 중요한데, 그건 실적있거나 주변 사람들에게 평이 좋으면 알아서 따라오는거라 굳이 종교/사적 모임 안나가도 됐던거같아요. 임용 후가 오히려 중요한..ㅎㅎ

대댓글 1개

2025.10.02

워라밸 없이 사는 사람(저도 그랬음)도 있지만 '연구자가 하는 워라밸이란 이건것이다'라는게 글 요지입니다.

2025.10.02

무슨 말인지 이해는 되지만 사람 바이 사람인듯해요.
일을 효율적으로 하는 사람이 성공하긴한다만.. 성공하신 분들 중 대부분 포닥때 새로운 환경 적응한다고 밤낮없이 남몰래 공부하거나 논문쓰고, 다음 소속 준비하느라 정신없었던 삶을 사신 분들이 더 많을거에요. 저도 그랬구요.
애초에 워라벨 생각할거면 포닥을 안하지않았을까 싶기도 하고..
출퇴근 시간 불규칙한 사람들은 아마 현재 연구실이 아닌 다른 일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ㅋㅋㅋㅋㅋ 그리고 네트워킹도 중요한데, 그건 실적있거나 주변 사람들에게 평이 좋으면 알아서 따라오는거라 굳이 종교/사적 모임 안나가도 됐던거같아요. 임용 후가 오히려 중요한..ㅎㅎ

대댓글 1개

2025.10.02

워라밸 없이 사는 사람(저도 그랬음)도 있지만 '연구자가 하는 워라밸이란 이건것이다'라는게 글 요지입니다.

2025.10.02

대부분 저는 같은 생각으로 생활하고 있습니다.

1. 출퇴근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일의 진행이 중요하기에 시간적 요소는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저한테는 유리하더라고요.
실험이나 일에 스케줄을 맞추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새벽 3시에 끝나면, 그때 퇴근하고, 출근은 다음 실험스케줄에 맞추는 식이지요. (사실, 몸은 퇴근해도 머리는 문제해결을 위해 계속 일을 하고 있긴하니, 몸의 이동 정도이며 진정한 퇴근은 아니긴 한 듯.)
2. 스트레스를 해소 할 수 있는 취미가 있는 것이 유리하다고 봅니다. 특히, 운동이나 어학 등 자기 성장과 관련된 취미면 더욱 유리한 듯 보이네요. 전 운동 + 미드 시청이 취미였고, 체력관리 및 영어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네요.(운동은 생각을 끊어주기에 스트레스 해서에 정말 큰 도움이 되긴한다고 봅니다.)

2025.10.02

연구자로서 워라밸 중 “라“가 뭔지가 장래를 결정함. 나한테 라는 관련 분야 뉴스, NSC 최근 재밌는 논문 읽기, 여자친구랑 같이 주말에 실험 서로 도와주기.. 학술대회 참가용 논문이나 발표자료 만들기.. 이런것도 “라“에 포함됐음. 일이라고 생각이 안들더라. 현직으로서 학생들도 자신의 “라“를 이런 것에서도 찾을 수 있는 행복한 연구자가 됐으면 좋겠다..

대댓글 1개

2025.10.03

사실 연구가 일이라고 생각은 안들어요.. 제 연구 분야는 밤낮없이 재밌게 하는데 연구실에서 시키는 과제는 "일"이죠.. ㅜ

2025.10.03

포닥까지는 인생 업그레이드 위해서 달리는 시기. 워라밸은 직장 잡고해도 늦지 않아요. 박사랑 포닥 이후에는 아무리 열심히 살아봐야 인생 별로 안변합니다.

대댓글 2개

2025.10.04

본인들 고3때도 워라밸 지켰으면 인정. 대학갈땐 목숨 걸었으면서 더 중요한 시기에는 왜???

2025.10.05

미국에서도 포닥은 약간 나는 학계에 남겠어 선서로 봅니다. 그 물가 지싼 나라에서 코딱지 만큼 받고 연구를 또하니...

돈이 중요하면 중동 포닥 가세요~~~

2025.10.04

포닥때 워라밸을 챙길수 있는 방법은 나를 갈아넣지 않고, 함께 일하는 사람들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하는것이죠. 다만 항상 남들보다 조금 일찍 와서 업무 지시를 잘 하고, 실질적으로 쓴 시간 내에 원하는 바(데이타, 디바이스 제작 및 개발, 등)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가까이서 관리감독해야합니다.

Case1. 본인 9-6(100%), 공동연구자1 9-6, 공동연구자2 9-6, 공동연구자3 9-6 —> 400%의 일을 할 수 있음.
Case2. 본인 9-9 (125%), 공동연구자1 9-12, 공동 연구자2 2-5 —> 200%일밖에 못함.

2025.10.04

스타일과 능력 차이 아닐까? 포닥은 실적과 실력이 전부이다. 워라벨 챙기든 안 챙기든 상관없다. 다만 실적으로 모든게 판가름되는 무시무시한 냉정함의 시기.. 스펙 실적 좋으면 뭔들...

2025.10.04

포닥은 워라밸 챙길 시기는 아닌데.. 워라밸 챙길거면 포닥을 왜.. 그냥 바로 취업하지.. 스텝업 하기 위한 시기니까 갈아 넣으면 넣을수록 스텝업하겠지

2025.10.05

맞아요 저도 학위할때 맨날 9시출근하면 7시에서 8시사이에 퇴근할 수 있게 스케쥴짜놓고 끝나면 운동하러갔죠.
초과근무한적은 리비전말고는 손에 꼽네요 ㅎㅎ

2025.10.06

연구하는게 취미인데 취미생활하면 월급을 주시더라구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